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광고의 터부 경계 파괴로 바라본 한국의  사회변화-
해당 자료는 17페이지 중 5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7

연구논문-광고의 터부 경계 파괴로 바라본 한국의 사회변화-

자료번호 p883525
수정일 2012.04.25 등록일 2012.04.25
페이지수 17Page 파일형식 PDF
판매자 kj******* 가격 3,5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학교 개인 프로젝트로 연구한 논문입니다.

성적은 A+받았습니다.

한국의 광고세계의 특성과 요즘의 변화하고 있는 추세를 분석적 시각으로 연구하였습니다.

목차

I. 서 론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방법
II. 본론
1. 왜 금기 위반 광고가 출현 하는가?
1-1 광고란 무엇인가?
1-2 금기 위반 광고의 출현 배경
2. 한국 사회의 변화하는 인식과 성공한 금기위반 광고
2-1 금기의 모델을 이용한 광고
2-2 금기시 되던 색을 이용한 광고(빨간색을 이용한 광고)
2-3 금기되던 성(性)적 인식을 이용한 광고
2-4 종교라는 금기의 소재를 이용한 광고
3. 한국 사회에서 용인되지 못한, 실패한 금기침범 광고
3-1 금기는 금기다
3-2 변화한 금기로 실패한 광고.
III.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구논문-광고의 터부 경계 파괴로 바라본 한국의 사회변화-
I. 서 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경영학과인 필자의 경우 최근학기 마케팅 수업을 듣게 되었고 그로인해 광고에 관심을
갖다 보니, 점차 파격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광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광고는 주
로 단 몇 초의 짧은 영상이나 신문 한 지면에 광고의 메시지를 모두 담아야 하는 핵심
적이고 압축적인 의사 전달의 한 형태이다. 그리고 구매자의 동기를 불러 일으켜야 하
는 광고 특성상 오래 각인되고, 이슈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점차 자극적으로 변하고 있
으며, 소수문화에 열광하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젊은 계층의 수요 증가로 금기시 되
던 민감한 주제들이나 생각들로 그 영역을 점차 넓혀가고 있다. 또한 광고는 그 사회
의 시대상이나, 라이프스타일, 가치관을 드러내기 때문에 광고 변화에 따른 시대의 모
습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 했다. 본 연구에서는 금기를 깨뜨린 광고들은 어
떠한 광고가 있는지, 한국의 변화하는 인식, 사회상에 따라 이전 금기로부터 해방된
광고 중 어떤 광고들이 성공하였고, 반대로 한국 사회에서 아직 용인되지 못한 실패한
금기침범 광고를 알아보고 분석하고자 한다.
1.2 연구방법
현재까지의 한국 광고에서 나타난 금기위반 사례 수집 및 분석하고, 이를 위해 서적
및 인터넷, 뉴스, 신문 등 대중매체를 이용 한다.

참고문헌

Ⅳ. 참고문헌
도서
Philip Kotler & Kevin Lane Keller, "Kotler 마케팅 관리“
(시그마프레스, 2008 제 3판 조호현 외 3명 옮김), 21세기 마케팅의 정의 pp.4-13
박성혁 외 6명, 대한민국 일등광고의 20법칙(디자인 하우스, 2004년)
11법칙 금기탈출로 차별화 하라 pp.195-207
이화자, 일상의 욕망과 금기, 광고로 읽다.(커뮤니케이션북스, 2007년)
황성욱, 마케팅 트레블러(마젤란, 2010) 광고가 아닌 이슈에 주목하라! pp.62-96
논문
웹 논문 : 최성수, “한국의 대중문화 속 동성애” (기초 신학 연구소, 2010. 12. 10)
http://blog.daum.net/cineliteracy/8325701
웹페이지
leegline 네이버 블로그 「광고의 목적」
http://blog.naver.com/leegline?Redirect=Log&logNo=40062443783
네이버 백과사전 「광고효과 advertising effect」
http://100.naver.com/100.nhn?docid=18520
게이총각, 「동성애 강의실#31 - 대중문화 전반에서의 동성애」 2010. 08. 01
http://crazygeno_kr.blog.me/120112334508
new pop, 「금기와 고정관념을 넘어선 브랜드」2004. 08. 24
http://blog.naver.com/sopy400?Redirect=Log&logNo=120005271110 잡지
「세상 따라잡기」 『여성 동아』 2002. 6. 4.
http://livepoll.donga.com/docs/magazine/woman_donga/200207/sisa02.html
김병희 서원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종교소재 광고에 ‘광고’는 없다」『광고계 동향』 2002. 8월호
신문기사
「CF도 禁忌 를 깨야 뜬다?」『해럴드 경제』 2005. 06. 1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6&aid=0000175548
「해외 언론, 애니콜 문화마케팅 주목」『서울 연합뉴스』2005. 06. 0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1016707
「금기깬 광고 금쪽같은 효과」『스포츠 투데이』2005. 7. 14
http://blog.naver.com/jk209l?Redirect=Log&logNo=120015239511 「광고도 '한류 열풍' 거세다」 『서울 경제』 2006. 04. 02
http://economy.hankooki.com/lpage/industry/200604/e2006040217184947670.htm
「CF도 禁忌 를 깨야 뜬다?」『해럴드 경제』 2005. 06. 1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6&aid=0000175548
「제6회 스포츠조선 소비자광고대상' 시상식 열려」 『스포츠 조선』 2005. 11. 0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76&aid=0000015999
「[광고]징크스? 깨버려!…'금기 파괴형 광고' 신선한 바람」 『동아 일보』 2001. 09. 11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0&aid=0000084958
「여성들 ‘春情’ 근거 있을까」『서울 신문』 2005. 03. 2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81&aid=0000036104
「동성애' 정신병에서 신드롬이 되기까지」 『CBS 노컷뉴스』 2010. 07. 30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539868
「국방의 의무 축하해' 해피포인트 CF, 네티즌 논란」『오토 타임스』 2009. 06. 18
「개똥녀ㆍ된장녀 이어 '군삼녀' 떴다」『한국일보』 2007. 03. 15
http://news.hankooki.com/lpage/it_tech/200703/h2007031517043223630.htm
「10억을 받았습니다"…올해 '최악의 광고」『프레시안』 2006-12-22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61222145049&Section
「푸르덴셜생명 이번엔 ‘아버지 광고’ 도마에」『파이낸셜 뉴스』 2007. 08. 16
http://www.fnnews.com/view?ra=Sent0701m_View&corp=fnnews&arcid=070816061403&cDateYear=200
7&cDateMonth=08&cDateDay=16
「‘인생은 아름다워’ 반대광고…게이인권단체 반발」『노컷 뉴스』 2010.10.07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598899
「KT '올레' , 청차별 논란으로 '금도끼와 선녀-백만장자와 섹시녀" 광고 중단」 『스포츠투데이』 2009. 08. 26
http://www.gooddaysports.co.kr/news/?cset=star&bset=view&tot_code=49&code=9048
사진
기사 및 광고정보센터
레몬테라스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remonterrac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983468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연구논문-광고의 터부 경계 파괴로 바라본 한국의 사회변화-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논문작성(연구논문)의 요령과 실제
  • 논문작성(연구논문)의 요령과 실제 1) 논문 제목은 논문 전체의 내용을 포괄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간략한 문구여야 한다. 예컨대 T. S. Eliot 의 시(詩) 일부를 다루면서 ‘T. S. Eliot 의 시 연구’라는 광범위한 제목을 붙인다거나 ‘Thomas Hardy 의 장편소설 연구’라는 제목을 붙여 놓고서 Tess of the d`Urbervilles 한 편만을 다룬다면 잘못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불가피하게 이런 제목을 붙여야 할 경우에는 ‘시와 종교의 관계를 중심으로’라든가 ‘Tess of the d`Urbervilles 를 중심으로’와 같이 적절한 부제
  • 조사과정의 적용을 위해 기존은 연구논문 1편을 선정하여 검토한 후 아래의 내용에 대해 간략히 요약하시오. 조사과정을 적용 논문을 통한 조사과정을 적용 사회복지 논문 요약 사회복지논문을 통한 조사과정 분석 사회복지 논문을 통하여 조사과정의 적용 사회복지 논문
  • 조사과정의 적용을 위해 기존은 연구논문 1편을 선정하여 검토한 후 아래의 내용에 대해 간략히 요약하시오. 조사과정을 적용 논문을 통한 조사과정을 적용 사회복지 논문 요약 사회복지논문을 통한 조사과정 분석 사회복지 논문을 통하여 조사과정의 적용 사회복지 논문 1. 조사의 목적은? 미혼모는 사회규범으로 허용된 결혼제도를 통하지 않고 성관계를 가지고 그것을 통하여 임신을 하게 되고 결과적s으로 비합법적인 아동을 출생시킨 여성을 말한다. 미혼모 문제는 미혼모 자신이나 그 아동, 그리고 사회전반에 미치게 될 사회적 비용이나 영향을 생각해 볼 때 심각한 사회문제가 아닐 수
  • 개념미술 연구논문 - 감상자에게 의존하는 개념과 이미지의 결합
  • 개념미술 연구논문 - 감상자에게 의존하는 개념과 이미지의 결합 1. 상실이후 소통의 가능성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방향은 ‘상실’과 ‘죽음 이후의 다원주의’라 할 수 있다. 이성과 유토피아를 향한 끝없는 진화의 허상이 무너진 이후 미술가들은 더 이상 하나의 목표나 하나의 의미가 의미심장한 실체가 아니란 것을 깨달았다. 또한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현상들이 궁극적으로는 모더니즘은 아니라고 할지라도 적어도 모더니티의 피치못할 결과에서 비롯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하버마스(J.Habermas)의 말대로, 모더니티를, `일상 사회생활의 합리적 조직화'로 보는 견해는 두 세
  • 간호연구논문분석- 가설
  • ◉ 가설 가설 1 : 이완술을 적용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통증 VAS 점수가 낮을 것이다. 가설 2 : 이완술을 적용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비언어적 통증행동 관찰 점수가 낮을 것이다. 가설 3 : 이완술을 적용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질경 삽입 시 상태불안 정도가 낮을 것이다. ◉ 변수 규명 ◉ 가설의 종류설명 1. 가설 1 이완술을 독립변수로, 통증 VAS 점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단순가설이고, 이 두 변수간의 관계에 대해서 “~가 낮을 것이다” 라고 기대되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음으로 지시적
  • 논문작성-연구문제의 견본
  • 논문작성-연구문제의 견본 1. 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적은 호기심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알아보는 것이다. 호기심은 동기의 한 종류이고 복잡한 반응들이 혼재되어 있으므로 의식적 보고 방법을 통한 연구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기심에 대한 생리적 반응 연구는 진행된 바 없으며, 또한 호기심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이 거의 알려진 것이 없는 현 상황에서 호기심 광고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심리 반응 몇 가지를 선택적으로 측정하는 인지적 측정 방법은 자칫 호기심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의 중요한 부분을 놓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