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청자의 종류

(1) 순청자 - 장식이 가미되지 않은 순수한 청자이다.

(2) 상감청자 - 상감무늬라 하는 특징적인 무늬를 새긴 청자로 일반적으로 고려 청자하면 상감청자를 대표로 꼽는다. 선조들의 기술을 엿볼수 있는 훌륭한 작품이다.

(3) 화청자 - 그릇 표면에 백색이나 흑색 도료를 풀어 붓으로 무늬를 그린 뒤 유약을 발라 구운 청자.

(4) 퇴화무늬청자 - 백토 또는 흑토로 그릇 표면에 점 또는 그림으로 무늬를 그린 뒤 유약칠을 해 구운 청자.

(5) 진사청자 - 여기서 진사란 동염이 산화되어 붉은 색을 나타내는 것을 말하며 말 그대로 진사청자는 동염의 산화로 인해 붉은 색을 띈다. 이는 고려청자 중 그 수가 제일 적은 것으로 희귀한 것으로 여겨진다.

(6) 화금청자 - 상감된 무늬의 일부에 금을 칠해 장식한 청자로 옛날부터 금이 귀했던 관계로 값이 매우 비싸 주로 왕실이나 사대부들이 소 장했던 값비싼 작품이다.

(7) 철재청자 - 표면 전체에 철사 물감을 바르고 구운 청자로써 철재 물감의 효과로 인해 흑색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8) 명문청자 - 그릇자체의 변화는 아니나 명문이 새겨져 있다고 하여 명문청자로 이름지어 분류한다.



고려 청자, 고려청자, 고려청자의 역사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청소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