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chronic kidney disease,apn,seizure) 클리니컬 노트 케이스
해당 자료는 8페이지 중 2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8

응급실(chronic kidney disease,apn,seizure) 클리니컬 노트 케이스

자료번호 m479257
수정일 2012.10.02 등록일 2007.11.17
페이지수 8Page 파일형식 워드(doc)
판매자 pe****** 가격 1,2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응급실(chronic kidney disease,apn,seizure) 클리니컬 노트 케이스 자료입니다.

목차

본 자료는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본문내용

# 1. 곽00 (여/47)
10월 1일 AM 7:57분 119타고 ER에 내원.
* C.C: edema (3일전 onset). Coughing ,fever, dyspnea (2일전 onset)
1-2년 전부터 신장내과 내원 하시는 분으로 신장이 좋지 않아(DM nephropathy) med 중이신 분. 간헐적으로 손.발이 붓는 증상 있었지만 호전되었다고 하며, 20일 외래에서 수혈한 이후 점점 몸이 붓기 시작하였으며, 3일 전부터는 소변의 양이 줄었고 심하게 붓기 시작하였다고 함. 2일전에는 Coughing ,fever, dyspnea 있음.
* 진단명: chronic kidney disease 4 , DM nephrosis
* PROGRASS NOTE
10/2 AM 5:40 밤사이 38도 이상의 fever 지속되어 ice cooling 하고 urine output은 100cc/hr 이상 check됨. Facial edema 다소 호전, 사지의 pitting edema 남아있음. Mild한 nausea
* 간호문제
1. Coughing기침: pheniramine 투약
2. Fever발열: cefolatam 투약, ice cooling 해줌.
3. Dyspnea호흡곤란: O2 5l/hr 공급해줌.
4. Edema부종: Lasix 투약
5. 배뇨곤란: Foley keep
6. 신장기능부전: tasna 투약
#2. 주00 (남/51)
10월 1일 AM 9:05 걸어서 내원.
C.C: seizure (onset AM 5:00)
05년 2월 cavernous angioma해면상혈관종 진단 후 NS 외래 진료. 05년 7월 r-knife 시행 후 06년 9월부터 GTC type (Generalized tonic clonic전신 강직-간대성 발작)의 seizure 있어왔으며 어제 동네 분들과 소주 1-2병 마신 후, 새벽 5시쯤 헛소리하고 계속 밖으로 나가려고 하는 증상 10분동안 지속. 30분 괜찮고 다시 10분 지속. 술 마신 후 이런 증상이 잘 나타남. ER 방문.
진단명: seizure
내원시: 혈압140/70 체온36 맥박79 호흡20 의식A pupil 2+/2+ BST 107 SPO2 95%
*사정
DM/HT/폐질환/간질환(-/-/-/+), 지방간 med중.
Alcohol/smoking(+/-), 음주 2-3회/week .1-2병/회
OP hx:05년 r-knife 시행
*간호문제
1. 외상의 위험성
2. 두통 : GTC type의 발작 후 올 수 있다. 별다른 투약은 없었음.
3. 근육통 : GTC type의 발작 후 올 수 있다. 별다른 투약은 없었음.
#3 . 김00 (여/48)
10월 2일 AM8:44 119타고 ER로 내원.
C.C: lower abd. Pain (AM 3:00 onset)
2달 전, 3주전 각각 왼쪽 옆구리에 숨도 못 쉴 정도의 통증 느낀 후 4시간 정도 지나 없어진 과거력 있음. 10월 2일 새벽 3시 왼쪽 아랫배가 서서히 아파온 후 (dull pain), 5분 정도 심한 통증(뒤틀리는 듯한)이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양상보여 ER내원.
진단명: Lt. UVJ stone. APN(acute pyelonephritis)급성신우신염
CF. UVJ (ureterovesocal junction)결석은 요관에서 방광으로 들어가는 부위에 있는 결석을 말한다.
내원시: 혈압120/70 체온36.7 맥박72 호흡22 BST 125 체중60 의식A SPO2 99%

참고문헌

없음, 본인 조사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응급실(chronic kidney disease,apn,seizure) 클리니컬 노트 케이스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copd[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 copd[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 정 의  ≪ 그 림 ≫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약어로, 원인이 되는 폐질환이나 심장질환이 없이 기도폐쇄가 발생하여 기류의 속도가 감소하는 질환군을 말한다. 호기식 공기흐름에 대한 저항의 증가가 계속적으로 일어나는 상태로 만성 기관지염과 폐기종을 포함한다. 일부에서 천식을 COPD의 한 부분으로 간주하나 가역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대부분 COPD와 분리해서 생각한다. 만성
  •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1. 분 류 1) simple chronic bronchitis : chronic productive cough 2년이상 1년에 3개월이상 cough, sputum을 나타내는 질환 airway obstruction(-) 2) chronic obstructive bronchitis : irreversible airway narrowing- Raw , PaO2 , PaCO2 site : 2mm이하인 b
  •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세기관지 흐름의 영구한 폐쇄를 가져오는 폐질환으로 특수 질환이기보다는 기능적으로 분류하는 말이다. 흔히 폐감염에 의해 반복적으로 악화되어 호흡곤란과 객담 배출이 증가 하는 경과를 밟는다. - 대표질환 :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 관련질환 : 천식, 기관지 확장증, 낭포성 섬유종 1. 유병율 - 성인 남성의 20%가 만성기관지염 환자 - 여성 흡연 인구가 증가함에 따
  • [논문] 만성 폐쇄성 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 [논문] 만성 폐쇄성 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 만성 폐쇄성 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 만성적인 기도 폐색을 보이고 수개월에 걸친 치료로도 크게 호전을 보이지 않는 질환 1) 원인 - 정확하지 않으나 흡연, 만성 기관지염, 폐감염, 오염된 공기, 공해, 진폐증, 직업성 질환, 과민성 인자, 유전인자, 노화, 혈관변화 등이 원인 - 감염, 과민반응으로 기도 분비물과 팽윤된 기도벽, 불균등한 폐포 환기가 생김 (과대 팽 창&무기
  • DISEASE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 DISEASE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1. 정의 만성 신부전이란 신장이 체내 환경을 더 이상 적절히 유지하지 못하고, 신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을 말한다. 즉 급성 신 손상 후에 신기능을 다시 회복할 수 있는 신장의 능력에 비하여 보다 지속적인 신 손상은 종종 비가역적이고 점진적인 신원의 감소를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사구체 여과율(GFR)이 정상의 30% 이하로 저하하고, 고질소 혈증(혈청 크레아티닌>1.4mg/dL)이 3개월 이상 계속되는 진단을 확정한다. 임상적으로는 수분, 전해질, 산염기 평형의 이상, 빈혈,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