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케이스 Early Gastric cancer [A+자료입니다.]
해당 자료는 12페이지 중 4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2
  • 품질인증
  • 프리미엄

위암 케이스 Early Gastric cancer [A+자료입니다.]

자료번호 m1393349
수정일 2016.10.06 등록일 2016.10.05
페이지수 12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sj***** 가격 1,5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위암 케이스 자료입니다. 간호과정 중점으로 정말 열심히한 자료입니다. 부족한면이 있더라도 이쁘게 봐주시면 감사합니다.

목차

< 목 차 >

Ⅰ. 대상자 간호사정 도구 ------------ 1
1. 대상자 간호사정 도구
2. 병력, 과거력(과거병력, 입원경험, 수술경험)
3. 현재 질환과 관련된 입원 전 치료과정, 입원 후 치료과정
4. 신체검진 및 간호사정


Ⅱ. 진단적 검사 --------------------- 5


Ⅲ. 환자간호사례연구 ---------------- 9
1. 문헌고찰
2. 일반적 배경, 진단 및 치료를 위한 계획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암 케이스 Early Gastric cancer [A+자료입니다.]
Ⅰ. 대상자 간호사정 도구
1. 대상자 간호사정 도구
1. 일반적 정보
환자이름 정추X 병실 671호 나이 50세 성별 Male
진 단 명 EGC 입원날짜 2014-07-13
수 술 명 STG(Subtotal Gastrectomy, B-Ⅰ) 수술날짜 2014-07-16
입원기간 2014.07.13 - 2014.07.23
자료수집기간 2014.07.14 - 2014.07.19
결혼상태 기혼 교육수준 고등학교 졸업 직업 운수업 종교 불교
체온 36.7℃ 맥박 73회/분 호흡 20회/분 혈압 133/78mmHg

2. 병력, 과거력(과거병력, 입원경험, 수술경험)
주 증 상 Asymptomatic (for OP)
발병일시 unknown, 2014.06.25 외래검사
현 병 력 상기환자 HBV carrier이며 2012.06.05에 angle의 EGC로 ESD시행받은 과거력 있는 환자로 정기적 IM1 OPD f/u 중 최근 시행한 추적검사에서 mid body, greater culvature에 이소성 EGC발견되어 OP indication에 해당하여 OP위하여 입원함
과거병력 12년 전, appendectomy d/t(due to) 맹장염
9년 전, HBV detect. local 비정기적 f/u
2012년부터 본원 IM1 f/u 하고 있음
2012.03 dizziness medication 하다 ESD 후 증상소실
가 족 력 부: 간암, 큰형: 간경화, 남동생: 위암
가 계 도












3. 현재 질환과 관련된 입원 전 치료과정, 입원 후 치료과정
외래 검사 결과: 심초음파 정상, PFT 정상
OP위해 입원하여 EGD를 통해 OP site clipping 시행 후 STG(EBL은 200미만)하였으며
CP(critical pathway)적용하여 회복기간에 있음
POD#2 chest X-ray 결과: postopreative pneumoperitoneum



1. 영양
키 165.4cm 체중 72.3kg 최근의 체중변화 없음
음식 알레르기 무 연하기능 문제 없음 치아상태 정상
의치 무 오심 무 구토 무 복통 무
비위관 튜브, 위장관 흡인 무
TPN 무
기타 식욕 좋음
2. 배설
1) 배설
평상시 배변 양상 : 횟수 1회/일 , 규칙적 V 불규칙적
입원 후 배변양상의 변화 수술 후 1회/4일
마지막 배변 날짜 2014.7.12(입원 전날)
장음 : 정상 V 증가 감소
음식섭취 및 운동과 관련된 문제점
음식 섭취 불규칙적임
화장실 이용 및 변기 상태 문제 없음
완화제 사용/관장 수술을 위해 완화제 사용(For OP)
2) 배뇨
평상시 배뇨 양상 배뇨 문제 없이 잘 봄
입원 후 배뇨양상의 변화 straw(볕짚색) → amber(황색, 소변농축 상태)
소변색 straw(볕짚색) 소변량 : 250 cc/회, 1000~ 1250cc/일
유치도뇨 2014. 7.15 insert → 7.18 remove
B. 산소요구
1. 순환과 호흡
1) 순환
- 뇌 순환
의식상태 : 정상 V 기면 혼수 반혼수 혼수
지 남 력 : 장소 유 시간 유 사람 유
언어능력 : 말하기 유 읽기 유 쓰기 유 이해력 유
- 심장순환
심박수와 리듬 54회/분, normal sinus rhythm 심잡음 none
2) 호흡
횟수 20회/분 호흡양상 정상 부속근 사용 none
가슴모양 정상 호흡음 정상
호흡장애 무
C. 활동과 휴식요구
1. 활동
입원 중 하는 운동 : 병동 한 바퀴 걷기/1hr , 규칙적 V 불규칙적
걷거나 움직일 때 느끼는 자각 증상
복부 당기는 통증 호소함
활동정도 독립적
자가간호 독립적
D. 안전과 안정요구
1. 피부의 통합성
피부상태 흉터(부위) 맹장수술흉터 색 정상
피부병변과 부위 : 발적 무 소양증 무 부종 무
수술로 인한 상처 7.15 OP수술 복부부위 clear 상태
2. 동통
동통부위 복부수술 부위 강도 보통 NRS 3
시작시기와 기간 수술 후 (2014.7.15) - 현재
방사통 여부 무 촉진요인 기침, 움직일 때 완화요인 진통

참고문헌

1. NANDA Nursing Diagnosis Care Plans, Elsevier.
2. 국가암정보센터(http://www.cancer.go.kr)
3. 김강미자 외(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4.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 1, 수문사, 301-323, 352-379.
5. 변영순 외(2004). 최신수술환자간호, 수문사, 250-255.
6. 전시자 외(2013).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331-335, 379-387.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위암 케이스 Early Gastric cancer [A+자료입니다.]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위암 케이스 간호력
  • 위암 케이스 간호력 검사명 : Abdomen Routine MRI CE(-) 복부의 MRI 검사 CE(-) Focal gastric wall thickening is noted in mainly anterior wall along the lesser and 위벽이 비후된 병소가 lesser와 greater curvature를 따라서 3cm의 넓이로 주로 앞벽에 greater curvature(3cm in width) and showing delayed enhancement on dynamic 위치해 있다. 위부분의 어두운 장막 선의 부분적인
  • 위암환자 케이스 스터디
  • 위암환자 케이스 스터디 <간호력> 1.일반적 정보 이름:이** 나이28세 성별:여 입원일:2003년 10월 28일 정보제공자: 본인 보호자:남편 가계도: 남편, 딸1 교육정도:대졸 직업 : 무 종교 : 없음 흡연 : 없음: 음주 : 없음 2.입원과 관련된 정보 입원 시 활력징후: 체온-36.5 맥박-85회 호흡-20회 혈압-120/80 체중 : 53kg 키 : 166cm 입원경로 : 외래 입원방법 : 도보 입원 동기/주 증상 : 평소부터 소화 장애가 있었던 분으로 한달 전 위 증상 더 심해지시고 작년 11월 G/F 상에서 Gas
  • 외과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위암
  • 외과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위암 *원인: 위암의 원인에 대해서는 다각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정확한 원인은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종족적인 차이, 유전적인 요소와 식이습관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위험요인을 살펴보면, 식이습관과 관련해서는 짠 음식, 아질산이 풍부한 음식, 동물성 지방과 단백질을 적게 섭취하면서 고탄수화물 식이를 하는 경우이다. 다른 요인으로는 악성 빈혈, 위축성 위염 및 위점막의 장점막변이(intestinal metaplasia) 환자와 2 cm 이상의 위용종을 가진 사람 등이다.
  • 위암케이스
  • 위암케이스 선암(adenocarcinoma)이며, 이들 대부분은 소만 부위의 원위부 쪽에서 발견된다. 원발성 림프종과 평활근 육종(leiomyosarcoma)은 흔치않다. 유암성암(carcinoid cancer)과 전이성암은 드물게 나타난다. 위암은 직접 췌장으로 전이하거나 임파선이나 혈행을 따라서 간, 폐, 뼈로 전이된다. 암 전이의 특별한 경로는 종향의 위치와 형태에 따라 다르다. 어떤 것은 침투해 들어가고, 어떤 것은 궤양을 일으키며, 어떤 것은 조직면을 따라 퍼져나간다. 위암은 암이 위벽에 침투하기 전인 초기 단계에 절제해 낼 수 있다. 이러한 종양은 환자들의
  • 위암 케이스(Stomach Cancer case)
  • 위암 케이스(Stomach Cancer case)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위암은 전 세계적으로 폐암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발생빈도를 나타내는 악성종양이며 우리 나라에서는 최근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 중앙 암 등록 본부의 발표에 의하면 전체 암 발생의 원인 중 20.9%로 간암(12.2%), 폐암(16.4%), 대장암(9.6%), 방광암(3.5%)에 앞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위암은 남성(24.4%)과 여성(16.3%) 모두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며 인구 10만 명당 남자는 46명, 여자는 27명에서 발병하여 연간 위암 환자 수는 남자가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