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기놀이_중심의_거친_신체놀이가_유아의_일상적_스트레스_감소에_미치는_효과
해당 자료는 27페이지 중 9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27
  • 품질인증

잡기놀이_중심의_거친_신체놀이가_유아의_일상적_스트레스_감소에_미치는_효과

자료번호 p1256848
수정일 2014.11.10 등록일 2014.01.14
페이지수 27Page 파일형식 PDF
판매자 ja****** 가격 3,3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본 연구는 잡기놀이 중심의 거친신체놀이를 현장 유아들에게 적용하고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연구한 실험연구이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잡기놀이_중심의_거친_신체놀이가_유아의_일상적_스트레스_감소에_미치는_효과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들의 건강이 담보되어야한다. 건강이라는 디딤돌이 받쳐주지 않는다면 유아의 어떠한 행복도 추구할 수가 없다. 건강의 소중함에 관해서는 굳이 아파보지 않아도 누구나 선험적으로 그 가치를 받아들인다. 건강은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상태(wellbeing)로 정의
된다(김태현, 2005). 즉 건강은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사회적 건강으로 범주화되고 이 3요소가 모두 온전할 때 ‘건강하다’라는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취학 전 유아기는 두뇌발달단계상 전두엽과 변연계의 발달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서 종합적인 사고와 아울러 정서교육의 기초를 다지는 데 중요한 시기이므로(김유미, 2003) 정신적 건강이 매우 중요하다.
정신건강은 “일상생활을 언제나 독립적, 자주적으로 처리해 나갈 수 있고, 스트레스에 대한 통제력을 갖추고 있으며 원만한 개인생활과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88). 따라서 정신건강을 위해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통제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스트레스의 강도가 높거나 장시간에 걸쳐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정신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되어 정신장애까지 발생할 수 있다(설진화, 2008). 특히 전인적 인간발달 형성의 최적기로 평가되는 유아기 때,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두통, 위장병, 고혈압, 피부 반응등의 신체적 반응과 우울, 성급함, 주의산만, 불안정, 무기력감 등의 정서적 반응, 신체적·언어적인 공격적 행동, 반사회적 행동, 의기소침, 비활동적인 행동을 나타내게 될 가능성이
높다(임갑빈, 1993).
유아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자극의 강도에 따라 중대한 생애사건과 일상적 스트레스로 분류된다(Band, Weize, 1988). 누적된 일상적 스트레스는 심리적 건강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일상적 스트레스 몇 개가 동시 발생적으로 나타나면, 복합적인 효과를 내기 때문에 단순한 하나의 중대한 생애사건보다도 더 위협적으로 고려된다(장영화, 2000). 따라서 유아
가 일상생활 속에서 반복적으로 일상적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교사와 부모들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유아의 전인적 발달에 위협적 요소로 작용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전개되고 있다. 이중, 활발한 대근육 신체움직임이 요구되는 신체활동을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음을 보고하는 연구들이 있다(Buckworth,Dishman, 2002; Carron, Hausenblas & Eastabrooks, 2003). 유아신체활동과 스트레스간의 관계를 밝힌 대다수의 연구들은 유아교사들이 직접 유아들과 활동한 것이 아니라 연구자의 의도에 따라 체육활동이나 신체놀이를 할 줄 아는 전문가에 의해 계획된 활동들이다. 유치원교사들이 유아신체활동을 직접 실시하지 못하는 이유로 교사 전문성의 부족이 지적되고 있다(박효찬, 1999). 즉 유아들과 어떻게 대집단 신체활동을 해야 하는지 그 내용과 방법에 있어 낮은 교사효능감을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유아신체활동을 담당하는 교사는 아동발달의 잡기놀이 중심의 거친 신체놀이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363특성과 통합적인 유아교육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유아를 잘 아는’ 유치원교사가 신체활동관련 지식을 습득하고 몸으로 행할 수 있다면 통합적인 교
육과정 속에 녹아든 활동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김성재, 김창복, 200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잡기놀이 중심의 거친 신체놀이 활동을 구성하여 유아교사가 직접 유아들과 함께 해보고자 한다. 다른 활동에 비해 잡기놀이 활동은 전문적인 동작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아교사도 다양한 형태의 잡기놀이 방법을 이해한다면 큰 부담감 없이

참고문헌

고여훈 (2009).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의 양상과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의미 분석.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여훈, 엄정애 (2010).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 양상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아동학회
지, 31(4), 75-90.
김성재, 김창복 (2009). 구성주의 교사교육 관점의 유아체육교수학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의 변화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23-49.
김영아 (2007).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김영아, 신혜영 (2007). 바깥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 양상 및 관련 변인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6(5), 945-955.
김유미 (2003). 두뇌를 알고 가르치자. 서울: 학지사.
김종만, 이태수 (2007). 북녘 아이들 놀이 백가지. 서울: 바보새.
김종배 (2005). 유아의 체육활동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김태현 (2005). 초등학교 여교사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노만택 (2002). 웃음의 건강학. 서울: 푸른솔.
문세원 (2008).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교사들의 이야기.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은숙 (2008). 자기 개념과 운동이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 복지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효찬 (1999). 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유아체육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대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8). 교육학 대백과사전. 서울: 하우.
설진화 (2008). 정신건강론. 서울: 학현사.
송성숙 (2002). 전래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 산업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잡기놀이 중심의 거친 신체놀이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385
송자영 (2002). 신체활동 놀이가 유아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양기순 (2008). 요가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스트레스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
산업대학원 석사논문
우진아 (2002).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놀이 양상. 중앙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상호, 박향미 (1999). 전래놀이 101가지. 서울: 사계절.
이서현 (2007). 전통놀이 활동경험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숙재 (1998). 어린이의 거친 신체 놀이와 사회적 능력 연구. 아동학회지, 19(1), 131-140.
이순형 (2002). 만 4․5세 체육활동. 보건복지부.
이애영 (2006). 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
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윤희 (2009).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이정숙 (2002). 어린이들의 거친 신체놀이 기전여자대학 산학연구소논문집, 22, 95-106.
이정은 (1992).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의 일상적 스트레스.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영 (2007). 남여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이지영, 이경옥(2008). 남녀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또래유능성 및 또래인기도와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93-112.
임갑빈 (1993). 유아스트레스 해소방법에 대한 기초연구. 교육연구, 2, 315-336.
장영화 (2000). 유아 스트레스와 대처행동 분석.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진순 (2005). 명상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 산업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최혜경 (2005). 유아의 인성특성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일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EBS (2009). 아이의 사생활. 서울: 지식채널.
Belsky, J., & Vondra, J. (1993). Developmental origins of parenting personality and relationship factors. In
T. Luster, L. Okagaki(Eds.),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227-250. Hillsdale: Lawrence
Eorlbaum.
Band, E. B., & Weize, J. R. (1988). How to feel better when it feels bad: children's perspectives on
coping with everyday stress. Developmental Psychology, 20, 105-121.
386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6권 제1호)
Barbara Kuczen. (2002). 아동의 스트레스. (강영자, 박성옥, 양명숙 편역). 양서원. (원본발간
일, 1987).
Boyd, B. J. (1997). Teacher response to superhero play: to ban or not to ban?. Child Education, Fall,
74(1), 23-28.
Buckworth, J., & Dishman, R. K. (2002). Exercise psychology. Champaign, IL: Human Kinetics.
Carron, A. V., Hau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잡기놀이_중심의_거친_신체놀이가_유아의_일상적_스트레스_감소에_미치는_효과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영유아의 일상인 놀이가 인지발달, 사회성발달, 정서발달, 신체발달, 창의성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기술
  • 영유아의 일상인 놀이가 인지발달, 사회성발달, 정서발달, 신체발달, 창의성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기술 Ⅰ. 서론 놀이는 아동의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인 주요한 발달 영역에 있어서 긍정적 영향을 준다. 아동에게 학교에서 가정에서 많은 시간의 어른과 또래들과의 놀이가 필요하다. 발달지체의 아동은 놀이 활동과 놀이 환경에 있어서 특별한 수정이 필요하다. 놀이기술은 아동의 전반적인 성장과 발달을 강화한다. 장애아동의 놀이기술은 질적, 양적으로 일반아동들과 다릅니
  • [사범/법학] 영유아의 일상인 놀이가 인지발달, 사회성발달, 정서발달, 신체발달, 창의성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기술
  • [사범/법학] 영유아의 일상인 놀이가 인지발달, 사회성발달, 정서발달, 신체발달, 창의성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기술 서론 영유아는 놀이를 통해서 무엇이든지 배우고 성장한다. 영유아의 활동 대부분이 놀이 시간에 할애되고 거의 모든 관심이 놀이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놀이는 영유아의 사업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놀이는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 과정에 가치있는 수단이기도 하지만 곧 살아있는 교육이며, 영유아들이 생활 속에서 세계에 대한 의미를 만들어 나가도록 끌어들이는 활동이며 경험이다. 영유아는 놀이라는 스펙트럼을 통해 세계를 관찰하고 수용하게 되며 자유로운 내면
  • 놀이가 영유아 신체발달에 미치는 이유00
  • 놀이가 영유아 신체발달에 미치는 이유00 Ⅰ. 서 론 영유아기의 놀이는 장차 건전한 민주시민으로 자랄 수 있는 초석이 되고 있다. 영유아기는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로 영유아기에 신체적 육체적 건강이 평생을 좌우한다고 볼 수 있다. 영유아기는 다른 시기보다 질병에 대한 취약성이 놓고 건강한 생활에 기초가 되는 기본생활 습관과 태도를 형성하는 시기 이므로 영유아와 함께 생활하는 부모, 교사 및 보육시설 종사자들은 이들의 건강을 위하여 서로 협력해야 한다. 영유아가의 발달은 장래의 성장과 건전한 생각과 건강한 육체를 가지기 위해 절대로 필요한 것
  • 놀이가 영유아의 발달(신체.언어.인지.사회.정서발달)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설명하고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의견을 제시
  • 놀이가 영유아의 발달(신체.언어.인지.사회.정서발달)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설명하고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의견을 제시 1. 놀이가 영유아의 신체발달에 미치는 영향 놀이를 통해 아동의 대근육, 소근육 운동이 발달한다. 뛰기, 타기, 점프하기, 매달리기 등의 놀이를 통해 균형감각 발달과 근육성장에 도움을 주며 퍼즐 맞추기, 장난감 조작하기, 미술도구 활용을 통한 소근육 발달과 눈.손협응 발달에 영향을 준다.
  • 영유아교육 주제별,연령별 유아교육 활동계획안(신체활동,사회활동,미술활동,바깥활동,정서발달,언어영역,사회영역,창의영역,과학영역,수영역,책보기,역할놀이,그리기,만들기 등)
  • 영유아교육 주제별,연령별 유아교육 활동계획안(신체활동,사회활동,미술활동,바깥활동,정서발달,언어영역,사회영역,창의영역,과학영역,수영역,책보기,역할놀이,그리기,만들기 등) I. 연령별 아동의 모습과 놀이 및 상호작용 방법 1.만 1세 1)아동의 모습 ① 신체 발달 손으로 물건을 옮기고 교환할 수 있으며 왼손 혹은 오른손으로 주로 사용하는 손이 있다. 손가락으로 지적할 수 있으며 옷을 입고 벗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여러 각도로 시선을 돌리고 볼 수 있으며 주변을 살필 수 있다. 컵, 숟가락, 손가락을 사용해 혼자 먹을 수 있다.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