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개론] - 독일어권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모습, 독일어와 비교한 한국어의 특징, 병렬번역텍스트에 나타난 한국어와 독일어의 차이,독일학생들의 작문 분석에 나타난 한국어 문법 오류의 문제
해당 자료는 14페이지 중 4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4
  • 품질인증

[국문학개론] - 독일어권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모습, 독일어와 비교한 한국어의 특징, 병렬번역텍스트에 나타난 한국어와 독일어의 차이,독일학생들의 작문 분석에 나타난 한국어 문법 오류의 문제

자료번호 o1308397
수정일 2014.11.10 등록일 2014.10.21
페이지수 14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dl******** 가격 2,3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국문학] 한국어 문법 연구 역사의 흐름
  • 독일어로 번역, 한국어의 실상을 서양에 알렸으며, 한국인의 모습을 인류학적 시각에서 다른 민족과 비교 기술하였다. 가 유럽문법을 토대로 한국어의 문법적 사실을 계사하고 그 특징을 파악한 때부터로 볼 수 있다. Siebold는 1840년경『일본
  • [사회과학] 언어와 성
  • 독일어 번역에서 나타나는 한국어의 ‘-하오’체와 ‘-해요’체 VI. 결론 (1): 가부장적 제도에 근거한 법의 성별역할분리 (2) 독일 문학작품에 나타난 남녀의 성차별적 시각 (3): 가부장적 사고에 기인한 한국에서 `일하는 여성`에 대한 사
  •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학술 텍스트의 완화 및 강화 표현 연구
  • 텍스트에 나타난 완화 및 강화 표현의 유형 및 표지, 기능 등에 관해 상세히 논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 사전에서의 사전 기술에 보완되어야 할 사항은 무엇인지 논의해 볼 것이다. 연구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소개글

믿고 받아 가셔도 되는 자료입니다. 레포트 쓰시는 데 유용하게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1. 독일어와 비교한 한국어의 특징

2. 병렬번역텍스트에 나타난 한국어와 독일어의 차이

3. 독일학생들의 작문 분석에 나타난 한국어 문법 오류의 문제
 3.1 주어표시/생략의 문제
 3.2. 어순의 차이에 따른 정보처리 문제
 3.3. 유형론적인 차이에 따른 격조사, 후치사의 습득

4. 독일어권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문법 교재
 4.1. Lehrbuch der modernen koreanischen Sprache
 4.2. Einführung in die koreanische Sprache, Bruno Lewin/김종대 저
 4.3. Lehrbuch für Koreanisch als Fremdsprache(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4.4. Koreanisch für Anfänger, Edition Peperkorn 출판사 2005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문학개론] - 독일어권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모습, 독일어와 비교한 한국어의 특징, 병렬번역텍스트에 나타난 한국어와 독일어의 차이,독일학생들의 작문 분석에 나타난 한국어 문법 오류의 문제
1. 독일어와 비교한 한국어의 특질

독일어는 계통상 영어, 네덜란드어 등과 함께 서게르만어에 속하며 이전의 담화 중심적이었던 게르만의 특질들을 많이 잃게 되면서 소위 주어중심적인 현대 유럽언어로 분류가 된다. 다만 독일어는 영어와 달리 한국어와 같은 형식적인 격표지(case-marking)가 발달하여 게르만어 가운데서도 이러한 문법적인 특징을 가진 가장 보수적인 언어로 알려져 있고 어순의 이동이 비교적 자유로운 언어이다. 그리고 한국인들에게는 생소한 명사구에서의 격변화나 부정관사와 정관사의 격변화, 형용사의 격변화, 성이나 수, 인칭체계 등이 분화되어 있는 언어이다. 근본적으로 인구어는 문법적 인칭(grammatical person)이 발달한 언어이고 한국어와 일본어는 화계(speech level, Sprechstufe)가 고도로 발달한 언어라는 사항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는 또한 많은 다른 격체계를 가진 언어들과는 달리 복잡한 형태상의 격표시를 유지하면서도 주제 중심적(topic-prominent) 혹은 담화 중심적(discourse-prominent) 언어로 알려져 있다. 한국어에는 주어를 표시하는 형식적, 형태론적인 기제가 발달되어 있으나 주어가 문맥상 이해가 되는 경우 대부분 생략이 되며 또한 주어가 사건상황(Sachverhalt)에서 재생이 가능할 경우 여러 문장에 걸쳐 생략되는 특징을 보여 준다.




 ≪ … 중 략 … ≫




2. 병렬번역텍스트에 나타난 한국어와 독일어의 차이

주어중심 언어인 독일어의 경우 한국어와 비교한 다음의 예들에서 주어의 생략 혹은 의무적 표시에 관한 사실이 보다 극명하게 드러난다. 황순원의 <소나기>에서 발췌한 한국어, 독일어 병렬텍스트를 살펴보자. 독일어 부분은 본대학의 마티아스 폭스(Matthias Fox)학생이 학기 중 부분 번역한 사항을 발췌한 것이다.

참고문헌

최종고(1983), 󰡔한독교섭사󰡕, 서울: 홍성사.
Beckers-Kim Y. J.(2005), Koreanisch für Anfänger, Edition Peperkorn.
Herrmann, W.(1994), Lehrbuch der modernen koreanischen Sprache, Hamburg: Helmut Buske Verlag.
Kim, Y. J.(2001), Koreanisch als Fremdsprache: Probleme des Sprachunterrichts für die deutschkoreanischen Studenten der zweiten Generation und für deutsche Studenten. Diplomarbeit, Universität Bonn.
Lewin, Bruno/Kim, J. D.(1997), Einführung in die koreanische Sprache, Hamburg: Helmut Buske Verlag.
Seong, Sang Hwan(2001), “Transitivity Parameter and Prominence Typology: a crosslinguistic approach”, In Applied Cognitive Linguistics I, edited by M. Pütz, S. Niemeier & R. Dirven, Cognitive Linguistics Research 19. 131-165. Berlin & New York: de Gruyter.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국문학개론] - 독일어권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모습, 독일어와 비교한 한국어의 특징, 병렬번역텍스트에 나타난 한국어와 독일어의 차이,독일학생들의 작문 분석에 나타난 한국어 문법 오류의 문제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국문학개론]향가의 명칭, 형식 그리고 작가
  • [국문학개론]향가의 명칭, 형식 그리고 작가 Ⅰ. 서론 중학교와 고등학교 과정을 거친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향가에 대해서 접해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서동요나 찬기파랑가는 아직도 머릿속에 남아 있을 정도로 유명한 향가 중 하나였다. 우리말이 없던 시기에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서 우리말을 적던 향찰로 표기된 신라시대의 유행가인 향가. 이는 삼국시대 말엽에 발생하여 통일신라시대 때 성행하다가 말기부터 쇠퇴하기 시작, 고려 초까지 존재했다. 현재까지 남아 전하는 향가문학 작품으로는 신라 진평왕 시대인 서기 600년 전후의 「서동요」와 「혜성가」, 7세기에 「풍요」,
  • [국문학개론]임경업전 조사, 연구(논문 요약)
  • [국문학개론]임경업전 조사, 연구(논문 요약) 1. 서론-논문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과 특성 문학하면 재밌는 어려운 국어 문법을 생각하기에 앞서 재미있는 이야기를 떠올리기 쉽다. 그래서 나 또한 학창 시절 국어시간 중에 다른 장르를 할 때는 잠도 많이 자고 했지만 문학 시간에는 수업과 상관없이 책을 읽으면서 시간을 보냈던 기억이 난다. 그중에서도 문학 하면 소설을 가장 대표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데 특히 고전소설은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작품의 구조가 단순하고 주제가 보통은 권선징악으로 정해져있기 때문에 머리 아프지 않게 재밌게 읽을 수가 있었다. 그런데 보통의
  • 국문학개론 과제
  • 국문학개론 과제 1. 속요란? 조선 중기 이후 일반 민중 사이에서 널리 불리던 가요이다. 속가, 속가사 등으로도 불리며, 가사와 민요의 중간적인 위치에 놓인 노래들을 일컫는다. 민요가 서민적인 데 비하여 속요는 시상에 있어 민요이면서 가사의 품위를 나타내려고 한문투를 많이 풍기는 것이 특징이다. 2. 속요가 민요에서 구전되었다는 증거 - 지방의 성격을 띈 민요가 많다. 동일한 내용의 기사나 비슷한 내용의 가사가 두 노래 이상에서 나타난다. - 내용에 남녀 간의 상사나 상열이 많다. - 민요 특유의 구조, 표현, 시어, 율격을 가진다. - 여음
  • 국문학개론 향가
  • 국문학개론 향가 1.서론 우리 민족의 가장 오래도니 문학작품이라 할 수 있는 향가문학은 [삼국유사] 편목의 예속에서도 밝혀지듯 작품의 배경과 모태가 불교적인 사상을 근저로 불려 진 노래 였음이 확연하다. 신라 땅이 불국토(佛國土) 아닌 곳이 없듯이 향가작품 또한 대부분 불교적인 연기설화(緣起說話)나 이적(異蹟), 또는 스님들에 얽힌 노래들이다. 지금 전하는 향가 중에는 사뇌가 양식에 속하는 것이 많고, 이 사뇌가란 형식면에서도 일정한 격식을 갖춘 정형시이지만 내용에서도 불교 신앙을 바탕 삼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뇌가는 그 노래를 부른 사람이나, 지었다고 알려진
  • [국문학개론] 국문학사 - 1960년대 소설에 대해서
  • [국문학개론] 국문학사 - 1960년대 소설에 대해서 1. 1960년대 소설의 양상 60년대 소설의 문학사적 의미는 본격적인 현대 소설의 전개를 준비하고, 그러한 준비를 바탕으로 현대 소설로 진입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50년대의 한국 소설이 전쟁이라는 한국적 특수 상황에 대한 응전의 특별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면, 60년대의 소설은 전후 소설의 특수성에서 벗어나 보편적인 소설의 문법을 마련하는 일반적인 형식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전후 소설의 작가들이 전쟁에 대한 피해의식에 매달려 있느라 소설의 미학적 측면을 고려하지 못한 것에 대하여, 50년대의 전후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