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을 든 남자” 글로벌 진출 방안
해당 자료는 12페이지 중 4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2
  • 프리미엄

“꽃을 든 남자” 글로벌 진출 방안

자료번호 s882235
수정일 2014.11.10 등록일 2012.04.21
페이지수 12Page 파일형식 워드(doc)
판매자 ju******** 가격 2,3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꽃을 든 남자” 글로벌 진출 방안 자료입니다.

목차

회사 개요
남성 화장품 시장 환경 분석
- PEST / SWOT / Target user
국내 경쟁 브랜드 분석
진출 시장 환경 분석
- 대만 / 일본
포지셔닝 및 진출 국가 내, 경쟁 브랜드
벤치마킹
제품 특성
글로벌 진출 방법
글로벌 성장 전략의 개발
글로벌 마케팅 믹스 전략 [4P, STP]
글로벌 진출 정책
-차별화 정책, 촉진 정책, 유통 정책

본문내용

“꽃을 든 남자” 글로벌 진출 방안
● 회사개요

 ≪ 글 - 그림 파일 ≫

소망화장품은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창립된 회사로, 사랑, 성실 그리고 창의를 사훈으로 내 걸고, “작은 소득이 의를 겸하면 많은 소득이 불의를 겸한 것 보다 낫다.” 라는 성경 구절을 경영철학으로 하여 1992년 창립된 이후 여러 해 동안 꾸준히 성장에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소망화장품의 “꽃을 든 남자”는 “꽃을 든 남자” MBC프로덕션의 영화 제목을 차용하여 1997년 런칭 되었다. 출시 1년 만에 매출액 70억원 돌파하였고, 높은 고객 만족도 (정기적인 FGI를 통한 고객 만족도 우수)를 자랑하고, 이 외에도 남성 기초시장에서 1위를 차지 하기도 하였고, ‘02년 말에는 4개 일간지서 고객만족도 1위 히트제품 선정(컬러로션)되기도 하였다. 그 후, 헤라와 비오템 등의 경쟁사들과의 경쟁에서 서서히 밀려나, 남성화장품 시장에서의 지배적 위치를 내놓기 시작하였다. 현재 “꽃을 든 남자”는 다소 불분명해진 컨셉을 재정비하여 “꽃을 든 남자”만의 정체성 재확립이 필요한 상황이며, 경쟁 시장 내에서의 리포지셔닝 역시 필요한 시점이다. 이 외에도 국내 시장 점령 및 글로벌 진출을 겨냥한 획기적인 전략들이 필요한 시점이다.

● 남성 화장품 시장 환경 분석 [PEST, SWOT]

남성들이 자신을 가꾸기에 여념이 없다는 말도 이젠 전혀 어색하지 않은, 메트로섹슈얼 시대를
거쳐 그야말로 글루밍족의 전성시대가 왔다. “화장하는 남자”가 등장한 지도 벌써 오래, ‘남성들의 가꾸기’는 단순한 열풍, 유행의 개념이 아닌 사회/문화적 현상이라 볼 수 있다




≪ … 중 략 … ≫




● 제품 구성 및 특성

현재 ‘꽃을 든 남자’ 회사의 제품은 스킨, 로션, 컬러로션에 집중되었고, 소비자들에게도 이러한제한적인 상품 인지도로 이미지화 되어 있다. 이러한 에센스, 썬블럭, 클렌징 등의 기존 제품 외에도 다기능 남성 화장품으로 색조와 기능이 함께 포함된 추가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예를들어 립 케어, 아이 케어, 눈썹 관리, UV 파우더 팩트 등이 그러한 제품들이다. 제품 구성의 보완을 통해 가꾸는 남자를 위한 화장품, 보다 알차고 효과적인 꽃을 든 남자만의 아이덴터티를 더욱 강화하고자 한다.

 • 글로벌 진출 방안

‘꽃을 든 남자’ 제품의 해외 수출 방법으로는 ‘직접수출’ 방법을 선택한다. 직접수출로 인해 어느 정도 투자와 위험이 수반되지만 중간 상에게 수수료를 지불하지 않아도 되므로 잠재적 수익이 증가할 것이다. 또한 합리적인 가격이 본 제품의 차별화 전략의 일부이므로 OEM방식을 채택할 것이다. 하지만, 일본의 경우 화장품을 찾는 대다수의 고객들이 드러그 스토어 또는 전문백화점을 찾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간접 수출 경로도 제한적으로 오픈하여 일본의 상황도 고려한 수출경로를 마련할 것이다.

또한 ‘꽃을 든 남자’는 자사의 브랜드이므로 따로 라이센스를 받을 필요는 없으나, 마케팅 차원에서 기존의 드라마 ‘꽃보다 남자’를 활용할 것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상표사용권을 받아야 할 것이다. 마케팅 전략으로 행해질 영화제작, 미남대회 등에 있어서의 ‘꽃보다 남자’ 소유자와의 합작투자 등이 이루어질 것이다.
글로벌 성장 전략의 개발
‘꽃을 든 남자’는 글로벌 성장 전략으로 표준화 전략과 현지 적응화 전략을 합한 혼합 전략을 채택한다. 전 세계의 어느 나라, 어느 매장이든 동일한 가격으로 글로벌 가격 표준화를 이루고 한국, 일본, 대만에서의 동일한 스타를 홍보 모델로 선택하여 동일한 스타마케팅을 펼치는 표준화 전략을 갖는다. 이에 더하여 각 나라별로 선호하는 컬러를 이용한 컬러 마케팅과 해당 국가에 적절한 유통전략을 펼치는 등 현지 적응화 전략도 함께 펼쳐 나아간다.
글로벌 마케팅 믹스 4P 전략
‘꽃을 든 남자’의 글로벌 마케팅의 기본적인 4P 전략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가격의 면에서는 합리적인 가격과 글로벌 가격 표준화의 전략을 택하여 전 세계 어느 곳에서든 동일한 가격으로 같은 제품을 살 수 있다. 장소의 측면으로는 각 나라의 특성을 고려한 방법을 사용한다. 온라인 판매가 소비자의 구매 행태에 큰 두각을 나타내는 대만에서는 온라인 판매로 유통경로를 단일화 한다. 화장품 구매가 디러그스토어 또는 전문 매장에서 활발히 일어나는 일본의 경우에는 복수 유통경로를 제품을 공급한다. 타겟 고객으로는 소속지향성, 경쟁지향형, 지위와 명성, 쾌락 추구 성취자의 특징을 갖는 외부 지향적 소비자 집단과, 독자적으로 행동하는 소비자 집단, 사회적 이슈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 대상인 내부 지향적 소비자 집단 모두가 된다. 판매 촉진 활동으로는 컬러 마케팅과 스타 마케팅 등이 있으며, 미남대회, 영화제작, 소비자 커뮤니티 등으로 활발한 촉진 정책을 펼친다.
글로벌 마케팅 믹스 STP 전략
시장세분화를 통해 ‘꽃을 든 남자’의 소비자를 분석해 본다면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소비자는 추구 지향적이며, 외부 및 내부 지향적이고, 통합적인

참고문헌

- 참고도서

잭 트라우트저, 이정은역, 튀지 말고 차별화하라, 더난출판, 2000.

이은영, 패션마케팅, 교문사, 2000.



- 참고논문

원혜정, 국가별선호색채와 TV세트디자인 색채의 상호 관계성 연구,
(홍익대학교, 2009)



- 참고사이트

www.kotra.or.kr

www.kostat.go.kt

www.globalwindow.org

www.shiseido.co.jp

www.loreal.co.kr

www.somangcos.co.kr

www.cosmeticscop.kr

www.xnote.co.kr

www.kbs.co.kr/drama/f4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꽃을 든 남자” 글로벌 진출 방안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