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장애아][정신지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지역사회 간호
본 자료는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 품질인증

[지역사회간호학][장애아][정신지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지역사회 간호

자료번호 m1260454
수정일 2014.11.10 등록일 2014.02.16
페이지수 2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yj******* 가격 1,3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장애아][정신지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지역사회 간호

환자의 case study 내용입니다.
간호진단을 내리고 간호계획을 세웠습니다.
문헌고찰과 case study 내용을 표로 깔끔하게 정리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목차

<일반적 정보>
▶간호진단 1 : 신체활동부족과 관련된 변비위험성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간호진단 2 : 자해와 관련된 신체손상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간호진단 3 : 정신지체와 관련된 언어소통장애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본문내용

[지역사회간호학][장애아][정신지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지역사회 간호
▶간호진단 2 : 자해와 관련된 신체손상
주관적 자료 : “00이는 손톱을 물어뜯고, 손톱주위의 피부를 뜯어내는 버릇이 있어요.”
“00이는 운동장에 나가면 낙엽이나 흙과 같은 유해물질을 먹는데
먹지 못하도록 옆에서 지켜주세요.”
객관적 자료 : 걷다가 바닥에 앉아서 충동적으로 낙엽이나, 흙을 입으로 넣는다.
손톱주위에 항상 피가 붙어 있다.
손톱주위의 피부가 진피까지 들어나 있다.
간호계획 : 대상자는 유해물질을 입에 넣지 않는다,
상처가 생기면 반복적으로 뜯어내지 않는다.
간호중재 : ① 실외로 나갈 때 마스크 등 을 착용하여 낙엽이나 흙 등 유해 물질을
입으로 바로 넣을 수 없게 만들어줌.
② 아동의 눈에 유해물질이 보이지 않도록 주위를 정리한다.
③ 반복적으로 상처를 뜯어내는 부위를 소독 후 거즈를 반창고로
고정시킨다. 이때 대상자가 거즈를 뜯어낼 수 없을 정도로 붙인다.
결과 : 대상자가 유해물질을 먹는 경우가 다소 줄었지만 유해물질을 먹으려는
행동은 멈추지 않았다.
상처부위가 보이지 않음으로 상처를 뜯어 내지 않아 상처 치유가 빨라졌다.
feedback : ① 유해물질 흡입은 줄었지만,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이해 부족 으로 마스크를 자꾸 벗으려 해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했다.
② 상처에 대해 치유는 빨라졌지만, 계속해서 거즈를 붙이고 있어야 해서 공기가 잘 통하지 않는 것 같다.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드레싱지를 이용하여 붙이는 방법도 좋은 것 같다.

참고문헌

1. 지역사회 간호학, 신유선, 수문사,
2. 김화중 외 13명, 지역사회간호학, 수문사
3. 지역사회간호학(총론) 정연강. 현문사.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지역사회간호학][장애아][정신지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지역사회 간호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지역사회간호 - 가정간호서업
  • 지역사회간호 - 가정간호서업 1. 정의와 목적 1)정의 가정간호는 건강관리체계의 한 요소로서 치료, 지원, 예방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며 그 특성상 의료와 사회적인 면이 조화된 서비스이다. 이는 질병이나 고통 또는 만성질환이나 상해로 인한 장기간의 불구 제한이 있는 개인이나 가족(연령에 관계없이)이 최적의 건강, 활동 및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정에서 단독으로 또는 가정과 연합하여 제공하게 된다.<미국의 6개 가정간호기관의 합의에 의한 정의> 위의 정의에 의하면 ①사업 대상은 개인 또는 가족 ②장소는 거주장소(가정) ③사업제공 목적은 건강유지, 건
  • 지역사회간호 가족간호과정 레포트
  • 지역사회간호 가족간호과정 레포트 1. 가족구조 및 체계유지 - 가족형태 : 핵가족으로 78세로 동갑인 할머니와 할아버지, 10남매 중 43세인 7번째 아들이 함께 살고 있다. 10남매 중 9남매는 모두 결혼하여 분가하였고, 7번째 아들은 아직 미혼으로 함께 살고 있다. 자식들이 대부분 가까운 곳에 거주하고 있다고 한다. - 발달주기와 발달과업 : 노년기 가족(은퇴 후~사망)에 해당된다. - 재정상태 직업 : 할아버지는 재작년까지 벼농사를 하셨는데 몸이 불편해지신 이후로 농사일을 다른 사람에게 맡기셨고, 지금은 특별히 하시는 일 없이 집에
  • 지역사회간호-산업간호관련 영어아티클해석
  • NIOSH Safety and Health Topic: Noise and Hearing Loss Prevention Choose The Hearing Protection That's Right For You - by Carol Merry Stephenson, Ph.D. Expandable foam plugs These plugs are made of a formable material designed to expand and conform to the shape of each person's ear canal. Roll the expandable plugs
  • 지역사회-가족간호
  • 지역사회-가족간호 1. 가족간호 사정 (1) 간호사정 ① 가족구조 및 발달주기 : 가족형태는 1인가구이며 발달주기는 해체기로 자녀와 배우자가 없는 상태의 65세 할머니이다. ② 가족체제 유지 : 수입은 없으며 기초생활수급자로 보장받고 있는 상태, 관습과 가치관은 여가활동이 없고 종교 없이 지낸다. ③ 상호작용 및 교류 : 한 달에 3회 방문하는 방문간호사와 친구 몇 분과의 상호 작용이 전부이며 이웃주민과의 교류가 거의 없으며 가족 역동적인 면에서 독거노인이라 역할분담이 없으며, 가족 참여도가 없다. 최종의사결정자는 대상자 본인이다. ④ 지지 : 현재 대상
  • 지역사회간호-방문간호 관절염 케이스
  • 지역사회간호-방문간호 관절염 케이스 관절염( 關節炎 , arthritis) :관절에 어떤 원인에 의해서든 염증성 변화가 생긴 것을 총괄해서 지칭하는 병. 원인을 불문하고 관절의 물렁뼈가 없어지는 것을 관절염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관절염의 종류 - 퇴행성 (골성) 관절염 - 류머티즘관절염 1. 퇴행성 관절염 가장 흔한 관절염의 유형.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손상 또는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고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이 질환이 지속되면 통증과 관절의 기형이 유발되는데, 특히 무릎의 퇴행성관절염은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