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증후군의 기준>-  NCEP-ATP3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해당 자료는 7페이지 중 2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7

<대사증후군의 기준>- NCEP-ATP3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자료번호 s475543
수정일 2012.10.10 등록일 2007.11.02
페이지수 7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rl****** 가격 1,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의학] 대사증후군의 원인과 예방방법
  • 대사를 촉진해서 간 1.대사증후군이란? 2.대사증후군 원인 *인슐린저항성 3.대사증후군 위험성 4.대사증후군 발병확률 5.대사증후군 진단기준 6.대사증후군 예방법 *대사증후군과 영양 *식생활 실천사항 *식단 정보
  • 뱃속의시한폭탄 - 남성뱃살빼기
  • 증후군) - 소리 없는 살인자라고도 부르며 고혈압, 당뇨, 심근경색, 뇌졸중, 고지혈증 유발 ( 체중 25% 이상, 신체활동정도가 25% 일 때 발병 ) - 대사증후군 기준 : 허리 90Cm 이상 공복 시 : 110 이상
  • [청소년 건강과 간호] 2020년 기말시험 (온라인평가) 문제, 간호학과 4학년 과제
  • 대사증후군을 진단할 때 기준으로 사용하는 modified NCEP-ATP III의 5가지 요소는 무엇인가? 4. 다음 물음에 대한 답은 무엇인가?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청소년에게 피부 단자 검사로 원인물질을 규명하려고 한다. 위양성 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유

소개글

<대사증후군의 기준>- NCEP-ATP3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자료입니다.

목차

본 자료는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본문내용

A.<대사증후군의 기준>- NCEP-ATP3
1.NCEP-ATP3
1988년 및 1993년의 ATP I 과 ATP II 후 2001년에 ATP III, 즉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가 Executive Summary로 발표되었다.
심혈관질환의 예방적인 측면에서 위험인자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를 감소시키는데 역점을 두면서 기존의 일차 예방 및 이차 예방으로 나누어 치료 기준을 정하던 기존의 지침과 차별되고 있다. 그 예로 당뇨병이 있는 경우 여러 대사적 이상 및 이상지질혈증이 함께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이미 심혈관질환이 있는 환자와 대등하게 취급하여 엄격한 고지혈증의 치료 기준을 적용시키도록 하였다. 또 다른 특징으로 대사 증후군(metabolic syndrome) 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이 들 역시 CHD의 위험도가 높을 수 있는 군으로 구분하여 강력한 치료적 생활습관의 개선(therapeutic lifestyle changes; TLC)을 강조하고 있다. 고지혈증의 기준을 더 세분하고 강화하여 20세 이상의 모든 성인에서 LDL 콜레스테롤의 적정(optimal) 기준으로 100 mg/dL 미만을 제시하고, HDL 콜레스테롤의 경우도 기존의 35 mg/dL에서 40 mg/dL로 상향 조정하여 그 미만일 경우 저 HDL 콜레스테롤혈증으로 정의하고 있다. 중성지방(triglyceride)의 경우 200-499 mg/dL의 환자에서 LDL 콜레스테롤이 적절한 수준으로 치료가 되면 총 콜레스테롤에서 HDL 콜레스테롤을 제한 non-HDL 콜레스테롤을 새로운 치료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소위 TLC를 강조하면서 체중 조절과 적절한 운동을 강력히 권고하고, 식이로는 식물성 stanols/sterols를 하루 2 g 이상, soluble fiber를 하루 10 – 25 g 정도 섭취하는 것을 권하는 점이 기존의 지침과 차별화 되어 보인다. 마지막으로 ATP III에서는 CHD 위험을 낮추기 위해 이상지질혈증의 개선이 필요한 환자에서 절반 미만이 치료받고 있으며, 치료받는 환자의 약 1/3 만이 목표한 LDL 콜레스테롤 수치에 도달되고 있고 CHD 환자에서도 20% 미만에서 만이 적절한 LDL 콜레스테롤 수준으로 조절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지질 저하 치료 약제를 시작한 환자에서도 6개월에 절반 정도가 탈락하고, 1년 후에는 30-40%의 환자만이 치료받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환자 의사 및 의료전달 체계에 대한 개선안도 제시하고 있다.
2.대사증후군
대사장애로 인한 여러가지 성인병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3.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높은 혈당과 고인슐린혈증이 유지되면 여러가지 순환계의 대사장애가 발생되는데 구체적인 진단기준을 미국국립콜레스테롤교육프로그램(NECP)에서 제시한 바가 있다. 복부비만, 고중성지방, 고밀도콜레스테롤, 당뇨, 고혈압 중 3가지이상을 끼고 있을 때 대사증후군이라고 하고 그 구체적인 수치를 다음과 같이 밝혀놓았다.
① 복부비만: 허리둘레 남성 102㎝(동양인 90㎝), 여성 88㎝(동양인 80㎝) 이상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대사증후군의 기준>- NCEP-ATP3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대사증후군 고혈압과 운동처방
  • 대사증후군 고혈압과 운동처방 고혈압 고혈압은 모든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위험인자로 여러 가지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조사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위병률이 성인에서 15~20%정도로 추정되고 미국에서는 성인인구의 약 20%에 달하는 28,000,000정도의 인구가 고혈압에 시달리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고혈압을 가진 많은 사람들의 대부분이 증상은 거의 없고 단지 혈압만 높은채 일부의 사람들만이 자각증상을 느껴 의사를 찾으며 그런 일부의 사람들 만이 치료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고혈압은 무엇을 말하는 것이며 기준이
  • 대사증후군과 근육감소증
  • 대사증후군과 근육감소증 Ⅰ. 대사증후군-X (Metabolic syndrome-X) 1. 대사증후군이란? 1) 대사증후군 : 일반적인 표현을 빌리자면 겉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비만환자에서 흔히 동반될 수 있는 몇가지 인슐린 저항성이나 내당능장애를 근간으로 당뇨 전단계,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복부비만) 등 여러 가지 대사이상 징후들이 3가지 이상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즉, 대사 장애 질환들이 함께 발생함으로써 심혈관계 질환 및 당뇨병의 위험도 또한 높아지는 상태를 말한다. 최근 식생활이 급격히 서구화되고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으로 남녀노소 누구도
  • 대사증후군
  • 대사증후군 Present Illness 고혈압, 당뇨, 고지질혈증을 진단 받은 환자로 속이 쓰리고 등이 아픈 증상으로 한라병원 내원하였으며, 내시경 검사 결과 정상이라 하였으며, 증상이 지속되어 건강검진 하고자 본원 내원. Past Medical History Hypertension / DM / Hyperlipidemia (+/+/+) Tb / Chronic liver disease/Chronic heart disease (-/-/-) Allergy (-) Operation history (-) Medication history : Hypertension
  • 대사증후군에 대한 발표 - 대상증후군의 개념, 인슐린이란, 대사증후군의 원인
  • 대사증후군에 대한 발표 - 대상증후군의 개념, 인슐린이란, 대사증후군의 원인 대사증후군 개념 인슐린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거나 포도당을 제대로 운반하지 못해 성인병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증상.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비만, 고지혈증 등 생활 습관병을 하나의 질병군으로 보며 몸통은 인슐린 저항성으로 지목 하고 있는데 이런 생활 습관병을 함께 묶어 대사증후군이라 한다.
  • 한국인의 대사증후군 현황과 그 대처방안
  • 한국인의 대사증후군 현황과 그 대처방안 Ⅰ. 대사증후군이란 무엇인가? 1. 대사증후군의 정의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은 인슐린저항성증후군(insulin resitance syndrome) 또는 X증후군(Syndrome X) 등 여러 가지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1988년 래븐에 의해 대사증후군이 처음 주장이 되었고 지금까지 구체적인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왔다. 대사증후군과 비만, 제2형 당뇨병,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심혈관 죽상경화증 같은 질환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현재, 대스증후군의 발생률은 전 세계적으로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