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급성장염 케이스스터디
해당 자료는 12페이지 중 4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2
  • 구매만족

소아과 급성장염 케이스스터디

자료번호 m140581
수정일 2012.09.19 등록일 2003.10.29
페이지수 12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ls****** 가격 5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소아과 급성장염 케이스스터디 자료입니다.

목차

AGE(급성장염)
1.급성장염의 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검사
5.치료

1.간호사정
1)일반적 사항
2)건강력
3)현 병력
4)현재 신체상태
5)가족사항 및 입원에 대한 반응
6)환아의 사회성

2.진단검사
①혈액검사
②소변검사(Urinalysis)
③일반화학검사
④electrolyte
⑤stool c&s bacteriology
3.약물
4.문제목록 작성
5.간호과정적용

본문내용

소아과 급성장염 케이스스터디
1.급성장염의 정의
→장염이란 장에 염증을 일으키는 병으로서, 바이러스성 장염과 세균성 장염이 있다. 아이들에게 생기는 장염의 대부분은 바이러스성이며 세균성 장염으로는 이질, 장티푸스, 식중독 등이 있다.
2.원인
→급성 장염은 그 원인에 따라 감염성 장염과 단순성 장염이 있다. 감염성 장염은 여러 가지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하여 급성 장염을 일으킨 것이다. 그리고 단순성 장염은 너무 차거나 매운 음식을 많이 먹거나, 식품 혹은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등으로 장염을 일으킨 것이다.
3.증상
→열이 나고 토하면서 설사를 한다: 열이 펄펄 나면서 아주 심한 경우에는 열성 경련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리고 토하기 시작한다. 토하는 것이 심할 때는 먹은 음식뿐만 아니라 물도 토해서 아이가 처지게 된다. 이렇게 토하는 아기는 약을 먹여도 그것마저 토하기 때문에 엄마를 당황스럽게 만들기도 한다. 보통 2~3일 동안 열이 나고 토를 하게 되는데, 그 후에는 토하는 것이 약간 줄면서 설사를 하기도 한다. 이때 심한 경우는 설사를 좍좍 할 수도 있다. 초기에는 열감기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초기에는 열감기와 아주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서 일단 열감기라고 진단을 붙이고 치료를 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
4.진단검사
→대변검사, 대변 배양, 장 내시경 검사 등으로 진단은 비교적 쉽다.
5.치료
→감염성 장염은 항생제나 항균제를 투여하고 단순성 장염은 그 원인이 되는 음식물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느 쪽이든지 급성 장염의 진단이 내리면 죽이나 미음과 같은 유동성 음식만을 투여하든지, 아예 한두 끼니 정도는 금식시키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 설사가 심하여 탈수나 전해질의 소실이 심하면 경정맥 수액요법으로 전해질과 당분, 수분을 공급하고, 장운동을 억제시키는 항콜린제, 장내세균총을 정상화 시키는 유산균제제, 음식물의 소화를 돕고 장내 가스를 제거하는 조화효소제 등을 사용한다.

1.간호사정
1)일반적 사항
*성명: 최민혁
*성별: M
*생년월일: 2002년 4월 11일(13개월)
*주소: 서대문구 홍제동
*아이를 주로 돌보는 사람: 엄마
*면담자: 엄마
2)건강력
①출생력
*출생장소: 강남성심병원
*분만형태: C/S
*출생 시 산모상태: 정상
*출생 시 신생아 상태: 정상(출생시 체중: 3.65kg)
②과거력
*과거질병력: 없음
*입원 및 수술 경험: 없음
③과민반응: 특별한 과민반응 없음.
연 령
종 류
접종여부
0-1주
B형간염
O
0-4주
BCG
O
2개월
B형간염
DTaP,폴리오
O
4개월
DTaP,폴리오
O
6개월
DTaP,폴리오
O
12-15개월
MMR
X
④예방접종
*특이반응 없음
⑤현재 복용 중인 약물
→병원에서 나오는 약: KMOXU(kmoxsiline), AAP(Acetaminophen), TMBS(polybutine), VDS(Streptokinase), SMT(Dioctahedral smectite)
3)현 병력
*주호소:fever(6일째), diarrhea(3일째)
*입원시 의식 상태: 정상
*입원경로: ER통해 입원.
4)현재 신체상태
①T P R :37.9 132 40
→열이 계속해서 올랐다 내렸다를 반복함.
②영양 및 대사상태
*분유와 밥을 같이 먹는다. 거의 밥을 먹고 졸릴 때나 잠자기 전에 분유를 먹는다.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음식: 김치를 좋아하고 치즈를 싫어한다고 함.
*치아수: 8개(위에 4개, 아래에 4개)
*피부상태: 정상
*과다수분손실: 내원 3일전부터 설사 있음.
*수분대사상태: 평소보다 소변 적게 본다고 함.
③배설상태
*기저귀 착용: 5~8개/1일 ,대변은 하루 0~1회정도, 소변은 5~6회정도
④활동과 휴식
*목욕: 집에선 하루에 한번 씩, 입원 후에는 목욕 하지 못함.
*놀이: 장난감가지고 잘 놈.
*활동정도: 거의 유모차에 타있거나 침대에 있음.
*자가간호능력: 없음
*수면: 밤에 잘 잔다고 함.
5)가족사항 및 입원에 대한 반응
①가족관계 및 특이사항
→엄마, 아빠, pt
②가족내 의사결정자: 환자의 엄마, 아빠
아이에 대한 의사 결정자: 환자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소아과 급성장염 케이스스터디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급성인두염 case study (소아과)
  • 급성인두염 case study (소아과)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 급성 인두염은 아동기에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일반적으로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대증요법으로 치료 하지만, 박테리아인 group A beta-hemolytic streptococci(GABHS)로 인해 유발되는 급성 인두염은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성홍열, 중이염, 주위 조직의 화농성 감염을 초래하며, 심하게는 급성 사구체신염, 수막염, 류마티스열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단히 위험하다. 또한 4세에서 7세 사이에 발생 빈도가 절정에 다하나, 1세 이하의 영아에게서는 흔하지 않기 때문에
  • 아동 급성장염(AGE) case study
  • 아동 급성장염(AGE) case study ; 대변의 백혈구 검사를 위한 현미경 검사, Gruaiac test(hemoccult, 대변의 잠혈검사), 대변배양과 민감성 검사, 대변 바이러스 검사 등 ① 지방염색 ② 대변세균 배양검사 ③ 원충 및 기생충 검사 : 1주 이상 설사 지속 시 대변에서 entamoeba hystloytica, giadialamblia, strongyloides sterocoralis 등을 찾아 보아야 함 (3) CBC, 전해질 검사 5. 감별진단을 요하는 질환 전염성 질환, respiratory or urinary inf
  • 소아과(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간호과정
  • 소아과(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간호과정 1. 질병과정과 관련된 통증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 ` 위 배가 너무 아파요` - ` 머리 좀 안 아프게 해 주세요` - ` 아프지 않게 약 주세요 ` ․객관적 자료․ - 눈썹을 찌뿌리고 얼굴을 찡그리고 있음. - 하루종일 침실에 누워만 있음. - 배를 문지르고 있음. - 안면 등급 척도(Faces rating scale):얼굴 3 ▶간호진단 : 질병과정과 관련된 통증 ▶간호계획 ․간호 목표 : 대상자는 2시간 이
  • 소아과 실습 케이스 - 급성 세기관지염
  • 소아과 실습 케이스 - 급성 세기관지염 Acute Bronchiolitis (급성 세기관지염) 1. 정의 세기관지염은 세기관지와 소기관지의 염증이다. 2세 미만의 영아에게 종종 발생되고 6개월 된 영아에게 가장 빈번하다. 겨울과 봄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아동이 1세때 세기관지염을 앓았다면, 성장하면서 천식으로 발달하는 경우가 있다. 2. 원인/빈도 급성기관지염은 하부기관과 상부기관지에 나타나는 염증과정이다. 해당자료는 한글2002나 워디안 자료로 한글97에서는 확인하실 수 없으십니다.
  • 아동간호 소아과(PED)case study - 급성 기관지염
  • 아동간호 소아과(PED)case study - 급성 기관지염 Ⅱ. 과거력 1) 출생력 ① 장소 : local 병원에서 분만 ② 분만형태 : NSVD ③ 출생시 체중 3kg 2) 질병력 : 없음 3) 수술력, 입원력 : 없음 4) 알레르기 : 없음 5) 예방접종력 : BCG, 간염, DDT, 소아마비, 홍역, 볼거리, 풍진 모두 접종 함 Ⅲ. 현병력 1) 주호소 : 내원 2일전부터 fever, cough로 local에서 Tamiflu 포함하여 약 처방받았으나 호전 없어 내원함. 2) 질병명 : A
최근 본 자료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