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수술 환자간호
해당 자료는 8페이지 중 2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8

안수술 환자간호

자료번호 m215205
수정일 2012.09.29 등록일 2004.10.10
페이지수 8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ch******* 가격 1,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안수술 환자간호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 본론
Ⅰ 안수술과 관련된 수술간호
1. 각막이식
2. 굴절수술
3. 초자체 절제술
4. 안구 적출술
Ⅱ 안질환과 관련된 수술간호
1. 백내장
2. 녹내장
3. 망막박리

◆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안수술 환자간호
 서론

눈은 우리의 생활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그런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생활습관, 외
상으로 인해 눈에 이상이 생겨서 수술을 해야 할 경우가 있다. 백내장이나 녹내장은 수술이 최선의 방법으로 적용되고 있을 정도로 눈의 수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에 따른 수술 전과 수술 후 간호에 올바른 사전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안과 수술은 대상의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수술방법이 시행될 수 있다. 그리고 안과질환에 따라 다른 방법의 수술이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비슷한 수술 전 후 간호를 해주지만 조금씩 간호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론에서는 각각의 수술에 따른 수술 전 후 간호, 그리고 안과질환에 따른 수술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본론

Ⅰ 안수술과 관련된 수술간호

1. 각막이식


1) 수술 전 관리와 간호
① 환자는 보통 이식수술에 대해 긍정적이기 때문에 수술 전의 정신적인 준비는 용이하 다.
② 수술은 국소마취하에 행해지며, 끝날 때까지 움직이지 말 것을 설명한다.
③ 처방대로 환자의 얼굴을 항생제 용액으로 씻는다.
④ 수술 전 투약을 한다.
2) 수술 후 관리와 간호
① 다음과 같은 사항을 사정한다.
- 불안: 치유를 지연시킬 수 있다
- 안대로부터의 안전: 안대는 봉합의 유지와 염증으로부터의 손상을 예방한다.
- 불편함의 정도: 통증은 부작용의 증상이 될 수 있다.
- 배변, 배뇨: 변비로 인해 복부의 힘을 주거나 방광정체가 있으면 안압이 상승한다.
- 활동: 안압을 상승시킬 수 있는 활동을 피한다(재채기, 머리를 갑자기 돌리는 행동)
② 처방된 약을 투여한다.
③ 감염을 예방한다: 투약이나 드레싱 교환시 무균법을 사용한다.
④ 드레싱이나 눈을 만지지 않도록 교육한다.

2. 굴절수술
1) 환자교육과 간호
① 수술과정은 병원에서 이루어진다.
② 근시, 원시, 난시 교정을 위해 특별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③ 노화에 따라 안경 착용이 필요할 수도 있다
④ 긍정적인 효과만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⑤ 각막질환, 망막질환, 녹내장, 심한 당뇨병, 조절되지 않는 혈관질환, 자가면역성 질환, 임신 등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⑥ 전기적인 방법은 비용이 비싸다.
⑦ 흔히 염려되는 문제
- 통증: 대부분의 경우 통증이 없다.
- 치료기간: 레이저 자체는 15~40초, 전체적인 시간은 30분 정도 소요된다.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하) 수문사- 김조자 전산초 외 공저 1992
• 성인간호학 근골격 ․ 신경 ․ 감각기계 정담출판사 고금자 외 1999
• 개정판 수술실 환자간호 윤혜상 저 청구문화사 1997
• 개정판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전시자 김강미자외 공저 1996
• 개정증보 안과학 가톨릭의과대학 안과학교보 이상욱 김재호 수문사
• 성인간호학 3 현문사 김조자 외 공저
• http://www.taegulasik.co.kr • http://www.cybereyes.co.kr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안수술 환자간호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과 외과적 무균술의 원칙
  •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과 외과적 무균술의 원칙 소독 간호사(scrub nurse)의 역할 소독간호사는 수술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간호활동을 하게 되는 간호사로 멸균된 수술가운을 입고 멸균영역에서 활동하게 된다. 소독간호사는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멸균작업장을 보존하고 안전을 확보하며 일의 효율을 유지하는 책임이 있다. 1. 수술과정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2. 수술에 필요한 기계 및 물품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순환간호사에게 요구한다. 3. Draping에 사용되는 linen을 준비한다. 4. Mayo stand를 준비한다. 5. 봉합사 및 봉합바늘을 준
  • 개방적 수술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간호과정)
  • 개방적 수술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간호과정) ◈ 객관적 자료 ①9/10 후방십자인대재건술 시행 (ORIF) ②incision site hemo-vac (양상 : bloody) ③수술부위 Dressing 유지중임. (9/11~9/15) ④WBC Diff. count (9/9) N-segmented(39.0▼) lymphocyte(47.5▲) ⑤항생제투약 Refosporen, Proben
  •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중 수술관련 간호진단
  •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중 수술관련 간호진단 목적 및 평가기준 목적 : 대상자는 감염이 없는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①기초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WBC수치를 확인
  • 장루형성술 환자의 수술 전후 관리 및 간호와 교육방법
  • 장루형성술 환자의 수술 전후 관리 및 간호와 교육방법 장루형성술환자의 간호 1.장루형성술의 형태 (1)결장루 형성술 ①변을 제러하기 위해 결장과 복벽 사이에 외과적으로 개구부를 만든다. 일시적, 영구적인 개구부이다. ②결장루 형성술은 대장의 어느 분절에도 형성시킬 수 있다. 횡행과 하행 결장, 결장루 형성술은 가장 흔한 형태이다. ③결장루 형성술의 적응증은 직장암의 복부 회음부 절제술로 비절제성 암의 경우 대변배출을 위해 문합술을 보호하기 위해 일시적인 방법이다. (2)회장루 형성술 ①변을 제거하기 위해 복벽과 소장의 회장 사이에 외과적으로 개구부를 만드
  • [성인간호학]수술실 갑상선 절제술(외과적무균술,소독관리,멸균 및 소독물품 다루는 법,마취간호, 회복실간호,관찰사례,소감)
  • [성인간호학]수술실 갑상선 절제술(외과적무균술,소독관리,멸균 및 소독물품 다루는 법,마취간호, 회복실간호,관찰사례,소감) 1) 외과적 무균법 (1) 외과적 무균술의 원칙 병원균이나 기타 다른 미생물이 전혀 없는 멸균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술 영역과 같이 특수 영역에서 미생물이 전혀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분이다. 가. 외과적 무균술의 3대 원리 ① 멸균된 물품끼리 접촉할 때만이 멸균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므로 멸균된 물품은 멸균된 장갑을 끼고 만지도록 한다. ② 멸균된 물품이 오염되었거나 깨끗한 물품에 접촉한 경우는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