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뇌경색 간호과정
해당 자료는 29페이지 중 10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29
  • 품질인증

성인간호학 뇌경색 간호과정

자료번호 m1395179
수정일 2016.12.04 등록일 2016.11.02
페이지수 29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ao******** 가격 3,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성인간호학 신경계 병동 케이스스터디입니다. 참고하세욤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문제목록 우선순위
3. 간호과정 적용
1)수술 후 두개내압상승과 관련된 조직관류장애
2)뇌손상과 관련된 언어장애

본문내용

성인간호학 뇌경색 간호과정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WHO는 “뇌졸중은 급속히 발생한 국소적인 뇌기능의 장애가 24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그전에 죽음에 이르는 것으로 뇌혈관의 병 외에는 다를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뇌졸중은 뇌의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나며 손상 받은 혈관의 위치나 범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장애를 초래한다. 뇌졸중은 갑자기 발병하는 응급질환이므로 신경계 결손은 물론 영구적인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뇌졸중은 전 세계에서 사망과 주요장애원인의 2위를 차지한다. 비록 우리나라에서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지난 몇 년 동안 감소했지만 뇌혈관 질환은 두 번째로 흔한 사망과 성인장애의 주원인이다. 또 뇌졸중 치료를 위해 소요되는 경제·사회적 손실 또한 심각하다.
실습을 하면서 즉각적인 치료를 해주지 않으면 심각한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뇌경색에 대해 더 깊은 공부가 필요하다고 느꼈고, 뇌경색에 대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간호중재를 알아보기 위해서 뇌경색에 대한 Case를 잡게 되었다.

Ⅱ. 문헌고찰


▶ 경동맥 협착증
[carotid artery stenosis]

정의
경동맥이란 흉곽 내 대동맥에서 목을 지나 안면과 두개골 내로 들어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주된 혈관으로 목의 좌우에 있으며 그림과 같이 총경동맥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내경동맥과 두피와 얼굴에 혈액을 공급하는 외경동맥으로 나뉘어진다.
경동맥 협착증은 대부분 동맥경화증에 의해 발생한다. 오래된 파이프에 찌꺼기가 끼여 파이프 안이 지저분하고 좁아지는 것처럼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경동맥에 주로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칼슘 등이 침착해 동맥경화성 병변이 생겨 경동맥 내강이 좁아지거나 완전히 막히는 경우, 또는 동맥경화성 병변에서 작은 혈관벽 부스러기(색전)가 떨어져 나와 혈류를 타고 뇌동맥으로 흘러 들어가서 뇌경색을 유발한다.


위험
요소
고령,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비만, 흡연 등이 동맥 경화를 유발하고 경동맥 협착증의 위험을 높이게 된다. 동맥경화는 동맥 내벽에 지방과 염증세포, 섬유소가 끼어 혈관이 좁아지는 것인데, 이러한 현상은 어느 동맥에서나 생길 수 있으므로 더욱 주의해야 한다.
증상
동맥경화로 인해 뇌혈관이 좁아지면 뇌로 가는 혈류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해당 뇌가 맡은 기능이 감소한다. 따라서 의식, 생각을 담당하는 대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 좁아지면 치매나 혼수가 오고, 감각, 동작을 맡은 대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 좁아지면 반신마비, 및 감각 소실이 있을 수 있으며, 동작 조절을 맡은 소뇌를 맡은 동맥이 좁아지면 걸음을 소위 갈지(之)자로 걷게 된다.
경동맥은 목에서 얼굴로 올라가면서 외경동맥과 내경동맥으로 나뉘어지는데, 내경동맥은 안구에 혈액을 공급하므로 내경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면 시력도 영향을 받을 수 있고, 내경동맥이든 외경동맥이든 굵은 부위가 막힐수록 손상을 받는 부위는 넓어진다. 많은 경우 증상 없이 지내기도 하지만 일시적으로 뇌로 가는 피의 공급이 차단되어 수초에서 수분에 걸쳐 중풍과 비슷한 여러 증상을 일시적으로 느끼는 경우도 있다.
진단
1. 경동맥 혈관초음파


경동맥 혈관초음파는 비침습적이고, 위험이 없으며, 협착의 정도 및 협착부위 등을 비교적 쉽게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경동맥 협착증이 의심되는 환자에 있어 가장 먼저 추천되는 검사다.

2. 혈관조영술





혈관조영검사 상 경동맥의 협착이 보임




3. 컴퓨터 단층촬영(CT)






CT검사상 경동맥에 협착이 보임.





CT 의 장점은 빠르게 영상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동맥으로부터 뇌혈관에 이르기까지 혈관 및 주변 조직에 대한 해부학적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많이 이용된다. 그러나 조영제에 부작용이 있는 환자 혹은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주의를 요한다.

4. 자기공명영상 혈관조영술 (MRI+MRA)


MRI와 MRA를 통해 뇌실질에 대한 정확한 정보뿐 아니라 경동맥 및 뇌순환에 대한 정보도 함께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치료
경동맥 협착증의 치료 목적은 뇌경색의 예방이다. 치료의 대상은 뇌경색 혹은 안구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는 경동맥 협착이 50% 이상이면 치료를 권한다. 증상이 없더라도 경동맥 협착이 70% 이상이면 치료를 권한다.

1. 약물요법

1) 고지혈증 치료제 : 고지혈증 치료제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이미 생성된 경동맥 병변을 안정화시키며, 뇌졸중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 항혈소판제제(aspirin, clopidogrel), 항응고제제(heparin, warfarin) : 항 혈소판제제와 항응고제는 혈액 응고를 억제

참고문헌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main/index.do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main.do
킴스 의약정보센터http://www.kimsonline.co.kr/
성인간호학 하 6판,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외 7명 저, 현문사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차영남, 장효순, 한혜실 외 2명 저, 현문사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JUDITH M. WILKINSON 저, 김조자 역, 현문사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성인간호학 뇌경색 간호과정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성인간호학 뇌경색 케이스
  • 가. 대상자 데이터 베이스 Ⅰ.성인 건강사정도구 A. 일반적 사항 성명 최○○ 병실 6층 입원일 2003.12/01~ 입원경위 응급실 연령 만 69세 입원 시 의식상태 :confused 학생의 대상자 간호기간 :12.2.화~12.10.수 1. Dx ① Cerebellar infarction (Lt medial aspect) ② old CVA ③ HTN ④ hyponatremia, hypokalemia 2. P.I- 환자는 9년전 Lt sideweaknes로 Rt. CVA진단 받았음
  • Cerebral Infarction 간호과정(뇌경색)
  • Cerebral Infarction 간호과정(뇌경색) ◎ 현재의 건강문제(발병시부터 현재까지의 병력 포함) 1997년 당시 대상자가 심한 피로와 식욕부진을 호소하던 중 2층 계단도 올라가지 못할 정도로 피로감이 심해지자 에서 검진을 받았음. 심전도검사결과 Mitral valve에 이상이 있다고 하여 11월에 에서 MVR(Mitral Valve Replacement)를 받았으며 회복된 상태로 퇴원함. 년 1월 20일 식당에서 부인과 장사준비를 하던 중 쓰러져 급하게 ER통해 입원하였음. 이때 Lt .Cbr (Cerebral) infarction 진단받았으며 치료
  • 뇌경색 간호과정
  • 뇌경색 간호과정 Ⅰ. 기초자료수집 1.개인력 ①환자이름 : 왕oo ②병실 : SICU ③나이 : 41세 ④성별 : 남 ⑤주소 : 전남구례군 구례읍 봉돌리 402-8 ⑥결혼상황 : 결혼함 ⑦직업 : 횟집 주방장 ⑧종교 : 무교 ⑨학력 : 고졸 ⑩진단명 : S-ICH(LT thalamus) IVH ⑪입원일 : 2006년 2월 10일 ⑫면담일 : 2006년 2월 10일 ⑬정보제공자 : 부 2.건강력 (1)현병력 ①주호소 : M/S Stupor (정신상태 혼미) ②증상의 발현과 질병의 진행과정 : 2000년 필리핀에서 교통사고로 우뇌출혈이 있
  • 뇌경색 케이스(Cerebral Infarction Case Study)
  • 뇌경색 케이스(Cerebral Infarction Case Study) Ⅰ. 문헌고찰 1. 병태생리 뇌경색은 뇌조직의 국소부위에 혈관폐색으로 인한 혈류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발생한다. 뇌경색의 병리기전과 관련된 몇 가지 가설들은 다음과 같다. ․ 갑작스러운 혈관 폐색(색전)은 폐색된 혈관의 분열된 공급에 의해서 조직경식을 초래한다. ․ 점진적인 혈관경색(죽상경화증)은 만일 부차적인 혈액공급이 충분할 경우 경색을 유발하지 않을 수 도 있다. 완전히 폐색되지는 않았으나 경화된 혈관들이 있어 저산소 부위에 부차적인 혈액공급이 포합된다면 경색
  • 뇌경색 간호과정
  • 뇌경색 간호과정 I. 기초자료 수집 1. 개인력 환자이름: 조oo 병실: SICU 나이: 46 성별: 여성 주소: 보험: 결혼상황: 유 직업: 자영업 종교: 무 학력: 고졸 진단명:IVH(Lt) S-ICH(Lt BG) 입원일:06.08.06 면담일: 06.08.06 정보제공자:동생 2. 건강력 (1) 현병력 ① 주호소(chief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