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의 전자화
해당 자료는 14페이지 중 4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4
  • 프리미엄

주주총회의 전자화

자료번호 p509595
수정일 2010.06.07 등록일 2008.04.07
페이지수 14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lo****** 가격 3,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흔하지 않은 주제로서 참고하시면 좋은 자료 입니다 ^^ 좋은 성과 거두세요^^

목차

Ⅰ. 서론

Ⅱ. 현행 상법상 주주총회의 전자화의 개념적 구체화
1. 상법 제 363조 제 1항의 의의
2. 현행 상법상 주주총회의 전자화 규정의 검토

Ⅲ. 현행 상법상 주주총회의 전자화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구체화 방안
1. 논의의 필요성
2. 주주의 사전동의의 권유
3. 소집통지의 내용 및 형식의 동일성 확보
4. 회사 책임의 명확화

Ⅳ. 결론

본문내용

주주총회의 전자화
Ⅰ. 서론
최근 정보기술(IT)의 발전은 전자상거래는 물론이고 회사지배구조를 비롯한 회사운영방법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 인터넷의 이용증대로 주주와 회사간에 주주총회의 전자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주주총회의 전자화라 함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먼저 인터넷을 통하여 주주총회의 소집통지를 전자화하는 것과 IT기술을 이용하여 주주총회 자체를 전자화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회사정보에 대해 주주에게 정보 제공하는 기능을 전자적 수단으로 교체하는 것을 의미하고, 후자의 경우는 주주총회에 대한 장소적 설정을 가상공간으로 대체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우리 상법에서도 주주총회의 소집통지를 전자문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상법 제 363조 제 1항). 실제 삼성전자주식회사를 비롯한 많은 기업들이 전자문서에 의한 주주총회 소집통지를 정관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조항은 성격상 강행규정 이나 전자화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제시하고 있지 않아 여기에서는 주주총회의 전자화와 관련하여 상법 제 363조 제 1항을 개념적으로 구체화하고 그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현행 상법상 주주총회의 전자화의 개념적 구체화
1. 상법 제 363조 제 1항의 의의
현행 상법 제 363조 제 1항 제 1문은 주주총회를 소집하기 위해서는 “회일을 정하여 2주간 전에 각 주주에 대하여 서면 또는 전자문서로 통지를 발송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전자문서에 의한 주주총회의 소집통지는 회사와 주주 양자에게 이익을 가져다 준다. 우선 서면(종이문서)는 작성과 발송에 드는 금전적 부담과 업무량이 많은데 비해 전자문서는 서면(종이문서)의 작성과 발송에 드는 금전적 부담 및 용지나 봉투 기타 소모품의 종이문서의 처리에 요구되는 업무량을 줄일 수 있어 회사에 이익을 가져다 주게 된다. 또한 전자문서에 의해 주주총회 소집통지를 발송하는 경우 주주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거리에서 그 전자문서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시간적 ․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특히 외국에 거주하는 주주에 대하여 전자문서에 의한 주주총회 소집통지를 보낼 경우에는 그 효용성이 두드러질 것이다. 요컨대, 우리 상법상 전자문서에 의한 주주총회의 소집통지는 거래 비용을 절감시키는 것과 주주가 그 소집통지에 대해 접근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참고문헌

양만식, “상법상의 IT화-일본상법에 있어서의 주주총회의 전산화를 중심으로-”, (인터넷 법연구 제 1호, 2002).
권재열, “주주총회의 전자화-상법 제363조 제1항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비교 사법 제10권 2호, 2002).
李哲松,「會社法講義」第 3版 (搏英社, 2003), 405면.
송오식,「전자상거래와 법」(금왕출판사, 2000).
곽관훈, “전자문서에 의한 주주총회 소집통지”, (한국기업법학회, 2002).
최기원,「상법학신론 (상)」제 13 신정판 (박영사, 2001).
황인현, “전자문서의 민사증거법상의 문제” , (법조협회 통권 516호, 1999).
김상명, “전자서명 및 전자인증의 법률문제에 관한 고찰” 「비교사법」제 8권 제 1호 (하) (한국비교사법학회, 2001).
권종호, “주주총회의 IT화-2001년 일본개정상법을 중심으로-”,「증권예탁」제 41호 (증권예 탁원, 2002).
곽윤직,「민법총칙」제 7판 (박영사, 2002), 189면.
지원임, “자동화된 의사표시”, 「저스티스」 제 31권 제 3호 (한국법학원, 1998).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주주총회의 전자화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주주총회, 그 쟁점과 지향점
  • 주주총회, 그 쟁점과 지향점 1. 주주총회의 인식변화 주주총회의 개최동기 및 인식이 주주들에게 IMF 이후 바꾸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OO 신문에서 글을 찾아보았다. `시민혁명’의 바람이 주주총회장에도 불어닥칠 조짐이다. 3월 주총 시즌이 본격적으로 개막되면서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한 소액주주들의 제몫찾기 운동이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들어 소액주주의‘말발’이 거세어지는 상황에서 이들이 회사 경영의 문제점이나 요동치는 주가 등을 둘러싸고 회사와 한 판 승부를 예고하고 있어 그 열기는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3월은
  • 주식회사기관 주주총회 이사회
  • 주식회사기관 주주총회 이사회 Ⅰ. 개정방향 _ 감사를 제외한 주식회사의 기관, 즉 주주총회 및 이사와 이사회에 관하여는 주식회사의 의결 및 집행기관의 민주화와 동시에 회사운영의 능률화를 한꺼번에 달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Ⅱ. 축조의견 _ 제361조(총회의 권한) 주주총회는 본법 또는 정관에 정하는 사항에 한하여 결의할 수 있다. _ 이사회의 권한과 지위를 강화할 필요상 상법에서 이사회의 권한사항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관에 의해서도 주주총회의 결의사항으로 할 수 없도록 하는 문구를 추가하여야 할 것이다. _ 제362조(소집의 결정
  • 주주총회결의부존재확인의 소
  • 주식회사에 주주총회의 결의하자의 양태에는 ① 결의에 형식적하자가 있는 경우, 즉 총회소집의 절차 또는 결의방법이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하는 때 ② 결의에 내용적하자가 있는 경우, 즉 결의의 내용이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되는 때 ③ 특정주주가 그 의안에 대한 특별이해관계 때문에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었으므로 말미암아 나머지 주주들이 현저하게 불당한 결의를 하였을 때 ④ 주주총회의 결의라고 인정할만한 결의가 외견상 존재하지 않을 때등 네가지가 있다. _ 주지하는 바와 같이 ①의 경우가 결의취소의 소의 대상이며(상법삼칠육조) ②의 경우가 결의무효확인의 소의 대상이고 ③의
  • 창립총회와 주주총회에서의 결의요건
  • 창립총회와 주주총회에서의 결의요건 창립총회의 결의는 출석한 주식인수인의 의결권의 3분의 2 이상이며, 인수된 주식의 총수의 과반수에 해당하는 다수로 하여야 한다(상 309). 또 의결권없는 주식의 인수인도 이 경우에는 의결권이 있다. 위 의결요건은 주주총회의 특별결의의 요건(상 434)보다 가중되어 있는 것이며, 그것은 창립총회가 회사창설이라는 중요한 의사를 결정하기 때문에 특히 엄격하게 규정된 것이다. 주주총회의 일반결의 총회의 정족수는 인원수와는 상관없이 출석주주의 지주수에 의한다. 정족수의 내용은 정관변갱결의 기타 상법에 특별한 규정을 둔 경우
  • 주주총회의 권한과 운영에 대한 고찰
  • 주주총회의 권한과 운영에 대한 고찰 주식회사에 있어서 주주총회는 회사의 의사를 결정하는 최고 필요 상설의 합의체기관이다. 총회는 회사의 기관으로서 회사운영상의 중요사[2] 항에 관한 의사를 결정하는 임무를 가지고 있다. 회사의 의사결정기관으로서는 총회이외에 이사회가 있으며 대표이사나 감사도 일정한 범위내에서 의사를 결정할 수 있으나, 총회는 사단구성원의 총의를 직접적으로 표시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주1) 주1) ① Karl dehmann, Das Recht der Aktiengesellschaften, Bd, II, 1904 S.157 ② 박길준, 「주주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