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수술간호(Lysis of peritoneal adhesions)
해당 자료는 14페이지 중 4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4
  • 품질인증
  • 프리미엄

[case study]수술간호(Lysis of peritoneal adhesions)

자료번호 m1414097
수정일 2017.06.19 등록일 2017.06.17
페이지수 14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sa**** 가격 1,6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수술간호, Lysis of peritoneal adhesions 입니다.
간호과정은
#수술 후 복부절개통증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전신적인 쇠약감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 수술로 인한 수술부위의 감염위험성과 관련된 수술후 회복 지연
을 사용하였습니다

목차

Ⅰ.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 사정
Ⅱ. 주호소 및 과거력, 가족력
Ⅲ.검사

Ⅳ.약물&약물설명
Ⅴ.I/O check, vital sign 기록지
Ⅵ.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case study]수술간호(Lysis of peritoneal adhesions)
Ⅰ.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 사정

성명: 이OO
성별:M
연령:65y
진단명:colopulmonary fistula(colon-diaphragm communication)
HOD:13
수술명:Lysis of peritoneal adhesions
POD:2


1)입원상태:

입원일자: 2007년3월25일
입원경로:응급실
입원방법:눕는차
입원시 활력징후
T 36.0℃
측정부위: 고막

P 66회/분
측정부위: 요골동맥
인공심박동기 착용: 무
R 20회/분
호흡을 위한 보조기구: 무
BP 110/70mmHg
측정부위: 상완동맥


2)신체적상태:

①호흡기문제
가래
②동통
무 (수술후 수술부위통증 유)
③마비및쇠약

④명백한기형

⑤시력장애

⑥청력장애
오른쪽 귀고막없음
⑦피부빛깔및 상태
정상


3)의식 및 정서상태:

①의식상태
명료
②지남력
시간,장소,사람 전부 유
③의사소통
원만함
④정서상태
안정


4)습관:

①대변
1회/일
②소변
6회/일
③수면상태
6시간
④음주

⑤흡연



5)사회적상태:

①직업

②교육정도
대졸
③종교
기독교

Ⅱ. 주호소 및 과거력, 가족력
1)입원동기&주호소:

03‘ 09.26
GS 오성태 EGC로 Total Gastrectomy 받음.
06‘ 06
NED로 지내다가, 기침하면서 갈색의 가래 몇주에 한번씩 있었음. 이후 Yellowish sputum 며칠만에 한번씩 지속됨
07‘ 02 말
바둑알 한알 정도의 선홍색 객혈 2번 있었음.
07‘ 03 초
짙은 갈색 선홍색 피가 조금 묻어나는 바둑알 한알 정도 객혈 3번 있었음.
07‘ 03.15
충북대 병원 내원하여 chest CT 찍었으나 정확한 원인듣지 못해 본원에서 F/E위해 03/25 ER 통해 입원함.

참고문헌

1.기본간호학/수문사/강현숙 외 17인 공저/2006
2.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3.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case study]수술간호(Lysis of peritoneal adhesions)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case study]수술간호(Lysis of peritoneal adhesions)
  • [case study]수술간호(Lysis of peritoneal adhesions) Ⅰ.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 사정 성명: 이OO 성별:M 연령:65y 진단명:colopulmonary fistula(colon-diaphragm communication) HOD:13 수술명:Lysis of peritoneal adhesions POD:2 1)입원상태: 입원일자: 2007년3월25일 입원경로:응급실 입원방법:눕는차 입원시 활력징후 T 36.0℃ 측정부위: 고막 P 66회/분 측정부위: 요골동맥 인공심박동기 착용: 무 R 20회/분 호흡을 위한 보조기구: 무 BP 110/70mmHg 측정부위: 상완동맥 2)신체적상태: ①호흡기문제 가래 ②동통 무 (수술후 수술부위통증 유) ③마비및쇠약 무 ④명백한기형 무 ⑤시력장애 무 ⑥청력장애 오른쪽 귀고막없음 ⑦피부빛깔및 상태 정상 3)의식 및 정서상태: ①의식상태 명료 ②지남력 시간,장소,사람 전부 유 ③의사소통 원만함 ④정서상태 안정 4)습관: ①대변 1회/일 ②소변 6회/일 ③수면상태 6시간 ④음주 무 ⑤흡연 무 5)사회적상태: ①직업 무 ②교육정도 대졸 ③종교 기독교 Ⅱ. 주호소 및 과거력, 가족력 1)입원동기&주호소: 03‘ 09.26 GS 오성태 EGC로 Total Gastrectomy 받음. 06‘ 06 NED로 지내다가, 기침하면서 갈색의 가래 몇주에 한번씩 있었음. 이후 Yellowish sputum 며칠만에 한번씩 지속됨 07‘ 02 말 바둑알 한알 정도의 선홍색 객혈 2번 있었음. 07‘ 03 초 짙은 갈색 선홍색 피가 조금 묻어나는 바둑알 한알 정도 객혈 3번 있었음. 07‘ 03.15 충북대 병원 내원하여 chest CT 찍었으나 정확한 원인듣지 못해 본원에서 F/E위해 03/25 ER 통해 입원함.
  • 간호과정 (비효율적 기도청결 활동지속성장애)
  • 간호과정 (비효율적 기도청결 활동지속성장애) 간호진단 #1. 다량의 기관지 분비물 및 비효율적 기침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주관적 자료 “입도 계속 마르고 가래도 많고...” 객관적 자료 1. productive cough 있음 2. 호흡 곤란 있음 3. grunting sound 들림 4. ambulation후 호흡시 wheezing sound 청진 5. nebulizer가 방치되어 있음 단기목표 1. 24시간 이내에 효과적인 기침법을 수행할 것이다. 2. 48시간 이내에 nebulizer를 사용해 효과적인 객담 배출을 할 것이
  • 뇌내출혈,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NS #신경외과 (1)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2)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위험성 (3)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 뇌내출혈,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NS #신경외과 (1)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2)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위험성 (3)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문헌고찰 1. 뇌내출혈 ICH(Intracerebral hemorrhage) - ICH = 뇌실질내에 일어나는 출혈 - 출혈부위에 따라 기저핵출혈, 시상출혈, 대뇌출혈, 소뇌출혈, 뇌교 및 연수 출혈 등이 있으며 기저핵출혈이 가장 빈번하게 일어난다. 2. 원인 - 외상, 고혈압(300/mmHg 이상일 경우), 혈관기형, 혈액학적 장애 및 출혈성
  • 기침과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기도청결/ 간호과정과 모아애착 간호
  • S- 보호자“자주 기침하면서 가래를 뱉어내요” O- 대상자가 기침하는 모습 10분당 10-15회 관찰됨 - 대상자 기침 시 보호자(엄마)가 휴지로 분비물을 닦아줌 - 기침 시 걸걸 거리는 소리가 남 - BISOLVON을 TID로 RUKASYN을 TID로 복용 A- 기침과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기도청결 P- ①대상자의 호흡양상을 사정한다(호흡수, 규칙성). ②호흡장애 징후를 관찰한다(비익확장, 빈호흡). ③최적의 공기 교환을 위한 파울러 체위를 취해주고 상지를 지지해준다. ④4시간마다 흉부물리요법을 실시한다. ⑤처방에
  • 수두증 hydrocephalus 뇌수종 성인간호학 icu 중환자실 케이스 사례연구 보고서 문헌고찰 간호진단 간호사정 간호과정 비효율적 기도 청결, 감염위험성 진단 2개
  • 수두증 hydrocephalus 뇌수종 성인간호학 icu 중환자실 케이스 사례연구 보고서 문헌고찰 간호진단 간호사정 간호과정 비효율적 기도 청결, 감염위험성 진단 2개 Ⅰ 문헌 고찰 (hydrocephalus) 1. 뇌실 Cerevral Ventricle 뇌 안에 있는 빈 공간으로 좌우측뇌실 제3뇌실 제4뇌실로 이루어져 있다. 뇌실은 이 4개의 강소가 교통하고 있고, 각 뇌실에는 맥락총이 있어 뇌척수액을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뇌실 안은 뇌척수액으로 가득 차 있다. 좌우의 대뇌반구 속에는 각각 측뇌실이 있으며, 좌우 실간공에서 간뇌의 제3뇌실에 이어져 있다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