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한국사회 사회과교육 그리고 나
해당 자료는 8페이지 중 2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8
  • 품질인증
  • 프리미엄

민주주의 한국사회 사회과교육 그리고 나

자료번호 e1482083
수정일 2019.06.04 등록일 2019.03.12
페이지수 8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pa****** 가격 2,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민주주의, 한국사회, 사회과교육 그리고 나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내가 생각하는 사회과교육의 목적

2. 내가 생각하는 민주주의

3. 공병호 칼럼에서의 한국사회의 미래

4. 내가 생각하는 민주주의, 한국사회를 통해 가르치는 사회과 교육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을 중심으로)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민주주의 한국사회 사회과교육 그리고 나
I. 서론

사회과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에 대한 깊은 고민 없이 수동적인 자세로 1학기 내내 수업을 들은 것을 반성하면서 그래도 내가 기존에 갖고 있던 생각들을 적어내려 한다. 내가 생각하는 사회과 교육의 목적과 내가 생각하는 민주주의와, 도저히 한국사회에 대한 나의 생각을 창의적으로 쓸 자신이 없고, 공병호 칼럼에서 한국사회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무척 공감해서 그 글을 실으면서 나의 생각을 적어 나간다. 마지막엔 내가 생각하는 사회과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으로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질문법에 대한 논문을 분석하기로 한다.

Ⅱ. 본론

1. 내가 생각하는 사회과교육의 목적

2년 전 여름, 도서관에서 이홍우 교수의 교육의 목적과 난점이란 책을 본 적이 있다. 그 책을 완독한 것은 아니지만, 그 책의 전반부에 교육의 목적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왜 가르치는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홍우 교수는 학생들에게 묻는다. ‘학생들은 왜 배우는가?’, 한 가지 예로 ‘지구의 자전’을 들면서 ‘지구의 자전을 왜 배우는가?’라고 묻고, 학생들은 대답한다. ‘지구의 자전을 배워야 대학을 갑니다.’, ‘지구의 자전을 배워야 과학자가 됩니다.’ 등등등... 허나 이홍우 교수는 이렇게 말을 한다. ‘지구의 자전을 배우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현상을 인식하기 위함이다.’ 예전부터 ‘눈에 보이는 것보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더 진짜다’라는 말이 있다. 이것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교육의 목적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눈에 보이게끔 해주는 것’이다. 인간이 윤택한 삶을 원하는 것은 당연하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안목과 함께 더 윤택한 삶을 살게 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인 것이다.
이때부터 학생들을 가르칠 때 가르치는 목적에 대해서, 지금 배우고 있는 것은 너희들이 앞으로 살아갈 때 필요한,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눈에 보이게 해주는 것이지. 라고 혼잣말로 되새기며 학생들을 가르쳐왔다.

사회과 역시 마찬가지다. 사회과의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바람직한 민주시민을 위한 준비를 시켜주는 것인데, 바람직한 민주시민을 위해 학생들에게 눈에 보이지 않는 사회 현상에 대해 올바른 눈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민주시민을 위해 갖추어야 할 덕목이 많은데, 사회현상을 올바르게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은 가장 중요한 덕목인 것 같다. 비판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합리적인 의사 결정력 등이 바로 그러한 안목에서 비롯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2. 내가 생각하는 민주주의
나보고 민주주의라는 말에 대한 정의를 내리라고 하면 ‘정답이 없다’라고 말하고 싶다. 내가 살고 있는 이 사회, 이 조직, 이 집단. 여기가 바로 민주주의 사상에 의해서 살게 되는 곳인데, 이 곳에는 정답이 없다. 어떤 목적의식도 찾기 어렵다. 종종 정답이 안나오고 답답할땐 목적부터 찾는데, 목적도 찾기 어렵다.
옛날부터 그랬던 것 같다. 어린 시절에는 목소리 큰사람이 이겼다. 목소리 큰사람이 이기고 나서 그 사람이 주장했던 것이 맞는지 안 맞는지 찾아본 기억은 거의 없다. 조금 더 크고 나서는 공부 잘하는 사람이 이겼다. 공부 잘하는 사람이 말하면 왠지 다 맞는 것 같다. 군대에선 권력 있는 사람이 이겼다. 직속상관이 말을 하면 당연히 충성하여야 하는 것이 군대이긴 하지만, 민주주의 안에 군대도 있던 게 아닌가? 그러나 군대는 반 민주주의, 반 합리적인 집단이었다. 교직사회에 들어와서도 교장선생님 말씀에

참고문헌

박상준(2006),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한 초등 사회과의 질문법에 관한연구
공병호칼럼(2009), 한국사회의 미래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민주주의 한국사회 사회과교육 그리고 나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한국의 정치 변화( 귄위주의 사회에서 민주주의 사회로 )
  • 한국의 정치 변화( 귄위주의 사회에서 민주주의 사회로 ) ① 4 ․ 19 혁명 : 1960년 4월 19일, 학생들이 중심세력이 되어 일으킨 민주주의 혁명. 1) 배경 - 1. 경제적 배경1950년대 한국 경제는 미국정기 이후 불완전한 농지개혁, 귀속재산 불하, 미국의 막대한 원조 등에 의한 구조적 요인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1950년대 말 미국의 경제침체와 동북아시아 전략구도에 입각한 대한정책의 변화로 원조에 의존한 자본축척은 위기를 맞게 되었다. - 2. 사회적 분화 → 민중의 궁핍 초래원조물자와 그 판매대금에 의존한 독점자본이 형성되고, 생산 활동
  • 한국민주주의의 특징과 문제점
  • 한국민주주의의 특징과 문제점 Ⅰ. 서론 한국사회에서의 ‘민주주의’는 과연 어떠한가? 대다수의 사람들은 제도적인 민주화는 어느 정도의 틀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의 삶에 있어서의 민주주의는, 그리고 그 것을 만들어갔던 민주화라는 과정은 과연 어느 정도의 위상을 가지고 있는가? 우리는 이 것이 미미하다고 생각한다. 실질적인 민주주의(삶의 문제에 직결되는 복지의 문제, 노동의 문제 등)는 아직 한국 사회에서 구현되지 못하고 있으며, 그러한 다른 한편의 민주주의 전통은 한국에서는 아직 세워지지 못하고 있다. 아직 한국 사회에서 진보정당은 뿌리내리지 못하고
  • '한국의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참여 민주주의'에 관한 총체적 보고서
  • '한국의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참여 민주주의'에 관한 총체적 보고서 Ⅰ. 서 론 현 노무현정부의 ‘참여’라는 슬로건을 내건 노무현 정부, 그리고 끊임없는 정치적 갈등과 노사문제, 그리고 취업대란이라는 사회적 갈등까지 총체적인 정치적 정체성 위기로 여겨진다. 하지만, 정치적 갈등은 민주화 정도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어느 나라나 모두 겪고있는 현상으로 보아야하며 이런 현상은 정치문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과거 군사정권이나 ‘3김정치’ 때와는 차이가 있는 ‘대통령 재신임’ 문제라던가 정치자금 투명성 확보를 위한 진통이 계속되는 가운데 현 정부는 G. Almond가 말
  • 포스트유교주의와 사회민주주의 & 아시아적 가치와 한국의 외환위기
  • 서양이 100여년에 걸쳐서 이룩했던 경제개혁과 발전을 불과 30년 만에 성취한 동남아 국가들은 전 세계가 주목하는 나라가 되었고 이들이 이렇게 성장할 수 있었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 분야에 걸쳐 연구되어졌다. 이번에 분석한 두 가지 논문 중에 하나는 이러한 동아시아의 경제성장을 설명하기 위해 사회적 수준에서의 경제문화화 기업 수준에서의 경제 문화로 구분하여 문화적 요인과 경제 현상이 어떻게 관련 되어 있는가를 설명하였고, 나머지 다른 논문에서는 ‘아시아적 가치’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어디서나 적용할 수 있는 경제 성장의 공통적인 원인, 그 이상의 동아시아만
  •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의 전개 - 민중운동과 시민운동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의 전개 - 민중운동과 시민운동의 관계를 중심으로 1. 머리말 이 글은 한국현대사의 전개과정을 사회운동의 변화과정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글이다. 이 글에서는 61년부터 87년 까지에 이르는 시기를 지배의 성격에 따라 독재 혹은 권위주의체제가 존재했던 시기이다. 이 글에서는 이 권위주의체제 시기, 그 이전 시기, 권위주의체제로부터 민주주의체제로 이행하는 현시기로 나누어, 각 시기에 따라 사회운동이 어떻게 변화발전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주지하다시피 1960년대부터 1987년에 이르는 시기는 개발독재가 지배하였던 시기였다. 이 시기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