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중추신경계, 말초 신경계)
본 자료는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 구매만족
  • 프리미엄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중추신경계, 말초 신경계)

자료번호 m208284
수정일 2010.06.07 등록일 2004.09.07
페이지수 3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bl******* 가격 1,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정말 열심히 조사한 자료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길바라며....
A+레포트~~!!@@!!~~ 항상행복하세요*^^*

목차

(1)신경계의 구조

1. 중추신경계 : 뇌, 척수

2. 말초 신경계

(2) 신경계의 기능

1. 뉴런 (Neuron)

2. 축삭돌기 (Axon)

3. 시냅스 (Synapse)

4. 안정막 전위 (Resting potential)

5.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 (Excitatory postsynaptic potential = EPSP)

6. 억제성 시냅스 후 전위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 = IPSP)

본문내용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중추신경계, 말초 신경계)
(2) 신경계의 기능
1. 뉴런 (Neuron)
1) 뉴런 : 신경계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신경세포)
2) 신경 : 뉴런이 다발을 이루고 있는 것
3) 뉴런의 구조: 신경세포체와 신경돌기로 구성
ⓛ 신경세포체 : 핵이 있는 뉴런의 본체로 많은 돌기가 있다.
② 신경 돌기 : 신경세포체에서 뻗어나온 돌기
- 수상돌기 : 짧고 수가 많은 돌기
- 축색돌기 : 한 개의 긴 돌기
4) 뉴런의 종류
1. 감각뉴런 : 감각기관에서 받은 자극을 뇌나 척수에 전달하는 뉴런
감각뉴런의 모임이 감각신경이다.
2. 연합뉴런 : 뇌나 척수에 있으며 자극을 명령으로 바꾸는 뉴런
연합뉴런의 모임이 연합신경이다.
3. 운동뉴런 : 뇌나 척수의 명령을 반응기관으로 전달하는 뉴런
운동뉴런의 모임이 운동신경이다.

2. 축삭돌기 (Axon)
① 뉴런에서 자극을 인접 부위로 전달해 주는 부분.
② 수상돌기나 세포에서 오는 신호를 신경충격 또는 활동전위 축색의 기부에 있는 축색기시구로 바꿈으로서 신호를 먼 거리로 전달한다.
③ 축삭은 단 하나뿐이다.
④ 근섬유와 운동신경의 축색말단은 신경근접합부를 형성한다.

3. 시냅스 (Synapse)
① 시냅스 : 신경세포와 신경세포 혹은 신경세포와 근세포가 엽접된 부위
② 시냅스에서 활동전위의 이동을 시냅스 전달이라 함.
③ 시냅스를 이루는 세포 중 정보를 전달하는 세포를 시냅스전 세포라하고, 정보를 받는 세포를 시냅스 후 세포라 함.
④ 시냅스를 이루는 두 세포막의 구조와 기능 차이 때문에 시냅스에서의 전달은 보 통 일방향성이다.
⑤ 시냅스
㉠ 보통 축색말단+수상돌기 혹은 축색말단+신경세포체 사이에 형성
㉡ 때대로 축색말단+다른 신경세포의 신경섬유 사이 또는 한 신경세포+다른 신경의 수상돌기 사이에서도 형성

4. 안정막 전위 (Resting potential)
① 안정(휴지) 상태에 있는 신경세포 막 안팎의 전압 차를 안정막 전위라 한다.
② K+가 농도경사에 의해 세포막 밖으로 확산되려는 힘과 못나가게 잡아당기는 힘 이 평형상태 일때의 전압 보통 -70mV 이다.

5.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 (Excitatory postsynaptic potential = EPSP)
: 신경전달물질이 특정 수용기에 결합하면 시냅스 후 막에 영향을 미쳐 나트륨이온 통로가 열린다. 나트륨이온은 세포 안으로 들어가 세포막을 탈분극 시키고 결국 활동전위가 유발된다. 이와 같은 막의 변화(탈분극)를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라 하며 약 15 msec 정도 지속된다.

6. 억제성 시냅스 후 전위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 = IPSP)
: 또 다른 신경전달물질이 수용기와 결합하여 칼륨이온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면, 막은 과분극 상태로 되며, 이러한 변화는 활동전위가 잘 유발되지 않도록 한다.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중추신경계, 말초 신경계)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신경계: 몸의 각 기관을 연락하여, 살아 있는 유기체로서 통일하는 한 계통.(중추 신경계·말초 신경계 등). 신경 계통. 1) 중추신경계 ①뇌 (대뇌, 소뇌, 뇌간으로 구성, 뇌간은 간뇌, 중뇌, 연수로 구성) 대뇌 : 대뇌피질(신경세포체가 모인 곳. 회백질), 대뇌수질(신경 섬유가 모인 곳. 백질) 그리고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으로 구성된다. 또한 감각령, 운동령, 연합령 등이 있다. (전두엽-운동령, 두정엽-감각령, 측두엽-청각령, 후두엽-시각령) 중뇌 : 자세유지
  • [의약학] 신경계 구조와 기능
  • [의약학] 신경계 구조와 기능 Ⅰ. 구조와 기능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분된다. 중추신경계에는 뇌와 척수가 포함되고 말초신경계에는 뇌신경, 척수신경, 자율신경이 있다. 뇌신경은 뇌에서 시작되어 얼굴과 목의 여러부위로 연결되고 척수신경은 척수와 신경의 여러부위를 연결해준다. 자율신경은 교감신경과 부교감 신경으로 구분된다. 신경계는 감각 신경과 운동신경의 활동을 통하여 내·외 환경으로부터 자극을 받아들이는 한편 그 자극에 대해 반응함으로써 신체 각 장기의 기능을 조절하고 통합하는 작용을 한다. 신경세포에는 신경원(neuron, nerve c
  • 신경계 구조와 기능 [논문]
  • 신경계 구조와 기능 [논문] 1. 무의식의 정의 & 원인 1) 정의 : 무의식이란 뇌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로 혼미에서 혼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2) 원인 ① 혈관질환 : 뇌동맥류의 파열, 뇌혈전, 색전, 출혈 ② 공간점유성 병변 : 종양, 농양, 만성 경막하 혈종 ③ 두부손상 : 심한 뇌좌상, 뇌진탕, 뇌출혈, 총상 ④ 독성상태 : 요독증, 당뇨병, 저혈당, 알코올중독, 진정제 과량복용, 중금속 중독 ⑤ 급성 감염성 뇌질환 : 뇌염, 뇌막염 ⑥ 간질성 경련 ⑦ 신경계의 비기질적 질환 2. 간호과정 1) 사정 (환자의 신체상태 변화를 관찰
  • 말초신경계, 자율신경계, 중추신경계, 심장혈관계통의 약리학
  • 말초신경계, 자율신경계, 중추신경계, 심장혈관계통의 약리학 말초신경계통 ◇신경섬유의 굵기는 국소마취약의 효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크기가 작은 신경섬유는 용적에 비하여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쉽게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크리가 작은 통증신경섬유 및 자율신경섬유는 크기가 큰 운동 및 촉각신경섬유보다 국소마취약에 의해 쉽게 차단된다. ◇국소마취약의 작용기전, pH의 중요성 및 2가지의 차단 경로를 요약하시오. 국소마취제는 약염기성으로 pH에 따라 하전형 또는 비하전형으로 되며, 이중비하전형만이 지질막을 통과하여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항상 하
  •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중추, 말초, 자율 신경계)
  •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중추, 말초, 자율 신경계) Ⅰ 중추 신경계 1. 뇌: 체중의 약 2%를 차지하며 무게는 남자 성인에게서 평균 1.4~1.5kg이며 혈류량은 전체 심박출랴의 15~20%이다. 1) 수막 뇌와 척수는 3중으로 된 뇌막에 싸여 있고 바깥에서부터 경막, 지주막, 연막으로 이뤄진다. 대뇌와 척수를 지지하고 보호하며 영양과 혈액공급의 운반로가 된다. ① dura matter(경막): 수막중 가장 바깥에 있는 막으로 흰색의 비탄력성인 질기고 단단한 섬유막 ② arachnoid: 경막과 연막 사이의 ③ pia matter(연막): 3겹의 뇌막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