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취 종류, 마취제
해당 자료는 9페이지 중 3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9
  • 구매만족

마취 종류, 마취제

자료번호 m172546
수정일 2010.06.07 등록일 2004.06.30
페이지수 9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sa***** 가격 1,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수술실 실습하면서 마취종류, 마취제, 근육이완제 등 수술과 관련된 마취와, 마취제, 기능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

Ⅱ. 부위마취(Regional anesthesia)

Ⅲ. 부분 또는 국소마취(Local anestheasia)

Ⅳ. 척수 마취(Spinal anestheasia)

Ⅴ. 최면술을 이용한 마취

Ⅵ. 저 체온법

Ⅶ. 특수마취(Special anesthesia)

Ⅷ. 마취 후 합병증과 간호

본문내용

마취 종류, 마취제
Ⅰ.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
어떤 종류의 수술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환자와 수술의에게 최대의 편안함을 주면서 장시간의 수술을 할 수 있고, 극도로 불안한 상태로 깨어있을 때보다 무의식 상태일 때 호흡과 순환기능을 조절하기가 쉽다.
1. 전신마취로 유도되는 상태
① 무통(Analgesia)
② 기억상실(Amnesia)
③ 무의식(Amnesia)
④ 제반사와 근 긴장도 상실(All reflex a muscle tone loss)
2. 전신마취의 조건
① 약물의 작용이 가역적 이어야 한다.
② 그 작용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③ 그 효과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④ 치료계수가 커야 한다. : 최소치사량/최소유효량의 비가 커야만 안전하다.
⑤ 부작용이 최소이어야 한다.
3. 전신마취의 종류(투여방법에 따라)
1) 흡입마취
(1) 마취기전 : 휘발성 마취제 (액체, Gas) 를 호흡기를 통해 폐포로 흡인시킴으로써 폐포 모세혈관을 따라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운동 및 지각신경의 전도를 차단시키며 또한 마취제 투여가 중단되면
마취제가 휘발성이므로 폐를 통해 제거됨.
(2) 흡입방법(Inhalation method)
① 개방점적 방법(Open drop methd) : 소아에게 많이 사용
② By Mask method

참고문헌

Reference
윤혜상 저(2000), 수술실환자간호, 청구문화사(서울)
구숙희 외(2002), 수술간호 실습지침서, 수문사(서울)
김문실 외(1994), 최신 수술실 환자간호, 수문사(서울)
서문자 외(2000), 제 4판 성인간호학, 현문사(서울)
윤혜상 저(1993), 개정판 수술실 환자간호, 청구문화사(서울)
대한간호협회, 수술실 간호 지침서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마취 종류, 마취제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마취학-마취약제
  • 마취학-마취약제 1. BARBITURATES 1.1. 약리작용 1) 조절성(controllability) : (1) 흡입마취제와는 달리 체내로 일단 주입된 barbiturate는 인위적으로 제거하기가 어렵다(길항제가 없기 때문). (2) 약리작용 ; 정맥내로 주입된 thiopental이 간장, 신장 그리고 근육 등으로 신속하게 분포되기 때문에 혈중농도가 급속히 하강하며 그후 지방으로 천천히 그러나 대량으로 분포된다. 정맥내로 주입된 thiopental은 재분포(redistribution)
  • 마취제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 국부마취(regional anesthesia) 국소마취(LOCAL anesthesia)
  • 마취제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 국부마취(regional anesthesia) 국소마취(LOCAL anesthesia) 1.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 전신 마취제가 혈액순환을 통해 뇌에 도달한 후 근육이완, 무감각, 기억상실, 무의식이 일어나는 상태 ▶ 전신마취제의 종류◀ A. 흡입마취제 - 마취제가 흡기를 통해 폐포의 모세혈관으로 확산-폐순환-전신순환에 도달한 후 마취효과 로 호흡기계, 순환계 및 신장억제작용, 근육이완, 통각상실이 일어난다. - 마취유도는 마취제 농도가 높을 때, 폐포환기량이 클 때, 심박출량이 적을
  • 척추마취 및 경막외마취
  • 1. 마취의 종류 - General anesthesia (전신마취) - Regional anesthesia (부위마취) 2. 마취전 고려사항 - 수술부위 : 하복부 또는 하지수술 (경막외마취 흉부이상도 가능) - 수술시간 : 2 – 3시간 이내 (경막외마취 연장가능) 3. 금기증 - 절대적 금기 : 환자의 거부, 천자부위의 감염 - 상대적 금기 : 저혈량증, 패혈증, 기존의 신경학적 병변, 혈액응고장애 4. 척추 천자침 - Quincke needle vs. Pencil-point needle 5. 척추마취에 쓰이는 약제 - 국소마취
  • 전신마취의 역사
  • 전신마취의 역사 최초의 전신마취제는 흡입마취제인 에테르였는데, 발레리우스 코르두스가 1540년에 처음으로 합성하였고 진통효과가 있다는 것을 파라셀수스에 의해서 알려졌으며 사람에게 사용하지 못하다가 1846년에 모턴이 보스턴의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 외과의사인 워런의 요청으로 10월 16일 대중 앞에서 에테르를 사용하여 하악 종양 적출술과 발치수술의 마취를 성공리에 마쳤다. 모턴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서 그가 에테르 마취를 공개하였던 실험실을 에테르 돔이라고 하여 현재까지 동 병원에 보존시키고 있다.그 후 모턴은 흡입기를 고안하여 에테르마취법을 널리 보급하였으며
  • 마취와 마취제의 종류
  • 마취와 마취제의 종류 1. 전신마취 전신마취는 전신마취제 투여후 무감각, 기억상실, 근육이완 및 무의식이 일어나는 상태를 말하며 마취제가 혈액순환을 통해 뇌에 도달했을때에 효과가 나타난다. * 전신마취의 단계 전신마취는 심도에 따라 제1기-제4기로 분류할수 있다. ·제1기 : 마취도입에서부터 의식상실이 되기전까지의 시기로서 대뇌피질의 고위중추 억제와 마비시작 건망증, 통각이 둔해지나 의식과 청각은 존재한다. 소수술과 분만 제2기 진통에 이용할수 있다. ·제2기 : 의식상실에서부터 규칙적인 호흡유지, 안검반사가 소실될때까지의 시기로서, 대뇌 피질의 고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