초록 물고기(이창동 저) - 리얼리즘적 비평
해당 자료는 7페이지 중 2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7

초록 물고기(이창동 저) - 리얼리즘적 비평

자료번호 h809453
수정일 2012.01.31 등록일 2012.01.31
페이지수 7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as******** 가격 1,8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오아시스 영화 분석
  • 비평가협회상 등 수많은 상을 받아 그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이렇게 작품성으로 상을 많이 받은데는 분명 이유가 있을 것이고 그것이 저희가 <오아시스>를 선택하게 된 계기이다. 오아시스란 메마른 사막에서 유일하게 물이 있고, 생
  • 이창동 보고서
  • 초록물고기를 잡아 올리던 기억 속에서 가족들의 화합을 꿈꾸지만, 결국 보스의 충실한 개노릇을 하다 죽임을 당한다. 서론 ※이창동 감독의 영화 줄거리 본론 1.이창동 감독 소개
  • 영화 분석
  • 영화 분석 영화 분석 (1) 서사적 관점에서 분석 1)자본주의적 욕망 이창동의 소설 혹은 영화 속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은, 자신의 순수한 의식에 의해서 현실과 타협하지 않는 인물과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현실과

소개글

대표적인 리얼리즘 소설로 평가받는 이창동 감독의 소설 '초록 물고기'에 대한 비평입니다.
작가로서의 이창동의 소개, 시나리오에 대한 설명과 소설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다루었습니다

목차

1. 작가
2. 시나리오와 영화
3. 초록 물고기
(1) 시나리오
(2) 분석
1) 인물 분석
2) 시점
3) 공간적 개념
4)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3) 이창동 감독의 리얼리즘

본문내용

초록 물고기(이창동 저) - 리얼리즘적 비평
영화는 다양한 시점의 조합이 장르적 필수요소로 나타난다. 몽타주에서처럼, 영화는 빈번히 각기 다른 시점으로 보여진 장면들을 조립해서 제시한다. 이런 다양한 시점의 장면을 조립하는 기법(몽타주 등)은, 영화가 기계적(자동적) 반영에서 벗어나 은유적인 자기인식적 표현을 하도록 허용한다. 예컨대 『초록 물고기』(이창동 감독)의 첫 장면에서는, 기차 난간에 매달린 주인공 막동(한석규)의 뒷 모습과, 그의 시점으로 바라보는 달리는 기차의 전경이 교차된다. 막동의 눈앞에는 앞 칸 난간에 매달린 낯선 여자(미애, 심혜진)의 모습이 나타나며, 이어 막동의 뒷모습과 그의 시점으로 보는 여자의 모습이 다시 교차된다. 여자의 목에서 진홍색 스카프가 풀려 날리기 시작하고 이 때 그 스카프를 바라보는 여자의 얼굴이 나타난다(막동의 시점). 그 다음 막동의 얼굴이 클로즈업되는데, 이는 스카프가 바람에 날리는 다음 장면이 그의 시점임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공중을 날라온 스카프가 막동의 얼굴을 휘덮는 다음 쇼트는, 앞 칸 여자의 시점으로 보여진 것이기도 하다.

러 시점들이 교차되는 『초록 물고기』의 첫 장면에서는 서정적 음악과 함께 막동의 내면의 은밀한 감정이 표현된다. 또한 그와 함께 미애와 막동 간의 운명적 만남의 끈이 암시되기도 한다. 만일 이 장면을 단일한 시점으로 처리했다면 무미한 사실들의 전달에 그쳤을 것이다. 그러나 여러 시점들을 미묘하게 조립시킴으로써, 내밀한 정서적 표현과 더불어 두 주인공의 운명적 만남에 대한 은유적인 암시가 드러난다.
이처럼 영화의 다양한 시점은, 서사적 사건을 전달하는 중개성의 기법인 동시에, 기계적 (사진적) 반영을 벗어나 서사성에 정서와 이미지를 부가시키는 영화언어의 기본 기법이다. 물론 이 강렬한 인상을 만드는 수법은 긴 쇼트의 고정된 시점 속에서 배우의 연기 등을 통해 드러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시점을 연결하는 수법은 메마를 기록적 전달을 넘어서는 영화의 기본적인 예술적 관습이다.
3) 공간적 개념 - 자본 이데올로기의 대립
영화의 시간적 개념은 전형적인 연대기 순으로 이루어지지만, 공간적으로는 특정 장소에 대해 특수성을 가진다.
s#9 대곡역
빠르게 출발하는 일산선 절철
전철의 꽁무니가 어둠 속으로 사라진 뒤 텅빈 승강장을 걸어가고 있는 막동이의 뒷모습.
카메라 그의 뒤를 따라 트래킹 트래킹 : 이동차를 이용해 찍는 쇼트. 본래의

참고문헌

나병철, <소설의 이해>
나병철, <소설과 서사문화>
허성미, <이창동 작품 시나리오 분석>,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허아름, <이창동 소설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한국 시나리오 선집 : 영화진흥공사. 제14권-제15권.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초록 물고기(이창동 저) - 리얼리즘적 비평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영화 초록물고기(Green Fish) 분석 - 장면 분할표
  • 영화 초록물고기(Green Fish) 분석 - 장면 분할표 초록 물고기에 대하여. 캐릭터의 성격에 따라 발생하는 극적인 사건 - 플롯 초록 물고기는 처음 보았을 때 보다 두번 세번 횟수가 늘어 날수록 해석이 달라지는 영화이다. 처음엔 그저 그런 한 남자의 삼류 인생을 그린 영화라고 생각 했었다. 두번 째 접했을때는 사회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고자 하는 영화임을 알게 되고 비로소 세번 째 들어가서야 캐릭터의 매력에 빠져들 수 있는 영화이다. 사건의 진행과 캐릭터의 성격의 절묘한 조화가 압권인 이 영화는 영화속의 대부분의 캐릭터들이 현존하는 우리내 실상을 제공
  • 대본창작의 기초 - 초록물고기
  • 1.기본플롯요약 1)도입부/신1-신26/막동은 제대하고 가족들을 차례대로 만난다. 장밋빛 스카프로 미애와의 운명적 인연이 생긴다. 2)전개부/신27-신52/막동은 미애를 찾고, 배태곤 사장 밑에서 일을 하며 인정을 받기 시작한다. 3)상승부/신 53-신73/김양길이 나타나 배태곤을 모욕주고 사업을 위협하기 시작한다. 4)절정부/신74-신81/막동은 김양길을 살해하고, 자신은 배태곤에게 죽임을 당한다 5)결말부/신82-끝/막동의 가족은 피의 댓가로 식당을 운영하고, 임신한 미애와 태곤이 그 식사를 하러 온다. 미애는 막동의 집이라는 것을 알아 차리고 경악한
  • 초록물고기(Green Fish) 시나리오 분석
  • 초록물고기(Green Fish) 시나리오 분석 <초록 물고기> 시나리오 분석 ◉ 분석을 위한 장면 분할표 ◉ 1. 프롤로그/ 타이틀 백 ( 막동이가 어릴적 가족의 행복했던 사진들 F.I에서 F.O) 2. 도입부 / 신 1 - 신 11 / 제대 한 막동이 3. 전개부 / 신 12 - 신 33 / 가족 구성원들과의 만남 4. 상승부 / 신 34 - 신 99 /조직에 가담한 막동이 5. 절정부 / 신 100- 신 127 / 막동이의 죽음과 형들의 복수 6. 결말부 / 신 128 - 신 138 / 평온을 되찾은 막동이네 가족과
  • 초록물고기분석
  • 초록물고기분석 Ⅰ. 들어가며 1997년 이스트필름(Eastfilm)이 제작한 <초록물고기>는 소설가 이창동의 감독 데뷔작으로 한석규, 심혜진, 문성근이 주연을 맡았다. 두목의 정부를 사랑한 인연으로 살인을 저지르고, 결국 자신도 보스에 의해 살해되는 청년 막동과 그 가족의 이야기를 통하여 도시재개발에 밀려 소외된 소시민의 삶과 퇴색해가는 가족의 의미를 그렸다. 감독은 현대화와 산업의 성장으로부터 소외된 사람들의 이야기와 도시개발로 인해 해체된 가족의 모습을 매우 사실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충무로 리얼리즘 영화의 90년대식 돌파구’라고도 평해지는 이 영화는 그
  • [영화 감상문]초록 물고기 - 한명은 죽고, 한명은 살고 나머지 한명은 꿈꾼다.
  • [영화 감상문]초록 물고기 - 한명은 죽고, 한명은 살고 나머지 한명은 꿈꾼다. 1. 영화의 줄거리 이 영화의 시작은 매우 우연적이다. 주인공 막동이(한석규)는 이제 막 제대하고 집으로 가는 기차 안에서 우연히 미애를 만난다. 객차 사이에 몸을 내밀고 바라본 순간 그는 한 여자(심혜진)에게 시선을 뺏기고 만다. 붉은 스카프가 바람에 날려 막동이의 얼굴을 감싸는 순간, 그는 알 수 없는 운명에 이끌린다. 세 명의 형과 여동생이 있는 막동이는 일산 고향집에서 아카시아 숲이 아파트촌이 된 사실에 신기해한다. 이것은 우리의 고향이 점차 도시화, 비인간화되어가고 있다는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