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상부위장관 출혈
본 자료는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 구매만족

[성인간호학] 상부위장관 출혈

자료번호 m405019
수정일 2010.06.07 등록일 2007.01.01
페이지수 3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yu****** 가격 1,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성인간호학) 지혈장애 A+
  • 출혈이 발생 진단 - 특징적인 병변을 확인하는 것에 의해서만 가능 치료 - 대증적 치료 - 국소적 에스트로겐 투여, 심한 위장관출혈 시 철분투여, 수혈 - 이 질병은 유전적이기 때문에 유전상담이 필요 아나필락틱 자반증 원인 - 혈관
  • 성인간호학 - 소화성 궤양 ( 정의,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 합병증 )
  • 성인간호학 - 소화성 궤양 ( 정의,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 합병증 ) 소화성 궤양 Peptic ulcer 1)정의 -소화성궤양은 상부 위장관 표면에 생긴 궤양을 총칭하는 용어, 위궤양과 십이지장궤양을 포함 -Pepsin의 공격적 효과가 위와 십이지장
  • [성인간호학] 2020년 방통대 기말시험 문제
  • 위장관 합병증 : 설사, 탈수, 오심, 구토, 위장관 출혈, 변비 등이 있다. ② 대사성 합병증 : 고칼륨·저칼륨 혈증, 탄수화물의 부담이 있는 경우 고혈당증이 있을 수 있다. ③ 물리적 합병증 : 튜브 자체의 크기나 관을 구성하는 물질에 의한 비

소개글

안녕하세요~ 이자료는 상부위장관에 관한 레포트 입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양은 적지만 있을건 다 있답니다.
알아보기 좋게 정리했구요, 질적으론 높을꺼예요^^
후회없이 클릭하세요^^

목차

1. 정 의

2. 원 인

3. 검 사

4. 치 료

5. 예 후

본문내용

[성인간호학] 상부위장관 출혈
1. 정 의
상부 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그리고 상부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말하는데, 피를 토하는 토혈(hematemesis)이나 새까만 변을 보는 흑변(melena)의 형태로 나타나고 약 1000cc이상의 상부 위장관 출혈이 있으면 혈변(hematochezia)이 나오게 된다. 서구에서 상부 위장관 출혈은 인구 1000명당 1명의 빈도로 발생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상부 위장관 출혈로 인한 사망률은 약 14%정도인데, 고령이거나 다른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 사망률이 높다.
2. 원 인
상부 위장관 출혈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소화성 궤양으로 약 50%를 차지하고, 미란성 위염이 약 25∼30%, Mallory-Weiss증후군 약 8%이고 이외에는 위암, Dieulafoy`s 병변 등이 있다. 소화성 궤양 중 십이지장 궤양 출혈이 위궤양 출혈보다 두 배 이상 흔하며 소화성 궤양에 의한 출혈은 겨울에 증가하고 여름에 감소한다. 소화성 궤양 환자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복용하는 경우 궤양 출혈의 위험성이 두 배 이상 증가한다. 이러한 위험성은 특히 고령자, 소화성 궤양이나 위장관 출혈의 과거력, 심장 질환의 병력이 있는 경우 더욱 높아진다. 출혈성 궤양의 위험성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용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지만 소량에서도 발생하는데 아스피린(aspirin)의 경우 10mg의 소량에서도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한 보고에 의하면 항응고제 투여도 출혈성 궤양의 위험성을 약 3배 증가시키고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 위험성은 약 13배 증가한다고 한다. 모든 위장관 출혈 환자의 약 5% 이하에서는 출혈의 원인을 찾을 수 없다. 원인 불명인 위장관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 병변은 소장의 vascular ectasia이다.
3. 검 사
모든 검사는 환자의 혈역학적 상태가 안정이 된 후 시행하여야 한다. 문진 및 이학적 검사로 출혈 원인을 추정해 보고 필요시 출혈 병소를 확인하기 위하여 응급 내시경검사를 시행한다. 위장관 출혈시 내시경은 상부위장관 조영술보다 유용한데 ① 궤양저의 상태를 확인하여 향후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며 ② 필요시 지혈을 위한 조작을 할 수 있고 ③ 필요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상부 위장관 출혈시 응급 내시경검사를 시행하면 약 90~95%에서 출혈 병소를 확인할 수 있다. 상하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로 원인이 밝혀지지 않으면서 활동성 출혈이 계속되는 환자에서는 technetium-99m 방사성 핵종주사법 또는 장간막 혈관조영술(mesenteric angiography)을 시행한다. technetium-99m 방사성 핵종주사법은 분당 0.1cc의 출혈까지 진단할 수 있고, 장간막 혈관조영술은 분당 0.5cc 정도까지 진단할 수 있다.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성인간호학] 상부위장관 출혈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상부 위장관 출혈
  • 상부 위장관 출혈 상부 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그리고 상부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말하는데, 피를 토하는 토혈(hematemesis)이나 새까만 변을 보는 흑변(melena)의 형태로 나타나고 약 1000cc이상의 상부 위장관 출혈이 있으면 혈변(hematochezia)이 나오게 된다. 서구에서 상부 위장관 출혈은 인구 1000명당 1명의 빈도로 발생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상부 위장관 출혈로 인한 사망률은 약 14%정도인데, 고령이거나 다른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 사망률이 높다. ● 원인 상부 위장관 출혈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소화성 궤양으로 약 50%
  • 위장관 튜브삽관 (Gastrointestinal intubation)
  • 위장관 튜브삽관 (Gastrointestinal intubation) 1. 위장관 튜브삽관 (Gastrointestinal intubation) 위장관 튜브는 유연한 고무나 플라스틱 튜브로 위내 가스와 수분의 제거를 통한 감압, 위장관의 운동기능 진단, 약물이나 음식물 공금, 페쇄나 출혈부위 치료, 분석검사용 위 내용물을 얻기 위하여 구강이나 비강을 통해 위나 장까지 삽입한다. 1) 비위관(Nasogastric tube) 비위관은 길이가 짧은 관으로 코나 입을 통하여 위장으로 삽입한다. ⑴ Levin tube : 내관이 하나이고 끝에 구멍이 있으며
  • 위장관 삽관과 간호 및 영양보조
  • 위장관 삽관과 간호 및 영양보조 <<위장관 삽관>> 목적 : ① 위관을 통하여 영양을 공급한다. ② 위내의 내용물과 가스를 제거한다. ③ 진단적인 검사를 시행한다. ④ 세척을 한다. ⑤ 수술 또는 외상 후 위의 압력을 감소시켜 오심과 구토를 예방, 경감한다. ⑥ 기계적 협착을 치료한다. ⑦ 폐쇄, 출혈부위를 치료한다. 종류 : Levin tube ▶ Levin tube는 수분이나 가스를 제거하거나 위내용물을 채취하기 위해, 또는 영양액이나 약물을 투 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일 관강(single lumen)관이다. ◈ 방법 ① 처방을 확
  • 위장관 삽관 및 간호, 영양보조
  • 위장관 삽관 및 간호, 영양보조 ③ 관의 삽입방법 및 절차 → 처방 후 필요물품준비 → 대상자 확인 후 목적과 절차설명 → privacy위해 스크린침 → 가능하면 좌위(high Fowler`s)를 취하도록함 → 짧은 비위관일 경우 코끝~귓볼길이와 귓불~칼돌기길이를 더해 반창고로 표시 (대략 위까지 도달하는 길이) → 비공을 교대로 막으면서 비강의 공기의 흐름을 확인 (공기의 흐름이 좋은 쪽이 위관삽입이 용이) → 환의와 침구를 보호하기 위해 수건을 턱밑 가슴에 펴놓고 장갑 착용 → 수용성 윤활제를 바름 (수용성윤활제는 점막과 튜브
  • 위장관 장애 대상자 간호
  • 위장관 장애 대상자 간호 1. 위장관 장애 대상자를 위한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1) 환자력, 가족력 - 과거에 앓았던 위장질환이나 병력, 수술, 가족의 유전적 질환에 관해서 대상자에게 질문한다. 과거나 현재에 복용하고 있는 약물, 제산제, 배변 완화제 등의 사용에 대해서도 파악한다. (2) 식이와 영양 - 영양사정을 통해 먹는 습관을 바꿀 수도 있으므로 식욕, 음식 알레르기, 체중, 비타민 보충제, 기호식품등을 사정한다. - 식욕의 변화, 오심, 불편감 등과 같은 증상들은 음식섭취와 관련하여 주의깊게 사정해야 한다. - 설탕이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