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계
해당 자료는 14페이지 중 4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4

호흡기계

자료번호 m170802
수정일 2008.12.18 등록일 2004.04.11
페이지수 14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mi**** 가격 2,3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호흡기계 질환
  • 호흡기계 질환 1. 호흡기계 질환이란? 인체의 신진대사에 필요한 산소의 공급과 노폐물로 만들어진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곳을 호흡기관이  라하며, 이곳에 생긴 질환을 호흡기계 질환이라 한다. 2. 호흡기계 질환의 증상 및 종류 -
  • 호흡기계 간호(호흡기계,호흡음의청진,산소요법,네불라이저,체위배액,진단검사와간호,간호진단,간호중재)
  • 호흡기계 간호(호흡기계,호흡음의청진,산소요법,네불라이저,체위배액,진단검사와간호,간호진단,간호중재) 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I. 상부호흡기계(upper raspiratory tract) 1. 구조와 기능 1) 코와 부비동(nose & sinus) - 비강: 입천정, 전두골, 사
  •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상부호흡기계
  •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상부호흡기계 1. 상부호흡기계 1. 코와 부비동 1) 구조 - 비중격에 의해 두 개의 콧구멍으로 나뉨 ① 비중격 - 구성 : 연골․뼈 - 곧다(휘거나 비전정 안으로 튀어나와 있을 수 있음) ② 비강 - 입천정․전두골(fr

소개글

목차

1.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1) 아동 호흡기계의 학습의 필요성
2) 호흡기계의 일반적인 구조
3) 호흡기계의 발달

2. 아동 호흡기계의 생리적 특징
1) 흉벽과 호흡근육
2)기도 (airway)
3)폐포와 폐실질 (alveoli , parenchyma)
4) 호흡작용
5) 관련되는 생리적 요인들
◈ 아동 호흡기계의 해부 생리적 특징과 간호의 중요성 ◈

3. 검사 및 주의점
1) 임상검사
2) 흉강천자(thoracentesis)
3) 동맥혈 가스(arterial blood gases)
4) 내시경 검사(endoscopy) - 기관지내시경검사
5) 폐생검(lung biopsy)
6) 방사선 검사
7)폐기능 검사(pulmonary funtion tests)

본문내용

호흡기계
1) 아동 호흡기계의 학습의 필요성
호흡기계 장애는 아동에게 가장 흔히 볼 수 있다. 특히 상기도 감염(감기)이 흔하지만 장기간 질병에 노출되는 경우는 천식이 주 요인이다.
영아기는 폐조직이 계속 성장하고 있으므로 성인보다 폐실질 조직의 손상으로부터 회복될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 호흡기 상태는 영아가 성인보다 민감하여 기도폐쇄나 호흡부전을 더 자주 초래한다. 호흡기계 장애 아동을 간호하는 간호사는 성장발달에따른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의 차이점을 이해한다면 좀 더 질적인 아동간호를 수행할 수있을 것이다.
2) 호흡기계의 일반적인 구조
호흡기계 : 상기도, 하기도, 폐조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도는 코, 부비동, 인두, 후두, 기관의 상부로 구성되고, 하기도는 기관의 하부와 기관지, 세기관지로 구성되며, 폐는 폐포관(alveolar duct),폐포낭(alveolar sacs), 폐포(alveoli)로 구성된다. 그리고 호흡기계의 부속구조는 흉막, 횡경막, 흉벽 및 호흡기계를 움직이게 하는 근육 등이다.
비강(nasal cavity) : 부비동(paranasal sinus)은비강을 둘러싼 뼛속의 빈자리로 내면은 얇은 점막으로 덮여있다. 전두동(frontal sinus)과 사골동 (ethmoidal sinus)은 비강에 개구하고, 접형골동 (sphenoidal sinus)은 비인두에 개구하며, 상악동 (maxillary sinus)은 비도(nasal passage)의 후벽에개구한다.
인두(pharynx) : 비인두와 연결되고, 인두와 비인두에 편도조직이 위치한다. 구개편도(palatinetonsils)는 임파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인두 (oropharynx)에 위치하고, 흔히 구강 검진시 볼 수있으며, 인두편도(pharyngeal tonsils)는 adenoids로 불리고, 비인두 후벽에 위치한다. 이관편도 (tubal tonsil)는 이관(eustachian tube)의 비인두 개구부에 위치한다.
.
.후두(larynx) : 성대(vocal cords)를 포함하여 여 러 종류의 후두연골로 구성되며, 그 중에서 갑상연골(thyroid cartilage) 이 가장 크고, 성 인남자는 목 앞에 이것이 유난히 튀어 나오는데 이를 Adam's apple이라고 한다. 윤상연 골(cricoid cartilage)은 갑상연골 아래에 위치하는 가락지 모양의 연골이며, 보통 윤상연 골 하연에서 1cm 되는 곳에 기관절개(trachostomy)가 시행되므로 해부학적으로 중요하 다. 후두의 성대는 공기가 통과할 때 진동으로 발성이 된다. 그러므로 신생아의 울음은 공기가 성대를 통과함으로써 이루어지므로 울음은 곧 호흡을 한다는 의미이다.
.기관(trachea) : 16~20개의 C자형의 연골로 구성되어 있다. 점액(mucus)을 생산하는 세포와 섬모세포(ciliated cell)가 기관과 큰 기관지에 분포하며, 섬모세포는 점액을 호흡기 밖으로 밀어내기 위해 밖으로 향해 움직인다. 기관은 식도 앞을 수직으로 내려가 제 5흉 추 높이에서 좌,우 기관지로 나뉘어진다. 우측 기관지는 좌측보다 더 짧고 굵고 수직이므 로 이물질을 흡인하면 흔히 우측기관지에 들어간다. 기관지도 기관과 같이 연골로 구성되 나 기관지도 기관과 같이 연골로 구성되나 기관지가 세 기관지로 나누어짐에 따라 연골은 거의 없고 세 기관지는 단지 근육과 탄력조직의 얇은 층에 불과하며, 섬모상피가 분포되 어 있다. 세 기관지는 폐포와 연결되고, 작은 공기낭인 폐포는 편평 상피로 구성된다.
.폐(lung) : 중격동(mediastinum)에 의해 서로 구분되고, 횡경막에서 제1늑골의 약1/2인 치 위쪽에 위치한다. 폐의 중심부는 폐문(hilus)이라 하고, 우측폐가 좌측보다 더 크고 넓 으며, 우측 폐는 3엽(상엽, 중엽, 하엽), 좌측 폐는(상엽, 하엽)으로 구분된다.
.흉막(pleura) : 폐를 싸는 두겹의 장막으로 폐표면을 싸는 장측 흉막(visceral pleura)과 흉막내면을 덮는 벽측흉막(parietal pleura)으로 구분된다. 흉막 사이는 좁은 흉막강으로 소량의 액체가 그

참고문헌

① 에센스 아동간호, 심미경 저, 미학사, p244∼245 (2003)
② 가족 중심의 아동간호학 2, 조결자 외 7인, 현문사, p814∼815 (1997)
③ 아동간호학 2, 김희숙 외 공저, 군자출판사, p700 (2003)
④ 아동간호학 각론, 김영혜 외 공저, 정담, p165∼169 (2002)
⑤ 아동건강간호학, 정향미 외 공저, 정담, p467 (2002)
⑥ 아동간호학 1, 홍경자 외
⑦ 소아과학 , 홍창익 편, 대한교과서 p469∼471(1997)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호흡기계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1. 코(Nose) 2. 부비동(Paranasal Sinus) 3. 인두 (Pharynx) 4. 후두(Larynx) 5. 기관 및 기관지(Trachea and Bronchus) 6. 폐포(Alveoli) 7. 폐와 흉막(Lung and Pleura))
  •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1. 코(Nose) 2. 부비동(Paranasal Sinus) 3. 인두 (Pharynx) 4. 후두(Larynx) 5. 기관 및 기관지(Trachea and Bronchus) 6. 폐포(Alveoli) 7. 폐와 흉막(Lung and Pleura)) ▶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호흡기계는 코, 비강,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 세기관지 및 폐로 구성됨. 산소를 취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시키고 혈액의 산, 염기 균형에 관여함. - 호흡기를 위치에 따라 두부분으로 분류하면 코에서 인두까지의 상기도(upper respiratory t
  •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 호흡기계는 인체의 대사 작용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고, 대사산물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는 다음의 네 단계를 통하여 수행된다. 첫째, 폐환기(pulmonary ventilation)과정으로서 대기와 폐 사이의 기체교환을 의미하며, 흔히 이를 호흡(breathing)이라고도 한다. 둘째, 외호흡(external respiration) 과정으로서 폐포와 혈관 사이의 기체교환, 즉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확산이 일어나는 과정이다. 셋째, 기체운반과정으로서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혈액을 통하여 각 조직과 폐로 운반되는 과정이다. 넷째, 내호흡과정으로서 혈액과 조직
  • [간호학]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 [간호학]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1. Overview 3학년 1학기 성인간호학 첫 레포트로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 조사를 하게 되었다. 본 레포트에서는 먼저 호흡기계의 전반적인 구조와 기능을 먼저 간략히 알아본 뒤에, 계속해서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게 된다. 다음 그림은 호흡기계의 전반적인 그림이다.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에서 찾은 자료로 호흡기계 구조의 위치를 나타내 주고 있다. 그림 아래의 표는 각 기관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하는 표이다. 앞의 표는 호흡기계와 관련된 많은 기관을 도식화하고 있는데, 본 레포
  •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상부기도
  •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상부기도 *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1. 호흡기계 구조 1) 상부기도 ① 비강: 호흡점막층의 여과, 가온, 가습에 의한 공기전화 -respiratory mucosa ・촉촉한 점액을 분비하는 장액선과 혈관이 풍부 ・가중층섬모원주상피와 배세포로 구성 ・분비된 점액은 섬모운동에 의해 구인두로 밀려가 삼켜진다. -여과 ・거친 입자는 외비공이 털에 의해 여과 ・1~10㎛정도의 작은 입자는 코나 기관・기관지분비의 호흡점막에 붙게 된다. -가온: 점막액층에서 이루
  • 아동 - 호흡기계
  • 2. 급성 상기도 감염 [급성 바이러스성 비인두염] ․ 코와 인두의 바이러스 감염으로 흔히 rhinovirus, RSV, adenovirus, influenza virus, parainfluenza virus, 아동에게 가장 흔한 감기는 급성 비염이나 코감기등과 서로 동의어로 사용됨. [임상증상] ․ 비인두염은 나이가 어릴수록 증상이 심함. ․ 아동은 열이 갑자기 오르면서 민감해지고 불안정하고 식욕이 떨어지고 활동도 감소함. ․ 비강의 염증은 비강통로에 폐쇄를 일으켜 구강호흡을 할 수도 있음. ․ 구토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