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내과 흉부외과 주요 간호
해당 자료는 15페이지 중 5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5

심장내과 흉부외과 주요 간호

자료번호 m1358151
수정일 2015.10.21 등록일 2015.10.20
페이지수 15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sj*** 가격 1,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PTCA, 경피적 관상동맥확장술
  • 관상동맥 폐쇄, 관상동맥 절개, 심근경색, 관상동맥 경련과 지연형 협심증 • 응급 관상동맥 측관이식술이 필요할 수 있다. • 모든 PTCA절차 동안 흉부 외과팀은 반드시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 간호과정 사정도구- 임상환자의 case study 및 NANDA간호진단 적용
  • 인간반응양상 중심 - 양식Ⅰ. 1. 일반적 사항 2. 과거력 3. 교환영역 4. 의사소통영역 5. 관계영역 6. 가치영역 7. 지식영역 8. 감정영역 9. 기동영역 10. 인지영역 11. 선택영역 자료해석 및 문제진술 간호과정 보고서
  • 승모판협착
  • 간호 수행을 통해 질병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대상자에게 최적의 간호를 제공하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2. 연구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2001년 3월 22일 외래를 통해 본원 흉부외과 병동에 승모판 협착증 및 폐쇄부전증 진단을 받

소개글

간호학 레포트 입니다.

목차

1. PTCA 수술 전 간호
2. CABG 전 간호
3. EPS(electrophysiologic study: 전기생리학적검사) - P682
4. Coronary angiogram
5. Pace maker(심박조율기)
6. Thorachotomy (개흉술: 흉강(胸腔)을 절개하는 수술)
7. Tracheostomy (기관절개술)
8. Thoracentesis (흉강천자검사)
9. Defibrillator(제세동기)
10. Intubation(laryngoscopy:후두경)

본문내용

심장내과 흉부외과 주요 간호
[1] 특수처치 및 간호
1. PTCA 수술 전 간호
1) 정의
주요 관상동맥의 구경이 70%이상 폐쇄되어 심근에 국소빈혈을 초래할 수 있는 경우와 협심증을 앓은지
1년 이내이면서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대상자에게 풍선 카테터를 팽창시켜 말초 혈액순환을 증가시키기 위함.
2) 간호
① 의식있는 환자나 보호자에게 permission을 받는다.
② inguinal shaving을 한다.
③ 검사전 밤 12시부터 금식을 지시한다.
④ 검사 전에 필요한 약물을 소량의 물과 함께 담당의사나 간호사의 지시에 따라 복용한다.
⑤ 검사 가기전에 v/s check을 한다.
⑥ IV line을 확보한다
⑦ angio room에 sandbag과 함께 환자를 보낸다.


2. CABG 전 간호
1) 정의:
폐색된 관상동맥의 원위부 혈관에 자신의 정맥이나 동맥혈관으로 우회로를 만드는 수술
2) 간호
① 대상자와 가족들이 중환자실 환경에 친숙해지도록 한다.
② 흉부 절개 부위 지지방법, 기침, 심호흡, 상지와 하지의 운동을 시범보이고 교육한다.
③ 적절한 간호사정을 통해 대상자의 불안수준을 규명하고 과거에 성공적으로 사용했던 대처 방법을 규명한다.
④ 어떤 대상자들은 많은 장비들에 의해 압도당하는 느낌을 받기도 하는데 대상자에게 흉부배액관과
유치도뇨관, 인공심박동기 선을 삽입하고 혈역학 관찰을 시행할 것임을 설명한다.
⑤ 관상동맥우회술 전의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칼륨, 베타 차단제, 칼슘통로 차단제, 항부정맥제, 항고혈압제, 항생제-수술20~30분전)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심장내과 흉부외과 주요 간호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건강사정 및 실습 (흉부와 폐, 심장 목혈관)
  • 건강사정 및 실습 (흉부와 폐, 심장 목혈관) 실 습 전 보 고 서 Chap 장 : 16장 흉부와 폐 시진 1.흉부 후면-흉곽(흉벽의 형태와 외형 기록, 극상돌기 일직선, 대칭적, 타원형, 늑골은 척추와 비교-45도 아래쪽으로 기울어져야 함, 견갑골 양측 흉곽과 대칭, 전후경 좌우경보다 작아야 함 1:2-5:7) -경부근육과 승모근의 비대 여부 관찰(연령과 직업에 대비) -호흡 체위 기록(이완된 자세와 팔을 양옆이나 무릎에 편안하게 놓고 체중을 지지 하는지 관찰) -피부색 사정(색깔 유전적 배경과 일치, 가슴과 등 태양 노출 부위 참작되어야
  • 심장내과 흉부외과 case study
  • 심장내과 흉부외과 case study 6)Reason for hospitalization(face sheet): Describe reason for hospitalization 내원 20일전부터 DOE(평지 걸을 때는 증상 없음, 자전거타고 오르막 10m 정도 오를 때, 머리 감거나 무거운 물건 들기 위해 몸을 숙일때), chest discomfort(뻐근한 느낌, 쉬면 2-3분만에 호전) develop 되어 내원 10일전 본원 CV OPD 방문하여 TTE 상 EF62%, LA, LV, RA enlarged, severe TR로 manage 위해 내원하였고
  • 흉부외과 사전학습(호흡기계,심장) A+ 받은 자료 입니다^^
  • 흉부외과 사전학습(호흡기계,심장) A+ 받은 자료 입니다^^ 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좌측 제3-6늑골 사이의 종격동에 있는 근육기관으로서 신체의 중심선에서 좌측에 치우쳐 있다. 크기는 12cm정도의 자기 주먹만 하며 무게는 약 300gm정도이다. 심장은 심내막, 심근, 심외막 등 3층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장 전체는 심낭 속에 보호되어 있다. 심내막 : 심장의 내측을 구성하는 상피세포의 얇은 막으로서 폐장내강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 이 조직은 혈액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 대혈관의 내막과 연속되어 있다. 심근 : 심장의 중간층으로 자율신경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