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의 발생원인과 대처방안에 대한 고찰
해당 자료는 26페이지 중 9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26
  • 품질인증
  • 프리미엄

아동학대의 발생원인과 대처방안에 대한 고찰

자료번호 r467121
수정일 2022.05.18 등록일 2007.09.22
학과(학년) 유아교육과(1학년) 카테고리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
페이지수 26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to**** 가격 2,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아동학대의 발생원인과 대처방안에 대하여 요약. 정리한 자료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목차를 참고해 주세요.

목차

Ⅰ. 서

Ⅱ. 아동학대의 역사적 및 문화적 관점
1. 영아살해형태(고대로부터 AD 4세기)
2. 유기형태(4세기에서 13세기)
3. 양가적 형태(14세기에서 17세기)
4. 침해적 형태(18세기)
5. 사회화 형태(19세기에서 20세기)
6. 원조형태(20세기 중반)

Ⅲ. 아동학대에 관한 이론적 배경
1. 아동학대의 개념
(1) 신체적 학대
(2) 성 학대
(3) 정서적 학대. 아동방임
(4) 발육부진
(5) 아동복지법 제18조
2. 아동학대의 역동성
(1) 가해자의 특성
1) 적의적 배경을 가진 부모
2) 과도한 의존성욕구
3) 역할전환
4) 발달적 욕구에 대한 몰이해
5) 경직되고 강박적 형태
6) 힘과 무력감
7) 기타 위험요인
(2) 피해아동의 특성
(3) 환경적 특성(방아쇠 요인)

Ⅳ. 학대받은 아동에 대한 역동적 이해
1. 피해아동에 관한 관점
(1) 가족성원으로서의 아동
1) 피는 물보다 진하다
2) 부전자전
3) 애착
(2) 피해자로서의 아동
(3) 아동으로서의 피해자
1) 두려움과 불신
2) 의심, 수치심 및 죄의식
3) 절망
4) 비정상적 학습

Ⅴ.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복지적 접근
1. 개입과정 - DAZMOE
(1) D for Data
(2) A for Assessment
(3) Z for Zoom in
(4) M for Method
(5) O for Operational Plan
(6) E for Evaluation
2. 도움의 단계
(1) 1단계
(2) 2단계
(3) 3단계
3. 아동학대에 대한 개별적 개입
(1) 사회복지사의 요건
1) 아동 및 청소년과의 편안한 관계
2) 아동과의 의사소통
3) 아동성장발달에 관한 지식
4) 슬픔을 극복하는 기술
5) 정서적 탄력성
6) 사회복지사의 성별
7) 지지적 슈퍼바이저
(2) 사전계획
1) 기간 및 빈도
2) 면접장소 및 환경
3) 면접의 시작
(3) 원조과정
1) 정서의 표현
2) 긍정적 메시지
3) 보호 과제
4) 종 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동학대의 발생원인과 대처방안에 대한 고찰
Ⅰ. 서
최근 아동학대의 증가는 사회적 관심을 야기하고 있다. 1994년 치과의사인 아버지의 상습적 폭력에 의해 홍모 양(당시 10세)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당시 12세 된 홍 양의 오빠도 아버지의 폭력에 의해 한쪽 고환이 망가진 상태인 것이 확인되었다.
1995년 4월 20일 오후 2시 여섯 살 된 서울 P초등학교 1년 김모군이 양호교사와 함께 서울대 의료사회사업실에 들어섰다. 다리가 부러진 김군은 학교에서 간단한 응급처치를 받은 상태여서 곧바로 응급실로 옮겨졌다. 치료받고 있는 동안 양호교사는 “이 아이가 평상시에도 온몸에 멍이 자주 들고 뼈가 부러진 적도 있었다”면서 바늘에 찔린 자국 등이 발견되는가 하면 귀를 물어뜯긴 자국이 보이기도 해 엄마를 호출, 이유를 물었으나 ‘모른다’는 대답뿐 이었다고 병원담당자에게 설명하였다.
위의 사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아동학대가 자행되고 있다는 사실은 사회적으로 인정되고 있으나, 아직 아동학대에 대한 실태는 거의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극소수의 연구에서 아동학대의 실태가 조사되고 있으나, 전국적 조사가 아니고 일부 지역에 국한도니 조사여서 충분한 실태파악이 어렵다. 허남순 교수의 K시의 초. 중 고교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에서는 전체 조사대상자 1,016명 중 81.5%가 구타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심한 구타는 벽에 머리를 부딪히거나, 목 졸림을 당하거나, 칼이나 망치 등의 흉기로 위협을 당하거나, 칼로 찔리거나, 담뱃불로 지짐을 1년에 1~3회 당하거나 또는 1달에 2~3회 뺨이나 머리를 맞거나, 혁대. 연탄집게 등으로 맞거나, 의자나 재떨이 등으로 맞는 경우를 말한다.
서울의 초중고교생 484명과 143명의 소년원생들을 대상으로 <청소년 매 맞는 실태>에 관한 연구에서는 부모에게 맞은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89.6%로 나타났으며, 주로 형제간 다툼(20.2%), 성적이 나빠서(17.3%), 대들거나 반항해서(17%) 맞은 것으로 조사됐다. 청소년들은 주먹으로 맞았을 때에는 ‘상대방을 죽이고 싶었다’(40.7%) ‘화가 나서 참을 수 없었다’(7.5%)고 반응했으며, ‘슬펐다’(7.5%) ‘죄송했다’(10.6%) ‘반성했다’(9.1%)는 반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닥치는 대로, 아무거나 손에 잡히는 대로 맞은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은 ‘억울했다’(51.9%) ‘슬펐다’(29.6%) ‘무서웠다’(22.2%) ‘불안했다’(27.8%)고 대답해 고포와 불안감정이 심각했다.
순천항의대 조주연 교수팀(가정의학과)이 최근 영남지역 초등학교 5, 6학년생 944명을 대상으로 구타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 의하면, 한달에 한 번 이상 심하게 매를 맞는 아동이 7.7%, 가끔 구타를 당하는 아이가 76.9%이고 가정에서 매를 전혀 맞지 않는 아동은 15,4%뿐인 것으로 밝혀졌다. 동 연구에서는 대도시보다 농어촌지역에서 심하게 매를 맞은 아동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구타방법은 ‘손으로 때렸다’와 뺨을 때렸다‘가 가장 많았지만, 심하게 맞은 아동의 경우 ’마구 두들겨 팼다‘(35.6%) ’발로 찼다(26%) ‘물건으로 때렸다’(23.3%) 등 부분별한 구타양상을 보여주었다.


참고문헌

보건복지부(2003), 1391 아동학대예방센터업무수행지침
이숙영(1996), 아동 성폭력에 관하여, 학생생활연구.
이혜숙(2001), 아동 성학대의 현황과 관련 법령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 문제연구소.
장연집(1992), 아동 성폭력의 이해 ,여성연구논총.
정용충(2001), 아동학대 현황과 대책, 論文集.
강란혜 외(2005), 아동복지론, 大旺社
강란혜(2004), 아동학대:전문상담, 시그마프레스
이종복(1997), 아동학대의 원인과 대책, 弘益齋
2006년도 아동보호 보건복지통합서비스 시범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2006년도 아동복지사업안내, 보건복지부
노충래. (2000). 학대와 방인 피해 아동의 치료. 서울: 학지사.
문숙재, 최순희, 최혜경. (2000). 현대사회와 가정. 서울: 교문사.
문영희. (2004). 아동학대와 레질리언스. 서울: 시그마프레스.
이대근. (2002). 아동복지론. 서울: 형설출판사.
이소희. (2002).도미향, 김민정, 그것은 아동학대예요. 서울: 동문사.
이용교. (1993). 아동학대연구. 서울: 다울.
이종복. 이배근, (1997). 아동학대의 원인과 대책. 서울: 홍익재.
장화정. (2002). 참여활동을 통한 아동학대 예방교육. 서울: 한국이웃사랑회.
표갑수. (1994). 아동․청소년복지론. 청주시: 청주대학교출판부.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아동학대의 발생원인과 대처방안에 대한 고찰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