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통증생리와 아동의 비약리적 통증완화방법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중 3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0
  • 프리미엄

[간호학] 통증생리와 아동의 비약리적 통증완화방법

자료번호 m1420567
수정일 2019.06.04 등록일 2017.09.13
페이지수 10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pa****** 가격 1,2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통증관리] 급성통증관리 및 아동의 약리적 통증완화 방법 [2012년 A+추천]
  • [통증관리] 급성통증관리 및 아동의 약리적 통증완화 방법 [2012년 A+추천] I. 서 론 우리는 간호학 2-2-2 Package Part 3에서 Evening 근무를 나와 새벽 7시에 수술한 상동 이에 대한 인계를 받고 상동이의 수술 후 경과를 확인하기 위해 병실에 들어 가
  • [간호학] 통증의 약물적 관리
  • 방법이나 약제를 변경할 때 유용함. (2) 일반적인 마약성 진통제 Codeine 속효성이면서 약한 마약성 진통제 심한 통증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이며, 노인에서는 변비와 독성 대사산물의 축적 가능성 때문에 사용하지 말아야 함. Oxycodone 속효성
  • 통증의 약물적 관리
  • 방법이나 약제를 변경할 때 유용함. (2) 일반적인 마약성 진통제 Codeine 속효성이면서 약한 마약성 진통제 심한 통증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이며, 노인에서는 변비와 독성 대사산물의 축적 가능성 때문에 사용하지 말아야 함. Oxycodone 속효성

소개글

[간호학] 통증생리와 아동의 비약리적 통증완화방법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통증 생리
2. 비약리적 통증관리
1) 통증 관리
2) 일반적 방법
3) 특수한 방법
(1) 주의분산 (distraction)
(2) 이완 (relaxation)
(3) 심상법 (guided imagery)
(4) 긍정적 자기대화 (positive self-talk)
(5) 사고의 멈춤 (thought-stopping)
(6) 피부자극 (cutaneous stimulation)
(7) 행동계약 (behavioral contracting)
4) 그 외 통증 관리
(1) 바이오 피드백 (biofeedback)
(2) 보호자 참여
(3) 자당
(4) 위약 (placebo)
(5) 열과 냉의 적용
(6) 관심전환 (Distraction)
(7) 정보제공
(8) 행동수정
(9) 치료적 접촉 (Therapeutic touch)
(10) 경피적 신경자극 (TENS)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호학] 통증생리와 아동의 비약리적 통증완화방법
Ⅰ. 서론
김상도 Package part3에서 상도는 편도선 절제술 후 엎드려 목을 옆으로 하고서 찡찡대며 수술부위에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는 통증생리에 대해 알아보고, 비약리적 통증완화방법인 주의분산, 이완술, 피부자극, 심상법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서 상도에게 적용시켜보고자 한다. “통증”, “비약리적 통증완화방법”의 key word로 전문서적인 아동간호학, 성인간호학, 기본간호학에서 내용을 쉽게 찾을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통증생리, 아동의 비약리적 통증완화방법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Ⅱ. 본론
1. 통증 생리
1)통증 수용
⦁유해한 통각 자극(기계적, 물리적 상해, 과다한 열, 화학물질), 통증유발 상황(혈관 허혈,

① 급성 통증
- Aδ 섬유에 의해 자극 후 0.1초 이내에 느낌
- 특징 : 날카롭고 찌르는 듯하며 전기 자극하듯 아픔/ 주로 말초조직 자극시
② 만성 통증
- C섬유에 의해 자극 후 1-2초 이상 지나서 느끼며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증가
- 특징 : 화끈거리고 누르는 듯함/ 조직이 파괴될 때 나타나면 심부조직에서 느낌
근경련, 조직 손상, 질병, 염증 등)에 의해 신경수용기가 자극

⦁손상당한 조직 or 통각수용체에서 통증 유발물질 분비 -> 통각수용기(유해자극 수용기 :
피부, 심부조직, 장기 등에 분포) 활성화

2)통증 전달
⦁유해자극(통각)

Aδ 섬유
피부, 근육에 분포/기계적 자극에 우선적으로 반응/ 유수신경섬유->통증정보를 빨리전달 / 날카롭고 국소화된 찌르는 듯한 통증(pricking pain)
C 섬유
근육, 복막, 내장 분포 / 열, 화학적 자극 전달 / 좀더 지속적인 통증 유발 / 무수신경 섬유 -> 통증을 서서히 전달 / 찌르는 듯한 통증 -> 이후 부위가 확실하지 않은 화끈거리는 통증(burning pain)
① 통각 전달 섬유(말초에 있는 Aδ, C 섬유)에 의해 통각 전달
② 통증 전달받은 섬유들은 척수 후각의 후주교양질로 감
③ 척수 후각의 lamina에서 연접(synapse)
④ 신척수 시상로 : 척수의 외측에 존재하며 주로 예리한 통증을 시상의 후측핵으로 전달
(통증 자극의 위치, 정도, 기간을 구별)

로 느끼는 통증 감각 / 단순히 신체적 손상에 의해서만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경험(불안, 과거 통증경험, 집중, 기대, 통증이 유발된 상황)에 따라 달라짐
② 통증역치(pain threshold)
- 개인이 통증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자극의 양이나 정도 / 생리적 특성
③ 통증 내인성(pain tolerance)
- 개인이 통증을 참아내는 능력 / 사회심리적 특성
- 영향요인 : 알콜, 약물, 최면술, 따뜻함, 문지르기, 관심전환, 믿음, 강력한 신념/ 피로,
분노, 지겨움, 불안, 지속적 통증, 스트레스, 우울
④ 뇌
- 통증 지각에 필수적
2. 비약리적 통증관리
1) 통증 관리
▶ 통증완화는 모든 아동의 기본적 요구이자 권리
▶ 통증 : 두려움과 불안, 스트레스와 관련
◎ 비약리적 통증관리는
- 통증 지각을 약화 - 내성을 길러줌 - 불안 감소
- 진통의 효과성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처전략 제공
◎ 중재에 대한 선택 - 아동에게 친숙한 기술 이용
- 여러 전략들을 묘사
- 아동에게 가장 매력 있는 것을 선택하게 함
※ 부모는 그 선택 과정에 관여해야함
- 약한 통증이나 진통제로 효과를 볼 수 있는 통증에서 사용
- 아동 및 가족들과의 신뢰적 관계 형성
- 통증을 가져올 수 있는 절차 전에 아동을 준비시킴
- 가능한 무통증 진술 사용
- 통증에 대한 교육(특히,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설명)
- 장기간의 통증조절을 위해, 아동에게 환자를 표현하는 인형을 줌
2) 일반적 방법
(1) 주의분산
(distraction)
- 아동과 가족의 참여 ㅡ>강력한 주의분산효과를 가져옴
- 놀이에 참여시킴 (라디오, 녹음기, CD 플레이어, 컴퓨터 게임 사용)
- 노래나 리듬에 맞춘 심호흡을 하게 함
- 통증을 불어 날릴 수 있도록 풍선을 불게 함
- 큰 소리에 집중시킴
- 만화경을 보여주면서 질문 하여 집중시킴
- 유머 사용
- 친구를 방문하게 함
(2) 이완
(relaxation)
영아나 어린아동에게 사용 시
- 가슴이나 어깨에 대고 수직으로 안는 자세(상하로 흔들기 보다는 흔
들 의자에 넓고

참고문헌

• 김명자 외. (2005). 개정판 최신기본간호학(하). 현문사. pp 872~875
• 김영혜 외. (2006).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pp 135~140
• 전시자 외. (2005). 제4판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pp 248~253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간호학] 통증생리와 아동의 비약리적 통증완화방법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외과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위암
  • 외과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위암 *원인: 위암의 원인에 대해서는 다각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정확한 원인은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종족적인 차이, 유전적인 요소와 식이습관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위험요인을 살펴보면, 식이습관과 관련해서는 짠 음식, 아질산이 풍부한 음식, 동물성 지방과 단백질을 적게 섭취하면서 고탄수화물 식이를 하는 경우이다. 다른 요인으로는 악성 빈혈, 위축성 위염 및 위점막의 장점막변이(intestinal metaplasia) 환자와 2 cm 이상의 위용종을 가진 사람 등이다. *증상:위암의 초기에는 거의 증세가 없거나, 있어도 모호하기 때문에 상당히 진행되어서야 발견되므로 이것이 완치율이 낮은 주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40세 이상의 환자에서 비특이한 증세로 상복부 팽만감 ·불쾌감 ·소화불량 및 통증이 있거나 이와 함께 식욕부진, 체중감소, 빈혈증세 등이 있으면 즉시 전문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위암이 진행되면 협착이나 궤양 등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구토 ·연하곤란(嚥下困難) ·토혈 ·흑변(tarry stool) ·흑색혈변(melena) ·종양촉지 ·설사 ·영양실조 등의 증세로 발전하게 된다. *병리:병리조직학적으로 위벽은 점막 ·점막하층 ·근육 ·장막하층 ·장막의 5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위암이 점막과 점막하층에만 국한되었을 때 조기위암(EGC:early gastric cancer)이라고 정의하며, 이를 넘어서 진행되어 있으면 진행암(advanced cancer)이라고 한다. 진행암이 되면 전이를 일으키는 경우가 허다하여, 그 치유율이 낮아지는 근본원인이 된다. 병태적 분류상 초기 위암은 I형, Ⅱ형, Ⅲ형으로 구분한다. 진행암은 보르만(Borrmann) 분류법에 따라 4가지 형으로 구분한다.
  • [성인간호학]통증관리에 대한 최신지견
  • [성인간호학]통증관리에 대한 최신지견 Ⅰ. 서론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누구나 한번쯤은 통증의 경험, 즉 아팠던 기억이 있을 것이다. ‘통증’이라는 것은 ‘아프다’는 느낌으로, 상당히 불쾌하고 불편한 느낌이며 우리들이 일상생활을 해 나가는데 있어 큰 지장과 불편을 초래하기도 한다. 통증은 작은 상해나, 부딪침 등으로도 올 수 있는, 우리의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느낄 수 있는 감각이기도 하다. 통증은 수면장애, 심할 경우 우울증 등을 야기 시킬 수 있는 신체적인 고통뿐만이 아니라, 정신적․사회적․심리적인 부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이것이 우리들의 생
  • 모성간호학_통증에관한레포트
  • 모성간호학_통증에관한레포트 1. 통증조절에 대한 약물 사용에 대한 논의와 반론에 대해 분석하라. ▶분만 시 통증을 조절하는데 약물을 사용하는데 대해 찬성하는 입장은 대부분 산모가 분만을 하는데 느끼는 통증이 꼭 분만을 위해 필수적이지는 않다는 의견이다. 또한 분만 중 심한 통증은 고통과 공포로 이어 질 수 있으며 이는 후에 모아 애착 관계나 다음 아기를 가지는데 불필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분만 중 통증을 조절 할 수만 있다면 약물을 사용 해서라도 산모의 통증을 줄이는 것이 옳다는 의견이다. 이와는 반대로 통증을 조절하는데 약물을 사용하는 것을 반대하는 의
  • 성인간호학-통증관리
  • 통증 관리 Ⅰ.통증의 정의 통증이란 실질적인, 또는 잠재적인 조직 손상이나, 이러한 손상에 관련하여 표현되는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불유쾌한 경험이다. 잠재적인 조직 손상을 알리는 통증은 바늘에 찔리거나 불에 데려는 순간에 느끼는 것과 같은 일차적인 통증으로서, 개체는 재빠른 도피반사를 일으켜 다가오는 더 큰 조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려 한다. 반면에 실질적인 조직 손상으로 일어나는 통증은 반사적으로 근육의 위상성 수축을 일어켜 개체의 전체 또는 일부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골절상을 입었을 때의 이차적인 통증에서와 같이 움직이지 않아야 아프지 않고 뼈가 아물게 되는
  • 성인간호학 - 통증
  • 성인간호학 - 통증 통증이해 1. 통증의 정의 : Sternbach는 통증이란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개념으로 ① 개인적이고 사적인 통감, ② 현재 또는 임박한 조직손상을 알려주는 유해한 자극, ③ 인체가 손상받지 않게 보호하려는 반응형태를 포함한다”고 하였다. Melzack과 Wall은 통증이란, 유해자극감수체에 의한 통감과 동기유발 정의적인 면에 의한 고통을 함께 의미한다고 했다. Meinhart와 McCaffery는 간호사의 입장에서 “통증이란 겪는 사람이 통증이라고 말하는 바로 그것이며 그 사람이 통증이 있다고 말할 때마다 존재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