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환자의 신체 사정과 중증도 분류
해당 자료는 21페이지 중 7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21
  • 품질인증
  • 프리미엄

응급환자의 신체 사정과 중증도 분류

자료번호 m1549893
수정일 2021.02.15 등록일 2021.02.15
페이지수 21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ya*** 가격 4,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응급 간호
  • 환자의 흉골을 압박하여 흉골을 3.8cm~5cm 가량 응급간호 1.응급처치의 기본 접근 방법 1)응급 사정 2)응급환자 중증도 분류 3)심폐소생술과 기도 관리 4)기관내삽관 Intubation 신체영역별 응급상황과 간호 1.심장계 응급간호 2.맥관계 응
  • 간호,성인, 응급실 사전 학습
  • 신체 표면에만 손상을 입은 것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에는 확실히 입증되기 전까지 일단 체강이 침범되었다고 간주된다. 의사가 환자의 상처 깊이를 결정할 때까지 2단계 응급상황으로 분류된다. ● 독성물질 중독이나 약물남용 중독은 무
  • STEMI(ST분절상승 심근경색) 케이스
  • 요구된다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 질병에 관한 기술 - 심근경색(MI) Ⅲ. 간호과정 - 간호사정 - 간호력, 신체검진, 검사, 치료 및 경과, 투약 - 간호과정의 적용 Ⅳ. 결론 - 참고문헌 - 실습후기

소개글

『응급환자의 신체 사정과 중증도 분류』

I. 중증도 분류
II. 성인에서 KTAS(한국형 중증도 분류)의 적용

목차

『응급환자의 신체 사정과 중증도 분류』

I. 중증도 분류

1. 중증도 분류란 무엇인가?
가. 중증도 분류의 정의
나. 중증도 분류의 목표
다. 중증도 분류간호사의 역할

2. 응급실에서의 중증도 분류
가. 응급실 내원 환자의 독특한 특성
나. 과밀화 상태에서 중증도 분류
다. CTAS와 KTAS

3. 중증도 분류 과정
가. “첫인상 위험도 평가(Critical first Look)”
나. 감염 관리
다. 내원 사유 확인
1) 주관적 평가
2) 객관적 평가
3) 호소하는 증상의 선택
라. 중증도 단계 결정
마. 줄 세우기(Line-ups)
바. 재평가 하기


II. 성인에서 KTAS(한국형 중증도 분류)의 적용

1. KTAS(한국형 중증도 분류) 단계
가. KTAS(한국형 중증도 분류)의 5단계
1) KTAS 1 단계 – 소생
2) KTAS 2 단계 – 긴급
3) KTAS 3단계 – 응급
4) KTAS 4단계 – 준응급
5) KTAS 5단계 – 비응급
나. KTAS 단계 결정하기
1) 1차 고려 사항
가) 활력징후 고려사항
(1) 호흡곤란
(2) 혈역학적 안정성
(3) 의식 수준
(4) 체온
(5) 통증

2) 2차 고려 사항
가) 혈당
나) 탈수
다) 성인에서의 혈압
라) 2차 고려사항의 기타 증상

2. KTAS(한국형 중증도 분류) 성인 환자 사례
3. 특수한 상황의 사례(2차 고려사항)
가. 중증도 분류 시 주의사항

[참고문헌/인터넷자료]

본문내용

응급환자의 신체 사정과 중증도 분류
I. 중증도 분류

1. 중증도 분류란 무엇인가?

가. 중증도 분류의 정의

Triage는 sort(분류하다, 솎아내다)라는 의미를 가진 불어이다. 환자의 위급한 정도와 질환의 종류에 따라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분류되는 과정을 말한다. 환자가 호소하는 문제의 중증도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평가하고 결정하며 중증도 분류 범주로 나누는 것, 적절한 치료 방향을 정하고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의료와 인적자원을 배정하는 것을 중증도 분류라고 한다. 제1차 세계대전, 제2차 세계대전, 베트남 전쟁을 겪으면서 중증도 분류가 개선이 되고 발전되었는데 ‘최소의 인원과 최소의 물자로 최대한 많은 사람을 위해 최선의 진료를 제공한다 (Simoneau, 1985)’ 는 기치 아래 활용되었다.
병원에서의 중증도 분류를 하는 이유는 중증도가 가장 높은 환자에게 가능한 빨리 의료 자원을 배정하기 위한 것이다. 1960년대 초반, 미국에서 메디케어 도입 후 응급실을 방문하는 환자수의 증가를 해결하고 비응급 환자를 적절히 처리하기 위해 중증도 분류가 병원에 소개되고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초기에는 다양한 중증도 분류방법이 사용되었는데 대개는 3 단계 중증도 분류법(응급,긴급, 비응급/지연)이 적용되었고 현재 미국에서는 ESI(Emergency SeverityIndex)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1980-1990년대 국내외적으로 응급실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중증도가 높아짐에 따라 응급실 중증도 분류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기 시작하였으며 각 나라에서 자국의 의료시스템에 맞게 개발 또는 인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나. 중증도 분류의 목표

중증도 분류 자체가 환자들이 진료를 보는데 방해물이 되거나 심각한 지연을 유발하는 주범이 되어서는 안 되며 가장 적절한 치료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되어야 한다. 즉, 연속된 의료선상에서 ‘올바른 환자, 올바른 장소, 올바른 시간, 올바른 치료자에게로’ 이르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Right patient, Right place, Right time, with Right care giver’.

다. 중증도 분류간호사의 역할

중증도 분류는 단지 척도에 따라 평가한 숫자가 아니라 일련의 과정이란 것을 기억해야 하며 사람, 의사소통, 의료 자원을 포함해야 하며 분류 과정에서 조정과 중재까지도 포함해야 한다. 중증도를 분류하는 가장 큰 효과는 가장 먼저 진료가 필요한 사람, 우선순위가 높은 환자를 찾아내고, 대기가 불가피한 경우의 환자에게는 중증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대한응급의학회 KTAS 위원회.(2015). 한국형 응급환자분류도구 강사교육 매뉴얼.
∙Bullard, M., Unger B, Spence J, Grafstein E. Revisions to the Canadia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and Acuity Scale(CTAS) Adult Guidelines. CJEM, 2014, 2016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2017). Trauma Nursing Core Course Manual.
∙Revisions to the Canadia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and Acuity Scale (CTAS) Guidelines 2016,
: Michael J. Bullard, MD*; Erin Musgrave, MN, RN; David Warren, MD; Bernard Unger, MD§; Thora Skeldon, RN, BSN; Rob Grierson, MDǁ; Etienne van der Linde, MD; Janel Swain, ACP, BSc, BEd; on behalf of the CTAS National Working Group, Canadian Association of Emergency Physicians, CJEM, 2017:S18-S27
∙http://www.ktas.org/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응급환자의 신체 사정과 중증도 분류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응급환자에 대한 세부처리 방향
  • 응급환자에 대한 세부처리 방향 응급환자에 대한 세부처리 방향 1. 가능한 신속하게 환자의 활력증상(vital sign)을 측정하고 환자를 사정한다. 2. 증상에 따라 응급처치를 실시한다. 3. 환자의 활력증상 및 응급처치 상황을 육하원칙에 의해 보건일지에 기록한다. 4. 상황을 판단하여 위급한 경우 전문 의료기관으로 후송한다. 5. 환자 후송 시 관련자(담임교사, 행정관계자 등)의 협조로 원활한 후송을 한다. ※현장 응급처치의 지침 및 요령※ 학교 응급상황의 일차 처치자인 보건교사는 다음과 같은 지침과 요령을
  • 중환자실 -응급약물 정리
  • 중환자실 -응급약물 정리 (1) Atropine sulfate 0.5㎎/1㏄ 1@ 작용 - 중화작용이 가장 빠른 약물로 이 약 1g은 12mEq산을 중화, sodium염은 위산과 반응 중화한 후 여분은 장관에서 흡수되어 혈액을 alkali화할 위험성이 있다(systemic action). 과량연용은 위액의 pH를 7이상으로 올릴 수 있고 위내의 pepsin 소화를 방해하며 sodium은 흡수되므로 alkali화되고 식 욕감퇴, 쇠약, 정신혼돈, 신장장애, 과칼슘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CO2 gas는 위장을 확장시켜 천공(perforation)이 될 우려가 있으며
  • 응급환자 사정
  • 응급환자 사정 응급환자 사정 1. 병원 전 응급현장 평가 병원 전 응급환자 발생 현장에는 전문의사가 없기 때문에 환자에 대한 판단과 처치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환자 평가 자료에 근거하여 응급처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해야 하며 이것에 따라서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를 조속히 파악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부정확한 환자의 평가로 응급처치가 지연되거나 응급처치 우선순위가 뒤바뀌어 환자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응급처치 단계를 명확하게 인지해야 한다. 1) 사전평가 응급구조사는 각 지역 소방서 상황실이나 응급
  • 응급실의 중증도 분류
  • 응급실의 중증도 분류 응급이라 함은 한 개인이 갑작스런 질병, 상해로 인하여 건강과 안녕이 급속히 위협받는 긴박한 상황에 처하게 됨을 말하며 응급간호라 하는 것은 돌발적이고 예기치 못한 긴급상황에 처한 대상자에게 생명을 구하고 유지하며, 질병이나 손상의 약화방지를 막고 통증의 경감을 위하여 신체적, 심리적인 문제를 즉시 사정하고 진단하며 치료를 제공하는 인명구조술을 말한다. 현재는 국민의 건강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짐으로 인해 의료기관을 찾는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비응급환자의 응급실 내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응급실의 과밀화와 더불어 비응급환자의 내원이 증가
  • 기본간호학 실습 응급실 환자 병명 조사
  • <환자자료> : 최금연, 여, 74세, NS과 Cord injury 척수외상 정의: 척수 손상에 의한 하반신 마비란 질병이나 교통사고, 산업 현장에서의 추락 사고 등의 외상 등에 의해서 흔히 목 뼈(경추), 등 뼈(흉추), 허리 뼈(요추), 꼬리 뼈(천추) 등으로 불리는 척추 뼈 안에 들어 있는 척수(척수신경레벨에 따른 감각분포)가 손상을 받아 손상 받은 부위 아래의 몸통과 양 다리의 근육 운동 기능과 감각 기능, 자율 신경 기능 등이 이상을 일으킨 상태를 말합니다. <환자자료> : 신호우, 73세, 남, NS과 Cerebrovascular accident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