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 Lobectomy of thyroid, 갑상선 절제술
해당 자료는 9페이지 중 3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9
  • 품질인증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 Lobectomy of thyroid, 갑상선 절제술

자료번호 m1355377
수정일 2015.09.23 등록일 2015.09.22
페이지수 9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ys***** 가격 1,3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갑상선절제술 환자에 대한 케이스스터디입니다.
환자사정부터 수술절차까지 자세히 기술하였습니다.

목차

1. 수술전 환자 간호사정
1) 수술전 구두질문 내용
2) 수술전 인계사항

2. 문헌고찰
1) 수술명 학습
2) 질병고찰 : Thyroid cancer
3) 수술절차 및 간호

3. 회복실
1) 회복실 기록지/ 마취회복 상태 관찰
2) 회복실 간호
3) PAR score (마취 후 회복점수)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 Lobectomy of thyroid, 갑상선 절제술
1) 수술전 구두질문 내용

- 간염, 결핵질환 앓았던 과거력
- 흔들리는 치아가 있는지, 본인 치아인지
- 속옷 탈의, 양말 탈의 확인
- 혈액형 확인

- 피부질환 유무
- 금식 여부
- 자연배뇨 여부
- 혈압, 당뇨, 천식질환 유무

<중 략>

2) 질병고찰 : Thyroid cancer

(1) 정의 : 갑상선은 갑상연골의 아래쪽, 숨을 쉴 때 공기의 통로가 되는 기도 앞쪽에 위치한 나비모양의 기관으로, 갑상선 호르몬을 생산 및 저장했다가 필요한 기관에 내보내는 기능을 한다. 갑상선에 생긴 암을 총칭하여 갑상선암이라고 하며 크게 '잘 분화된 갑상선 암', '기타 갑상선암'으로 나뉘는데, 조직학적 모양, 암의 기원세포 및 분화 정도에 따라 유두암, 여포암, 수질암, 역형성암(미분화암) 으로 나눈다.

(2) 원인 : 대부분의 갑상선암은 아직 그 원인이 밝혀져 있지 않다. 방사선에 과량 노출된 경우, 유전적(RET) 요인 등이 가능한 위험인자가 될 수 있다.

(3) 증상 : 대부분의 갑상선암은 특별한 증상이 없으며, 일부에서 크기 증가, 통증, 쉰 목소리, 연하곤란 등의 압박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중 략>

※ 수술절차
1. 마킹펜으로 절개부위를 표시함
2. 15번 blade로 transverse skin incision
3. Subcutaneous와 Platysma muscle 은 allis 3개로 잡고 cutting과 coagulation으로 divide 한다.
4. vascular space 인 platysma muscle과 deep cervical fascia를 박리하여 skin flap을 아래 위로 만든다.
5. sternohyoid muscle 사이의 deep cervical fascia를 위는 thyroid cartilage 아래는 manubrium까지 세로로 절개한다.
.
6. Thyroid gland와 muscle 사이를 박리하여 army navy와 cushing retracteor를 이용하여 노출시킨다.
7. Thyroid gland를 전면으로 traction 후 middle thyroid vein과 inferior thyroid vessel, thyroid artery를 결찰한다.
8. Recurrent laryngeal nerve를 확인하면서 상하 parathyroid gland를 찾고 parathyroid gland의 artery와 vein을 다치지 않도록 하며 thyroid를 분리한다.
9. Thyroid gland를 trachea에서 분리시키고 ligament를 division 한다.
10. Parathyroid를 심어주기 위해서는 얼음에 보관한다. 종지를 엎어 위에 젖은 거즈를 놓은 후 15번 blade를 준다. 5-0 비흡수성 봉합사로 suture 한다.
11. Isthmus pyramidal lobe를 제거한다.
12. Gland가 전부 제거되면 지혈한다.
13. 배액관을 넣고 tagging suture 한다.
14. Platysma muscle을 봉합한다.
15. Subcutaneous layer를 봉합한다.
16. Dressing 한다.
※ 간호
1. 반좌위 격려 및 심호흡교육
2. 통증사정
3. 배액관(Hemo-vac) 관리방법 설명
4. PCA 작동 여부 확인
5. 식이설명(Cool diet)
3. 회복실
1) 회복실 기록지/ 마취회복 상태 관찰
입실시간: 10:35
퇴실시간: 11:15
Monitor
□ EKG □ Temp ■ NIBP □ IBP ■ SaO2
Air way 유지
■ None □ Oral □ Nasopharynx □ Endotracheal
제거시간:
산소투여
□ None □ nasal ■ Mask □ T-piece □ coma
Flow rate 6 ℓ/분
동,정맥 확보
■ Per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이영휘 외, 정담미디어, 2011
수술간호의 실제, 방광옥 외, 현문사, 2008
수술실환자간호, 김문실 외, 수문사, 1994
수술간호 실습지침서, 구숙희 외, 수문사, 2002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 Lobectomy of thyroid, 갑상선 절제술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성인간호학][수술실케이스][TLH][Total laparoscopic hystrectomy]수술전간호,수술후간호, 문헌고찰
  • [성인간호학][수술실케이스][TLH][Total laparoscopic hystrectomy]수술전간호,수술후간호, 문헌고찰 ● 심호흡 1. 복부를 이완하고 폐 팽창을 충분히 할 수 있게 무릎을 굴곡시킨 상태로 반좌위 또는 좌위로 눕는다. 2. 손을 가볍게 배 위에 얹는다. 3. 코를 통해 천천히 얹은 손으로 복부가 올라오는 느낌이 들게 한다. 4. 3초간 숨을 참는다. 5. 오므린 입술(pursed lips)을 통해 천천히 숨을 내쉰다(복부 수축) 6. 심호흡 3번 반복한 다름 기침을 한다. ● 기침 1. 위에서 묘사한 대로 호흡을 한다. 2. 3번
  • [성인간호학][Thyroid cancer][갑상선암][thyroidectomy]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 [성인간호학][Thyroid cancer][갑상선암][thyroidectomy]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 원인, 위험요인 갑상선 암의 원인이 분명하지 않지만 방사선 낙진이나 원자력발전소 사고에 노출되는 것이 갑상선암의 위험요인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방사선 낙진을 구성하는 방사성요오드가 검출된 것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갑상선은 요오드 섭취 경향이 있어 방사선 낙진 속에 있는 방사성 요오드가 갑상선 조직 내에 축적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갑상선암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어릴 때 여드름이나 아데노이드
  • 봉합사 및 봉합침의 종류 및 사용방법 - 간호실습 (성인간호학, 수술실)
  • 봉합사 및 봉합침의 종류 및 사용방법 - 간호실습 (성인간호학, 수술실) 봉합사의 종류 1) 흡수성 자연사 (1)Surgical cut : 양의 내장 점막하나 소의 내장 장막에서 추추한 콜라겐이다. 크기는 3에서 7/0까지 있다 ①흡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조직의 유형-장막이나 점막에서 빨리 흡수 되고 피하조직에서 늦게 흡수된다. 조직의 상태-감염 유무 환자의 일반적인 건강상태 ②종류-Plain cat gut : 5~10일 정도 상처를 지지한다. 70일 이내에 흡수된다. 3에서 6/0까지 있다. -Chtomic cat gut : Chromi
  • [성인간호학] 수술실 실습 자료 - 봉합사의 종류, 바늘의 종류, 봉합방법, 회복실에서의 퇴실 기준
  • [성인간호학] 수술실 실습 자료 - 봉합사의 종류, 바늘의 종류, 봉합방법, 회복실에서의 퇴실 기준 봉합사의 종류, 바늘의 종류, 봉합방법, 회복실에서의 퇴실 기준 (1) 봉합사의 종류 1) 흡수성/비흡수성 봉합사 ① 흡수성 봉합사: 체내 효소에 의해 소화되고 체액에 의해 가수분해 됨 - 건강한 동물에서 콜라겐 추출하거나 인공적으로 합성한 것으로 FDA에서 승인한 색 - 장점: 자연 흡수되어 이물작용 없음, 염증이 있을 때도 사용 가능 - 단점: 조직치유 시 분비물이 많이 나옴→세균 성장 용이→피부 봉합에 적합하지 않음 - 흡수 기간: 신체 조건에
  • [성인간호학]수술실 갑상선 절제술(외과적무균술,소독관리,멸균 및 소독물품 다루는 법,마취간호, 회복실간호,관찰사례,소감)
  • [성인간호학]수술실 갑상선 절제술(외과적무균술,소독관리,멸균 및 소독물품 다루는 법,마취간호, 회복실간호,관찰사례,소감) 1) 외과적 무균법 (1) 외과적 무균술의 원칙 병원균이나 기타 다른 미생물이 전혀 없는 멸균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술 영역과 같이 특수 영역에서 미생물이 전혀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분이다. 가. 외과적 무균술의 3대 원리 ① 멸균된 물품끼리 접촉할 때만이 멸균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므로 멸균된 물품은 멸균된 장갑을 끼고 만지도록 한다. ② 멸균된 물품이 오염되었거나 깨끗한 물품에 접촉한 경우는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