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치료 (Pain Control) 정리
해당 자료는 7페이지 중 2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7

통증치료 (Pain Control) 정리

자료번호 p671482
수정일 2011.12.22 등록일 2010.06.19
페이지수 7Page 파일형식 워드(doc)
판매자 GU**** 가격 1,4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소화기병동 사전학습
  • 치료법) :정맥주사를 통한 자가통증치료법은 일정한 양의 진통제가 정맥로를 통해 지속적으로 투여 되고 있는 상태에서 환자 자신이 통증을 느낄때 진통제를 안전하게 추가 투여할수 있도록 만들어진 새로운 진통방법  1)Pain control 2)
  • 운동치료 관한 논문
  • 통증제거와 근육이완을 목표로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치료적 목표와 발생기전에 따른 적용방법에 착안하여 스포츠마사지 프로그램이라고 용어를 정리하였다. 최근 국내에서도 스포츠마사지에 대한 임상 활용도가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가
  • 경피신경 전기자극치료의 이론적 배경
  • 아편물질의 분비를 촉진시키기 때문이라 하였다.  1) 관문조절설(gate control theory) 2) 엔돌핀설 3) 양극전도차단(anodal conduction block) 4) 피질억제설 (cortical inhibitory surround theory) 5) 시상통증부호 변화(Change of thalamic pain code)

소개글

통증의 정의, 발생기전, 종류, 퇴로기전, 약물치료에 대한 소개

목차

1. 통증의 정의
2. 통증의 발생기전
1) 통증의 발생기전
2) 통증의 전달과 인식
3. 통증의 종류
1) 발생부위
2) 통증의 전달 속도
3) 급성 통증과 만성 통증
4. 통증의 퇴로 기전
1) 내인성 진통제(endogenous opioids)
5. 통증의 약물 치료
1)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2) 마약성 진통제
3) 항우울제, 항경련제, 신경이완제, 항히스타민제
4) 스테로이드
6.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증치료 (Pain Control) 정리
1. 통증의 정의

통증이란 실질적인 또는 잠재적인 조직 손상이나 이러한 손상에 관련하여 표현되는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불쾌한 경험이다. 통증은 신체의 이상을 신속히 알리고 경고하는 중요한 방어 기전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어적인 역할을 다한 뒤에도 통증이 계속적으로 남아있게 되면, 이 통증 자체가 하나의 질병이 되어 인간을 괴롭힌다. 따라서 치료를 요하게 된다.


2. 통증의 발생기전

1) 통증의 발생기전
손상 받은 조직은 potassuim, prostaglandins, bradykinin 등을 방출한다. 이러한 물질들을 통증유발 물질이라고 한다. 이런 물질들은 감각 전달 신경절에서 말초 쪽으로 나온 sensory afferents를 자극하여 substance P가 방출되도록 한다. Sustance P는 다시 mast cell에 작용하여 mast cell에서 histamine이 방출되도록 한다.
히스타민과 다른 물질들은 통각 수용기를 직접 자극하고 이 자극은 axon을 타고 신경절에 이른다. 신경절에 자극이 오게 되면 척수와 연결된 신경절의 다른 끝에서 통증 전달 물질인 substance P, glutamate 등이 척수의 dorsal horn에 방출된다.


통증의 전달과 인식
말초신경에서 신호가 오면 감각전달신경세포(sensory neuron : 제 1 차 통증감지신경 세포)를 지나 척수(dorsal horn : 제 2차 통증감지신경세포)내에 있는 anterior white commisure를 지나 척수시상계(spinothalamic tract)를 거쳐 시상(thalamus : 제 3차 통증감지신경세포)에 전달된다. 전뇌(frontal cortex) 또는 감각 지각령(somatosensory cortex)에서 통증이 인식된다.
3. 통증의 종류
1) 발생부위
(1) 표재성 통증(superficial pain) : 피부
(2) 심인성 통증(deep pain) : 근육, 건(tendon), 내장기관(intestine, heart)
2) 통증의 전달 속도
(1) First pain : 주로 Aδ-fiber에 의해 전달되며 날카롭거나 찌르는 듯한 통증을 유발한다. 이 통증은 전달속도가 빠르고 국소적이며 주로 myelin된 axon에 의해 전달된다. 아편성 진통제에 의해서 억제가 안된다.
(2) Second pain : 주로 c-fiber에 의해 전달되며 확산되고 끊임없는 통증을 유발한다. 이 통증의 전달속도는 느리고 널리 펴져 있고, 주로 myelin 안된 axon에 의해

참고문헌

1) 해리슨 내과학(정담) 1997
Kurt J. Lesslbacher, Eugene Braunwald, Jean D. Wilson, Joseph B. Martine
Anthony S. Fauci, Dennis L, Kasper 1997년 (p.53-81)
2) 통증의학(대한통증학회)
오흥근 편저 1995년
3) CURRENT 1996 Thirty-fifth Edition(한일의학서적)
Lawrence M. Tierney, Jr., MD, Stephen J. McPhee, MD, Maxine A. Papadakis MD(p.11-20)
4) http://www.kimsonline.co.kr
5) http://www.chonnam.ac.kr/http_docs/vetmed/lecture/p.../lec1-6.htm
6) http://210.119.180.11/~rehabil/kjm/pain/pain4.htm
7) http://cancernet.nci.nih.gov/pain_control
8) http://anesth.yonsei.ac.kr/Activity/PAIN/Pc_k.htm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통증치료 (Pain Control) 정리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미술치료][미술치료프로그램]미술치료의 정의, 미술치료의 구성 요소, 미술치료의 필요성, 미술표현의 발달과 치료, 집단미술치료, 미술치료의 견해, 미술치료의 입장, 미술치료의 전망과 과제 분석
  • [미술치료][미술치료프로그램]미술치료의 정의, 미술치료의 구성 요소, 미술치료의 필요성, 미술표현의 발달과 치료, 집단미술치료, 미술치료의 견해, 미술치료의 입장, 미술치료의 전망과 과제 분석 미술치료에서는 심리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미술작품에 의한 심리진단 도구가 개발된 것도 있으나, 치료과정에서 한 인간을 이해하는 하나의 도구라는 입장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진단의 기법으로는 자유화법, 과제화법, 상상화 그리기, 나무그림검사, HTP(HTP-R, KHTP등), 인물화 검사(DAP), 가족화 또는 동적가족화(KFD), 동물가족
  • 통증 치료에서 통증유발점(trigger point)의 의미
  • 통증클리닉에서 진단과 치료를 겸해 시행하는 법은 신경차단 과 통증유발점 주사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신경에 유해자극을 주어 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은 척수에서부터 신경근, 신경총, 말초신경의 말단까지 신경주행과정의 어디에도 있을 수 있다. 신경자극의 원인이 척추 안에 있을 때에는 척추강내 울형, 척추강협착, 경막외강유착, 척추전방전위증, 추간판탈출증 등이 있고 이들은 유착박리술, 경막외강주사법, 외과적인 감압술 등으로 제거가 가능하다. 척추를 벗어난 곳의 신경자극의 원인은 신경의 주행상의 어느 곳에도 있을 수 있는데 골격근이나 인대에 생긴 통증유발점(trig
  • [미술치료][미술치료프로그램]미술치료의 정의 유형, 미술치료의 역사, 다양한 관점의 미술치료, 미술치료의 필요성, 미술치료의 장점, 미술치료에 관한 잘못된 인식, 특수아동과 미술치료, 미술치료프로그램
  • [미술치료][미술치료프로그램]미술치료의 정의 유형, 미술치료의 역사, 다양한 관점의 미술치료, 미술치료의 필요성, 미술치료의 장점, 미술치료에 관한 잘못된 인식, 특수아동과 미술치료, 미술치료프로그램 미술치료의 근원적인 뿌리는 선조들이 자신들과 외부세계와의 관계를 동굴이나 벽에 표현하고 심상으로 실존의 의미를 추구하던 선사시대부터이다. 미술치료는 정신질환자들의 회화에 대해 관심을 갖게된 것이 19C 말부터인데 프랑스의 A.Tardieu, Max Simon과 이태리의 Cesare Lombroso 등에 의해서 환자들이 제멋대로 그린 그림들이 비록 의미가 없어 보이지만 환
  • 통증치료와 현황
  • 1) 지식수준의 결여 지금부터 20여 년 전까지만 해도 통증 연구는 학계에서 비교적 소홀히 여겨졌고 오직 몇몇 기초 및 임상학자들이 참여했었다. 더구나 통증 연구는 동물실험에 국한되어 연구되었고 임상 관련분야의 문제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었다. 1970년대 초반까지 학계는 의학연구, 의학 및 기술적 분야의 발전을 통증 연구, 특히 만성 통증의 기전과 병태생리에 대한 연구에 이용하지 못했다. 또한 급성 통증 연구를 통해 얻은 가설과 통증의 개념들은 서로 관련을 갖지 못하고 체계적이지 못했고, 더구나 만성 통증을 설명해 주는 가설은 되지 못했다. 또한 상당수의 환자에
  • 통증발생원인기전및 치료
  • 통증발생원인기전및 치료 ⇒통증은 객관적이며 측정하기 어려운 개인적이며 주관적인 경험이다. 통증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전인간호를 함에 있어서 통증 조절은 분명히 어려운 문제이나, 매우 중요한 점은 통증은 단순한 증상이 아니라. 개인 경험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이다.통증(pain,algegia)은 독립된 감각이며, 통각에 관련된 신경조직이 있어서 이것이 유해 자극에 의해서 통각을 일으키게 한다. 동통이란 유해 수용기와 신경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특별한 구심성 신경로(centripetal nerve pathway)를 통하여 대뇌피질과 변연계 영역(limbic system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