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의 정의, 감염회로, 감염단계 A+
해당 자료는 6페이지 중 2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6
  • 프리미엄

감염의 정의, 감염회로, 감염단계 A+

자료번호 m1399145
수정일 2016.12.30 등록일 2016.12.29
페이지수 6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sj***** 가격 1,5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감염(infection) 감염의 정의, 감염회로, 감염단계
  • 감염(infection) 감염의 정의, 감염회로, 감염단계 1)감염의 정의 ▶감염(infection) : 미생물(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이 민감한 숙주로 침입하여 질병을 일으켜 정상조직을 손상시키거나 기능장애를 초래하는 것 - 감염성 질병은 다른 사
  • [간호학] 감염의 정의 감염회로 감염단계
  • [간호학] 감염의 정의 감염회로 감염단계 Ⅰ. 서론 우리는 2013년 3월 20일 이틀간의 off를 마치고 Evening 근무를 위해 출근했다. 출근 후 인계를 받고 환자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rounding을 하고 있던 중 서영인(가명)님의 보호자에게 현재 서
  • 감염의 정의, 감염회로, 감염의 단계, 감염에 따른 분류
  • 감염의 정의, 감염회로, 감염의 단계, 감염에 따른 분류 감염에 대한 신체방어 1)비특이적 방어 가. 해부·생리적 장벽 - 피부와 점막 : 미생물에 대한 일차 방어선이다. 곰팡이는 피부에 살 수 있지만 피부를 침범할 수는 없다. 피부의 건

소개글

감염의 정의, 감염회로, 감염단계 A+ 레포트입니다.
좋은 성적 거두시길 바랍니다~!

목차

1. 감염의 정의

2. 감염회로
1) 감염원
2) 저장소
3) 탈출구
4) 전파방법
(1)직접전파
(2)간접전파
(3)공기전파
5) 감수성 있는 숙주의 침입구
6) 감수성이 있는 숙주

3. 감염단계

4. 감염에 따른 분류
1) 부위에 따른 분류
2) 시기에 따른 분류
3) 의료관련 감염
4) 임상 증상에 따른 분류

본문내용

감염의 정의, 감염회로, 감염단계 A+
1. 감염의 정의
- 감염(infection) : 미생물(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이 민감한 숙주로 침입하여 질병을
일으키는 것 ☞ 정상조직을 손상시키거나 기능장애를 초래
※ 감염의 증상과 징후가 뚜렷하고 다른 상태와 구분될 때 감염은 질병이 됨
※ 감염성 질병 : 다른 사람에게 직접 전파되는 것, 전염병이라고 불리기도 함
- 집락화(colonization) : 미생물이 숙주 내로 침입하여 증식만 하고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것

2. 감염회로
- 감염회로 : 감염이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6개 요소인 <감염원, 저장소, 탈출구, 전파방법,
침입구, 감수성이 있는 숙주> 의 연결회로를 말한다.
- 감염회로를 차단하면 감염을 조절하고 예방할 수 있다.


1) 감염원(=병원체)(etiologic agent)
-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성 미생물
-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유기체에 서식하면서 감염성 질환을 일으킴)
- 감염이 잘 일어나는 요인 ☞ 병원성 미생물의 수가 많을수록
독성이 강할수록
숙주 체내에 침투하는 능력이 강할수록
숙주와 접촉 빈도가 높을수록
미생물에 대한 숙주의 감수성이 높을수록
숙주의 체내에 대한 적응력이 높을수록



-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과 증식을 위한 자연 서식지 (사람, 대상자 자신의 미생물, 동
물, 토양, 음식, 대소변)
- 사람이 저장소인 경우, 증상이 있는 환자와 증상은 나타내지 않으면서 몸속에 있는 병원균을 옮길 수 있는 보균자(carrier)로 나눌 수 있음
3) 탈출구(portal of exit from reservoir)
- 숙주에 감염을 일으키기 위해서 미생물이 저장소에서 빠져 나가는 출구
- 소화기계, 호흡기계, 비뇨생식기계, 혈액, 피부 등을 통해 빠져나감
참고자료) 병원성 미생물의 숙주 저장소와 탈출구
신체 저장소
주요 병원성 미생물
탈출구
호흡기계
Parainfluenza virus
Mycobacterium tuberculosis
Staphylococcus aureus
코와 입(재채기, 기침, 호흡, 말하기)
소화기계
Hepatitis A virus
Salmo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감염의 정의, 감염회로, 감염단계 A+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병원감염 (정의, 종류와 기준, 경로 및 대책)
  • 병원감염 (정의, 종류와 기준, 경로 및 대책) 병원감염이란 입원 이전에 감염되지 않았던 사람이 입원 후 병원 환경에서 병원성 미생물에 노출되어 발생하거나, 이미 가지고 있던 내인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된 감염증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입원 후 48시간~72시간 이후에 발생하는 감염을 말한다. 입원 당시에 잠복상태가 불분명한 경우는 일단 병원감염으로 간주하며, 입원 당시 이미 나타난 감염이라도 과거 입원과 연관이 있으면 병원감염으로 간주한다. 퇴원 후 발생한 감염이라도 퇴원 당시 잠복상태였거나 입원과 연관되었다면 병원감염으로 판단한다. 입원당시 있었던 기
  • 병원감염과 간호 - 병원감염의 정의, 분류, 목적, 병원감염의 종류
  • 병원감염과 간호 - 병원감염의 정의, 분류, 목적, 병원감염의 종류 ㆍ병원감염의 정의 -입원 당시에 없었던 혹은 잠복하고 있지 않던 감염이 입원 기간 중 -외과 수술 환자의 경우 퇴원 후 30일 이내에 발생하는 것 -입원 당시 이미 나타난 감염 (과거 입원과 연관이 있으면 병원감염으로 간주) -신생아의 경우 분만과 관련된 감염 -병원직원이 감염되는 경우 ㆍ병원감염의 분류 감염 양상에 따라 외인성 감염과 내인성 감염으로 나눌 수 있다. 외인성 감염이란 환자나 병원 직원, 면회인 등 사람에서 사람을 매개로 하는 경우와 또는 사람에서 진료용 기구나 기재 등
  • 병원감염의 정의와 예방방법
  • 병원감염의 정의와 예방방법 1.병원감염의 정의 -병원감염은=내인성감염+외인성감염 •내인성감염: 환자 자신의 구강, 장 등에 정착하고 있는 세균에 의해서 유발되는 감염이며 환자 자신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외인성 감염: 외부에 있는 균이 들어와서 생기는 감염이며, 진료의 목적으로 쓰이는 여러 가지 처치와 관련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과정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기구나 물품, 혹은 의료인이나 환자의 피부나 손에 있던 정상 상재균이나 일시적인 오염균에 의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발생된는 감염을 말한다. -병원감염(H
  • 병원감염의 정의와 대책
  • 병원감염의 정의와 대책 1. 병원 감염의 정의 감염증이 발생하려면, 원인 미생물의 존재, 생체의 감염하기 쉬운 부위의 존재, 감염증을 발생시키는데 충분한 균량, 감염 경로의 성립의 모든 조건이 채워지는 것이 필요하다. 감염 제어는 이러한 제 조건의 적어도 하나를 채우지 않게 해서, 감염증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고(prevention) 발생한 감염증을 확산 시키지 않은 것(control)을 의미 한다. 병원 감염(원내감염)이란, 병원내에서 체내에 침입한 미생물에 의해 일으켜지는 감염증이며, 퇴원 후에 발병해도, 입원중에 침입한 미생물에 의한 감염증이면, 병원 감염이
  • 감염의 정의 및 병원감염의 정의 및 치과에서의 감염 방생원, 경로, 종류 및 예방법
  • 감염의 정의 및 병원감염의 정의 및 치과에서의 감염 방생원, 경로, 종류 및 예방법 감염의 정의 및 병원감염의 정의 및 감염 발생원, 경로, 종류 및 예방법 1.감염의 정의 (Infection) -감염이란 사람, 동물 환경 등에 존재하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원생동물 등이 인체에 접촉되어 침입, 증식하는 것을 말한다. 체내의 면역과 감수성에 따라 병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도 있고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감염원(infeclion source), 독소(toxin)에 의해 감염이 되어 임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감염병(communicable disease)이라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