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endectomy (충수절제술) case (수술실 충수절제술)
해당 자료는 9페이지 중 3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9
  • 품질인증

Appendectomy (충수절제술) case (수술실 충수절제술)

자료번호 m1160121
수정일 2012.12.29 등록일 2012.12.29
페이지수 9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tn****** 가격 1,2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성인간호학 케이스 수술실케이스 복강경을 이용한 충수절제술 A+++ case study
  • 성인간호학 케이스 수술실케이스 복강경을 이용한 충수절제술 A+++ case study * 복강경 충수절제술(Laparoscopic appendectomy) (1) 정의 - 충수염의 외과적 치료법으로 병적충수를 그의 기저부에서 절제하는 수술을 말한다. 급성충수염, 간결기충수염,
  • 충수절제술(appendectomy)과 수술간호
  • 충수절제술(appendectomy)과 수술간호 Ⅱ. 충수염(Appendicitis) 1. 정의 충수염이란 맹장 끝에 6~9cm 길이로 달린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흔히 맹장염이라고 불리는데, 이것은 잘못된 명칭이다. 충수염은 진행된 정도에 따라 조기
  • 충수 돌기염과 간호
  • bsp;충수 돌기염과 간호 1. 병태생리 2. 임상증상 3. 치료 1. 수술 전 처치 2. 응급 충수절제술 적응증 3. 충수 주위 농양의 비 수술적 치료 4. 수술적 치료 1) Open appendectomy 2) Laparoscopic appendectomy 5. Incidental appendectomy 4. 간호

소개글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짧으면서 중요한 핵심만 써놓은 자료

목차

Appendectomy
(충수절제술)

♦ 충수돌기의 해부학적 용어 ♦

A. 수술명에 대한 해부학적 명칭
 1. 충수돌기의 구조 및 구성요소

B. 질환에 대한 문헌 고찰
 1. 충수염의 정의
 2. 원인
 3. 증상
 4. 병태생리
 5. 진단검사
 6. 치료 및 간호
 7. 합병증

♦참고문헌♦


수술 사례 연구(operating room report)

1. 관찰사례의 수술명에 대한 문헌고찰
2. 관찰 사례의 수술 전 준비 상황의 확인
3.수술 절차 및 간호
4. 마취과정 : General anesthesia
5. 수술과정에 사용된 물품 및 기구 확인

본문내용

Appendectomy (충수절제술) case (수술실 충수절제술)
♦ 충수돌기의 해부학적 용어 ♦
 ①subcutaneous(피하) : 살가죽의 바로 아래
 ②appendix(충수) : 맹장하단의 양쪽 끝에서 세 가닥의 결장끈이 모인 부분에 부속하는 새끼손가락 크기의 가늘고 긴 관강. 특별한 기능을 갖지 않아서 퇴화된 기관 중 하나임.
 ③fascia(근막) : 근조직을 싸는 결합조직으로 된 막
 ④장막 : 복막의 주름으로서 자유롭거나, 내장 사이를 연결시키는 것 같은 작용을 하는 막을 말함
 ⑤intestine(장) : 위에 이어지는 관 모양의 소화관. 소장(십이지장, 공장, 회장)과 대장(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상결장, 직장)으로 분류되고, 섭취된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를 담당하고 있다.
 ⑥peritoneumuscle(복막) : 복부 내장을 싸고 있는 장막으로 얇은 상피와 그 밑에 접착하는 결합조직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막 전체가 하나로 복강을 에워싸는데 복강에는 복막액이라는 투명한 액체가 차 있어, 복부의 여러 내장은 상호간 또는 복벽에 대해 조금도 마찰을 일으키지 않고 움직 일수가 있다. 내장이 복막에서 어느 정도 멀리 떨어져있는 곳에서는 복막이 벽측에서 장측으로 이행하는 부분이 장간막을 형성하고 있다.
 ⑦caecum(맹장) : 소장의 말단부에서 대장으로 이행하는 부위에 있는 소화관

A. 수술명에 대한 해부학적 명칭
 1. 충수돌기의 구조 및 구성요소
  맹장은 대장의 첫 부분이며 끝이 막힌 주머니 모양의 구조이다. 아래쪽에 충수돌기가 달려있으며, 그 위치는 대개 복부의 우하측에 해당한다. 충수돌기의 위치는 상당히 다양한데, 흔히 맹장 및 결장 뒤에 놓여 있고 골반, 맹장 하측, 회장 앞쪽 혹은 회장 뒤쪽 등에 놓여 있을 수 있다.




≪ … 중 략 … ≫




수술 사례 연구(operating room report)


환자 성명 : 김○○님    연 령 : 12세     성 별 : F
과명 : GS         병동명 : 91병동   수술 날짜 : 2012.06.26
의학적 진단명 : Acute Appendicitis
수술명 : Appendectomy


1. 관찰사례의 수술명에 대한 문헌고찰
 - 정의 및 적응증
  충수돌기를 복부의 오른쪽 아래 4등분 부위를 절개하여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수술이며 증상이 시작 된지 24-48시간내에 충수를 절제해야 한다. 만약 수술이 지연된다면 충수가 파열될 가능성이 높고 복막염이 발생한다. 충수절제술은 급성충수염, 충수가 터져 뱃속 전체에 복막염이 생겨있을 때, 고름이 충수 주위에만 모여 있는 충수주위농양이 생겨 있는 경우 등에 쓰인다.

참고문헌

Appendectomy
(충수절제술)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
- EMR
-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수문사(2012)
김금순, 김영숙 외 3명
기본간호학(상,하)
현문사(2007)
양선희, 손영희 외 4명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Appendectomy (충수절제술) case (수술실 충수절제술)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충수절제술(appendectomy)과 수술간호
  • 충수절제술(appendectomy)과 수술간호 Ⅱ. 충수염(Appendicitis) 1. 정의 충수염이란 맹장 끝에 6~9cm 길이로 달린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흔히 맹장염이라고 불리는데, 이것은 잘못된 명칭이다. 충수염은 진행된 정도에 따라 조기 충수염, 화농성 충수염, 괴저성 충수염, 천공된 충수염 등으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항생제와 수액 치료가 발달함에 따라 만성 충수염도 발생하고 있다 2. 원인 및 병인 응급 복부수술을 요하는 가장 흔한 질환이며 전 인구의6~10%에서 발생된다. 10대와 30대 사이에 호발하며 2세이하나 노인
  • 충수절제술(충수절제염)
  • 충수절제술(충수절제염) Ⅰ. 서론 충수염이란 우리가 흔히 맹장염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정확한 어원은 충수돌기염이라고 불러야 맞다. 충수염은 충수에 급성 또는 만성의 염증성 변화가 생긴 것으로 대부분이 급성 질환이다. 사춘기와 청년기의 젊은이에게 많이 생기는 충수의 염증이다. 충수돌기염은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2세 미만과 노인에서는 드물고 20~30세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노인에게 발생한 경우는 흔히 파열이 된다. 충수염은 20~30세 사이에서 많이 발생 하는 추세이다. 병원에 있을 때도 하루에 꼭 1번 이상은 있었던 병이다. 그만큼
  • Laparoscopic Appendectomy 복강경 충수절제술
  • Laparoscopic Appendectomy 복강경 충수절제술 * 정의  : 맹장 끝에 손가락 모양으로 6-9cm 길이로 달린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소장과 대장이 만나는 곳에 위치하며 자극이나 외상, 감염에 의해 염증이 시작되면서 크기가   커지고 통증을 유발한다. 흔히 맹장염이라고 불리는데 잘못된 명칭이며, 충수염은 진행된   정도에 따라 조기 충수염, 화농성 충수염, 괴저성 충수염, 천공된 충수염등으로 분류 된다.   최근에는 항생제와 수액 치료가 발달함에 따라 만성 충수염도 발생하고 있다.  ≪ … 중 략 … ≫ * Procedure (laparoscopic)  1. potadine cotton 4ea로 수술 부위 소독  2. 중포 4ea로 4각 drape 후 towel clip 4ea고정 → sheet → 大공  3. surgeon or assist - 준비된 alcohol gauze를 mospuito에 물어 배꼽과 주변을 소독   scrub - CO2, light source, camera line, bovie, suction tube setting white balance test , camera lens를 anti fog로 닦아줌  4. dry gauze로 배꼽 및 incision부위 닦아줌  5. incision - skin : 한손으로 skin당기면서   mess #15로 배꼽 주위 동그랗게 1.5cm 정도 incision   - subcutaneous, fascia, muscle, peritoneum   : surgeon이 teeth forcep으로 잡고 bovie로 coaging해 나가고, assist는 teeth forcep과 army로 시야확보를 해줌
  • Laparoscopic Appendectomy 복강경 충수절제술
  • Laparoscopic Appendectomy 복강경 충수절제술 * 정의  : 맹장 끝에 손가락 모양으로 6-9cm 길이로 달린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소장과 대장이 만나는 곳에 위치하며 자극이나 외상, 감염에 의해 염증이 시작되면서 크기가   커지고 통증을 유발한다. 흔히 맹장염이라고 불리는데 잘못된 명칭이며, 충수염은 진행된   정도에 따라 조기 충수염, 화농성 충수염, 괴저성 충수염, 천공된 충수염등으로 분류 된다.   최근에는 항생제와 수액 치료가 발달함에 따라 만성 충수염도 발생하고 있다.  ≪ … 중 략 … ≫ * Procedure (laparoscopic)  1. potadine cotton 4ea로 수술 부위 소독  2. 중포 4ea로 4각 drape 후 towel clip 4ea고정 → sheet → 大공  3. surgeon or assist - 준비된 alcohol gauze를 mospuito에 물어 배꼽과 주변을 소독   scrub - CO2, light source, camera line, bovie, suction tube setting white balance test , camera lens를 anti fog로 닦아줌  4. dry gauze로 배꼽 및 incision부위 닦아줌  5. incision - skin : 한손으로 skin당기면서   mess #15로 배꼽 주위 동그랗게 1.5cm 정도 incision   - subcutaneous, fascia, muscle, peritoneum   : surgeon이 teeth forcep으로 잡고 bovie로 coaging해 나가고, assist는 teeth forcep과 army로 시야확보를 해줌
  • 충수돌기염, 충수절제술
  • 충수돌기염, 충수절제술 Appendix의 구조 우하복부 Cecum과 small intestine사이에 약 10cm길이의 관상형태를 띤 기관으로 내부는 약 0.1ml정도의 공간이 있다. 유아기에는 깔대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물질이 고이기 어려우므로 Appendicitis가 잘 발생되지 않는다. 자라면서 서서히 긴 대롱모양으로 모양이 바뀌고, 점막하층의 림프기관 이 발달하면서 그 숫자가 청년기가 되면서 가장 많아지고, 이물질이 들어 가게되면 appendicitis가 잘 발생하게 된다.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