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과 현대의 효행 방법
해당 자료는 8페이지 중 2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8

조상과 현대의 효행 방법

자료번호 o105939
수정일 2012.10.11 등록일 2002.11.19
페이지수 8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al******* 가격 1,3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조상과 현대의 효행 방법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상들의 효행 방법

2. 현대의 구체적 효행 방법

3. 효행의 참 의미

본문내용

조상과 현대의 효행 방법
1) 신체고통형
① 상분(嘗糞) : 상분이라는 것은 앓아 누운 부모의 분을 먹는 것을 말한다. 분이 달면 병의 효험이 없고, 분이 쓰면 효험이 있다는 속전을 확인하기 위해서이다.(조선조 금산의 효자 이희복 6년간 상분)
② 단지(斷指) : 자기의 손가락을 잘라 부모님의 병 치료를 위해 끊여서 바치니 부모님의 병이 곧 나았다는 것(조선조 충개, 석진, 귀진, 은시, 사월 등)
③ 살을 자름 : 신라 때 향덕이라는 사람은 어머니가 굶주리고 병든 데다 옹질이 발생하여 사경을 헤매자 자기의 넓적다리 살을 베어 드시게 하였다.
④ 자학 : 도학의 선구자 정여창은 그의 어머니가 이질을 앓았을 때 향을 피워 놓고 어머니의 아픈 몸을 자신의 것과 바꿔 달라고 빌면서 그 아픔을 느끼기 위해 기둥에 머리를 부딪쳐 피를 내고 그 피가 적삼을 흥건히 적시게 하였다.
⑤ 매신 : 신라 때 지은은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홀로 그 어머니를 봉양하여 나의 32세가 되었으되 시집을 가지 않고 봉양하였으나, 더 이상 봉양할 것이 없자 부잣집 종으로 팔려 쌀 10석을 받아 어머니를 봉양하였다.
⑥ 생명을 바침 : 선조 때 이거는 세 아들이 있었다. 그런데 난을 당해 세 아들은 할머니와 아버지를 모시고 피난길을 떠났는데 도중에 왜적을 만났다. 네 부자는 비수를 들고 대적하였다. 대적하다가 아버지는 귀가 잘려졌다. 그러자 아들들은......
2) 감동형
① 잉어 : 강릉에 사는 이성무는 어머니가 병을 얻어 수개월 동안 밥을 먹지 못하고 잉어 회를 먹고 싶어하므로 강가로 가서 얼음을 뚫고 구하였더니 한 마리의 잉어가 뛰어 나왔다. 가지고 돌아와 어머님께 바치니 어머니가 먹고 몹시 기뻐하시더니 병이 드디어 나았다.
② 까마귀 : 윤은보라는 사람은 아버지가 병으로 세상을 떠나자 아버지 무덤 앞에 여막을 짓고 거쳐하였다. 어느 날 모진 바람이 불어 책상 위에 놓아둔 향합을 잃어 버렸다. 그런지 몇 달이 지나서였다. 까마귀 한 마리가 무엇인가 물어다가 무덤 앞에 놓고 날아갔다. 은보가 이상이 여겨 즉시 쫓아가 보니 그것은 잃었던 향합이었다.
3) 용기 있는 행동
① 적진에 뛰어듦 : 홍계남은 왜란 때 의병장으로 공을 세운 아버지 홍언수의 시체가 적중에 있음을 알고 아버지의 시신을 탈환하기 위하여 적중에 들어가 용감하게 싸우면서 탈출하였다.
② 호랑이와 싸움 : 고려시대 최누백은 그의 나이 15세 때 아버지가 사냥을 나갔다가 호랑이에게 물려 죽었다. 최누백은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어머니의 만류를 뿌리치고 호랑이를 잡아 그 뱃속에서 아버지의 시신을 꺼내 장사지냈다.
③ 불에 뛰어듦 : 임씨는 태인 사람이며 사정 박조의 아내이다. 지아비는 당시 서울에 있었는데, 한밤에 집에 불이 났다. 시어머니가 병으로 일어나지 못하므로 임씨가 곧장 불길 속으로 들어가 시어머니를 업고 나왔는데,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불에 데어 머리를 그을고 팔이 데었으나 모두 죽음만은 면하였다.
④ 아버지를 사옴 : 고려 때 반정은 안음 사람이다. 왜적이 돌연히 침입하여 그 아버지를 잡아갔는데, 반정이 은대와 은괴를 가지고 왜적의 속으로 달려가서 아버지를 사왔다.
4) 지극 정성
① 시어머니를 섬김 : 석씨는 의령 사람이며 심천의 아내이다. 20세 때에 지아비가 죽었는데 시어머니를 효성으로 섬겼다. 그 아버지가 개가시키려 하였으나 사양하여 말하기를 `지아비가 외아들로 일찍 죽었는데 아버지께서 제뜻을 빼앗으면 죽은 지아비의 병든 어머니를 누가 봉양하겠습니까? 하고 드디어 명에 따르지 않고, 시어머니를 더욱 성실하게 섬겼으며, 시어머니가 뒷간에 갈 때마다 몸소 업어 갔다.

② 6년 시묘 : 6년 동안 부모님 무덤 옆에 여막을 짓고 살면서 거상을 마쳤다.(성주 사람 김자강)
③ 어머니 찾아 삼만리 : 고종 말엽 몽고병이 침입하여 명주의 아전 김천의 어머니와 아우를 강제로 끌고 가서 종으로 삼았다. 어머니가 만주 요양에 있다는 소식을 듣고 김천은 머나먼 그곳까지 걸어가서 백금 55만냥의 몸값을 주고 어머니를 찾아서 돌아왔다.
2. 현대의 구체적 효행 방법
효도는 자녀가 부모님께 드리는 예의이기 때문에 그 근본적인 정신은 예나 지금이나 항상 같다. 그러나 부모와 자녀가 어떤 관계에 있느냐에 따라 그 구체적인 모습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즉 자녀가 부모로부터 보살핌을 받는 시기와 자녀가 성장하여 부모와 함께 활발하게 사회생활을 하는 시기, 그리고 부모가 연로하여 자녀가 부모를 모셔야 하는 시기에 따라 부모와 자녀간의 구체적인 관계는 달라지게 될 것이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부모님께 가져야 할 마음가짐과 몸가짐 그리고 가정에서의 효도의 현대적 방법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자 한다.
(1) 우리는 부모님께 어떤 마음가짐과 몸가짐을 가져야 할까?
1) 마음가짐
부모의 뜻을 알아서 행하는 마음을 갖는다.
부모의 말씀은 그 숨은 뜻을 새겨듣는다.
부모에게 걱정을 끼쳐 드리지 않고 항상 즐겁게 하여 드린다는 마음가짐을 갖는다.
물질 못지 않게 정신적 봉양의 소중함을 안다.
남의 부모를 내 부모처럼 존경하는 마음을 갖는다.
2) 몸가짐
어른 앞에서는 안색을 부드럽게 하고 명랑한 표정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조상과 현대의 효행 방법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