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식도염 간호중재 (Gastroenteritis)
해당 자료는 4페이지 중 1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4
  • 품질인증
  • 프리미엄

위식도염 간호중재 (Gastroenteritis)

자료번호 m783767
수정일 2018.09.04 등록일 2011.10.26
페이지수 4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eu**** 가격 2,5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위식도염 간호중재

목차

1.간호력
2.간호 사정
3.간호진단
4.간호중재

본문내용

위식도염 간호중재 (Gastroenteritis)
- Gastroenteritis



1.History
3세 김씨는 1월 24일에 입원한 남아.
생년월일 : 2007.11.20일
입원 동기 : 1월 23일부터 설사3-4회, 구토5-6회, 먹는량이 줄어 본원 응급실에서 수액 맞고 집으로 귀가.
1월 24일 설사 3회 이상 계속되어 외래 진료후 본원 입원
입원당시 → 키83cm(35%) 몸무게11kg(50%)
입원 당시 활력징후 → T : 37.5℃, P : 120회/min, R : 32회/분
주호소 : 구토, 설사
현재 상태 : 계속적인 설사 있으며, Fever37.5℃이상 유지
정보 제공자 : 모, 주로 돌보는 사람 : 모
예방 접종 : DPT3차, B형간염3차, A형간염2차, MMR1차, BCG 접종함

2.간호 사정
섭취 문제 : 식욕부진
소화기계 문제 : 구토, 배뇨 5회이상 200ml, 배변1-2회
수면 문제 : 수면장애 있음
피로 허약감 호소 : 유
피부상태 : 건조
부모 : 스트레스 유 - 정서상태 불안정 : 불안호소

3.간호 진단

━━━━━━━━━━━━━━━━━━━━━━━━━━━━━━━━━
┃ 영역 ┃ 관련자료 ┃ 간호문제 ┃    간호진단    ┃
┃    ┃      ┃      ┃ 관련요인 │ 진단명 ┃
━━━━━━━━━━━━━━━━━━━━━━━━━━━━━━━━━
영역 : 안전/보호 -신체적 손상
─────────────────────────────────
관련자료 : 
1.호흡시 쌕쌕거림
2.입을 벌리고 입으로 호흡함
3.1/24일ABGA◇PO₂65 (정상75~100)
PCO₂24 (정상35~45)
1/25일ABGA◇PO₂63 PCO₂24.6
4.1/24 호흡수32회 1/25 호흡수38회
──────────────────────────────────
간호문제 : 호흡 곤란
──────────────────────────────────
관련요인 : 과도한 분비물
──────────────────────────────────
진단명 : 기도개방 유지불능
──────────────────────────────────




≪ … 중 략 … ≫




4.간호중재

━━━━━━━━━━━━━━━━━━━━━━━━━━━━━━━━━━━━━━━━━━━
┃ 우선순위 ┃ 간호진단 관련요인:진단명 ┃ 목표 ┃ 계획 ┃ 중재 ┃ 평가 ┃
━━━━━━━━━━━━━━━━━━━━━━━━━━━━━━━━━━━━━━━━━━━
우선순위 : 1
───────────────────────────────────────────
간호진단 관련요인:진단명 : 
과도한 분비물 :비효율적 호흡양상
───────────────────────────────────────────
목표 : 
호흡수가 20회-25회(±5) 이하로 확인됨
───────────────────────────────────────────
계획 : 
1.호흡양상을 사정한다.
- 호흡 횟수, 깊이, 리듬
2.호흡하기 용이한 체위를 취하도록 한다.
- 반좌위
3.필요시 Suction을 시행한다.
4.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한다.
- PARM CUP사용
5.기침과 심호흡을 격려 한다.
6.호흡하기 힘들어 할 때에는 안정시킨다.
- 기침, 심호흡 격려
- 반좌위
7.Nebulizer를 4시간 마다 적용 한다.
8.수분 섭취를 증가 하도록 격려 한다.
- 하루 1.5L 이상 섭취 격려
9.가습기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습하게 유지하도록 교한다.
- 4시간 마다 가습기 적용
10.호흡기 감염의 증상을 관찰한다.
- ABGA검사 결과 관찰
───────────────────────────────────────────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위식도염 간호중재 (Gastroenteritis)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식도질환] 식도질환(식도염)의 종류와 치료방법 - 연하곤란증의 원인과 증상 및 영양치료, 위식도역류증(위식도역류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 영양치료, 약물치료, 수술치료
  • [식도질환] 식도질환(식도염)의 종류와 치료방법 - 연하곤란증의 원인과 증상 및 영양치료, 위식도역류증(위식도역류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 영양치료, 약물치료, 수술치료 식도질환 식도 질환으로는 연하곤란증과 위식도역류증과 같은 기능성 장애와 식도염, 식도궤양, 식도암 또는 식도정맥류 등의 기질적 장애가 있다. 여기서는 연하곤란증과 위식도 역류증만 다루고자 한다. I. 연하곤란증 연하곤란증(dysphagia)은 식도 자체보다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하지만 편의상 식도 질환에서 다루고자 한다. 연하곤란증은 손상된 연하단계에 따라 구강-
  • 식도질환(일반적 간호문제, 위식도 역류질환)
  • 식도질환(일반적 간호문제, 위식도 역류질환) 1. 일반적 간호문제 (1) 연하곤란 - 삼키기 어려움은 어떤 식도 이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음 - 연하곤란을 일으키는 이유 : 기계적 폐색, 심혈관 이상, 신경성 질환 등 ① 기계적 폐색 식도의 관강이 좁아지면, 처음에는 고형 음식을 삼킬 때만 연하곤란은 느끼지만, 점점 반고형음식과 유동식을 삼킬 때 뿐 만 아니라 자신의 침까지도 삼킬 수 없게 됨 ② 심혈관 이상 노년층에서는 심혈관의 이상으로 연하곤란이 발생할 수 있음 혈관성 연하곤란을 일으키는 경우는 확대된 심장, 대동맥류, 하행 대동맥의 석회화
  • [노인간호학] 위식도역류질환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케이스 스터디
  • [노인간호학] 위식도역류질환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케이스 스터디 문헌고찰 질병명 : 위식도역류질환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 그 림 ≫ 질환   * 식도역류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을 묘사하는 용어.   * 역류로 인해 식도 점막이 위 내용물에 노출되고 식도 점막이 점차로 벗겨진다. 이러한 상태를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한다  원인 :   하부식도 조임근(LES)의 부적절한 이완   위부전(gastroparesis) 또는 부분적 위 출구의 폐색으로 인한
  • [성인간호학A+] 위-식도 역류 질환(GERD) 환자의 간호과정 CASE STUDY
  • [성인간호학A+] 위-식도 역류 질환(GERD) 환자의 간호과정 CASE STUDY Ⅰ. 서 론 1. 문헌고찰 󰊱 정의 : “위식도 역류질환”은 식도로 역류된 위의 내용물로 인해 불편한 증상이나 합병증이 유발되는 상태를 말하며, 음식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가슴 안쪽으로 타는 듯한 통증이나 쓰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 식도와 위의 구조 및 기능 1. 식도의 해부학적 구조와 위치 식도는 인두와 위 사이의 소화기관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곧으며, 수축과 이완을 통해 음식물을 위 내로 이동시킨다. 양쪽 끝은 조임근이
  • 성인간호학 실습 간호과정 식도염을 동반한 위식도역류병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with oesophagitis
  • 성인간호학 실습 간호과정 식도염을 동반한 위식도역류병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with oesophagitis 1. 정의 위식도 역류성 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은 위 내용물의 식도역류로 식도점막의 손상을 초래하여 특징적인 다양한 임상적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이다. GERD는 흔히 하부식도 괄약근의 불완전함으로 인해 발생되며 역류된 강산성 위액으로 식도 작열통(burning pain)을 비롯하여 방사선, 내시경, 또는 병리학적 변화가 복합된 양상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증상은 경미하지만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