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실습CASE [NICU - TTN] A+자료입니다!!
해당 자료는 23페이지 중 8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23

아동간호실습CASE [NICU - TTN] A+자료입니다!!

자료번호 m1432387
수정일 2018.01.29 등록일 2018.01.28
페이지수 23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dm******* 가격 2,5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아동간호실습CAS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기간 및 방법


Ⅲ. 문헌고찰
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 1
1) 정의 ···································································· 1
2) 원인 ···································································· 2
3) 병태생리 ··························································· 2
4) 임상증상 ··························································· 3
5) 진단 및 치료&간호 ················································· 4

Ⅳ. 간호과정
1. 신생아 간호사정
2. case 시작 시 신생아 사정 ································································································ 6
3. 성숙과 자궁 내 성장에 근거한 신생아 분류 ·························································· 10
4. 특수치료 및 검사소견 기록 ······························································································10
5. 진단적 검사 및 결과 ············································································································13
6. 투약 기록 ·································································································································14
7. 대상자 간호과정 기록
1) 간호진단 (우선순위1~5) ································15
2) 간호과정1·······························································15
3) 간호과정2 ·····························································18

Ⅴ. 결론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아동간호실습CASE [NICU - TTN] A+자료입니다!!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신생아는 재태기간 및 체중에 따라 미숙아, 만삭아, 과숙아로 나누는데 여기서 미숙아는 재태기간 37주 미만 또는 2.5kg 이하로 태어난 아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미숙아 진단으로 인해 여러 가지 합병증이 생기는데 그 중 TTN(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은 출생시의 폐안의 폐액이 1/3정도 나가지 않아 체내에서 빈호흡을 유발 시키는 질환이다.
00병원 실습을 하면서 대다수의 질환이 미숙아에게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TTN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하여 이번 사례연구에서 TTN(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학습하고 직접 대상자를 통해 관찰하면서 문헌에 나타나는 양상을 알아보고, 적합한 간호방법을 습득하여 보다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위해 본 연구를 하게 되었다.



Ⅱ. 연구기간 및 방법

이번 사례연구는 2016년 10월 5일부터 입원중인 TTN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EMR을 통해 기초자료를 수집하였고, 그 이외는 직접 사정하고 경과를 관찰한 내용으로 진행하였다.



Ⅲ. 문헌고찰

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TTN(신생아 일과성빈호흡)은 호흡기 질환 중 비교적 흔하 고 경한 질환으로 폐액의 흡수가 지연되어 폐 속에 물이 잔류하게 되면서 일시적인 빠른 호흡을 주증상으로 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신생아는 분당 80~120회 정도로 빠르게 호흡)
생후 약 36시간에 강도가 최고조에 이르고, 대개 72시간까 지는 페액이 흡수되고, 호흡능력이 정상으로 돌아오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2) 원인

정상적인 태아는 자궁 내에서는 호흡 억제 기전에 의해 호흡이 억제되고, 필요한 영양분과 산소는 엄마의 태반을 통해 탯줄로 공급받게 된다. 폐액으로 가득차 있던 태아의 폐는 출생 직후 첫 울음을 울면서 폐로 공기가 들어가게 되고, 폐의 허파꽈리는 늘어나서 모양을 갖추고 호흡을 지속하게 되며, 폐액은 산도를 통해 빠져나올때 배출이 되고 임파절로 흡수가 된다. 폐액의 흡수가 지연되면 폐 속에 물이 남게 되어 호흡이 정상적이지 못하고 호흡 곤란이 생겨 호흡이 빨라지게 되는 경우에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증이 발생하게 된다.


병태생리
●폐 : 호흡을 담당하는 필수적인 기관으로 공기의 들숨과 날숨을 통해 O2를 얻고 CO2를 배출함. (오른쪽, 왼쪽 허파로 한 쌍을 이룸)
●기능 : O2를 얻고 CO2를 배출함으로서 생명유지, 상피세포를 통해 체액성분 흡수 및 배출
⇒TTN은 출생 시 폐포 내에 있던 폐액의 제거와 흡수가 정상보다 늦어지며 발생한다.
이것은 신생아가 산소를 적절히 흡입하기 힘들게 만들며, 신생아들이 폐 속으로 충분히 산소를 흡입하게 하기 위해 좀 더 빠르고 힘들게 숨 쉬도록 만든다. 질 분만 시, 특히 만 삭아일 경우 산도를 통해 통과할 때의 압력이 폐액을 짜주게 한다. 신생아가 산도 통과시 힘쓰는 동안 호르몬의 변화는 폐액의 흡수를 일으킨다. 그러나 C-sec을 통해 출생하는 작거나 미숙아의 경우 보통 산도 통과시의 압력으로 폐액을 짜는 과정이나 호르몬의 변화 를 겪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들은 정상 신생아들보다 처음 숨 쉴 때 더 많은 폐액을 가지 는 경향을 보인다.
4) 임상증상
대부분 출생할 때부터 빠른호흡, 흉부 함몰, 신음 등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나지만, 질환의 특성상 양성 질환이므로 치명적 질병의 초기증상과 감별이 중요하다.
빠른호흡 등은 지속되지만 호흡곤란의 진찰 소견이 뚜렷해진다든지 동맥혈 가스분석상 현저한 이상을 나타내는 경우는 드물므로 임상 경과, 검사소견, 방사선 소견을 종합하여 후향적으로 진단함이 현명하다. 특히, 치명적 질환의 초기증상으로서 호흡곤란이 나타난 경우와의 감별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임상경과에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폐포외 사이질에 위치한 혈관 주위에 고인 수분에 의한 연약한 세기도 압박으로 기도내경의 협착과 2차적인 공기잡이(air-trapping)에 의한 과환기 폐조직은 이산화탄소의 배출 장애로 인하여 고탄산혈증을 동반할 수도 있으며, 흉부 방사선 소견상 경한 심비대, 양측 폐문부에서 방사되는 선상 울혈(sunburst pattern), 폐엽간(minor fissure)또는 늑막에 삼출액이 발견되기도 한다.
경과는 생후 약 36시간에 강도가 최고조에 이르고, 대개 72시간까지는 폐액흡수능

참고문헌

· 김영혜 외 공저(2015),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 김영혜 외 공저(2015),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 이강이 외 공저(2007), 기본간호학, 현문사

· 임숙빈 외 공저(2015),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Main.do

·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 [네이버 지식백과] 호흡곤란(TTN)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아동간호실습CASE [NICU - TTN] A+자료입니다!!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아동 간호 실습 레포트>소아과 CASE STUDY
  • <아동 간호 실습 레포트>소아과 CASE STUDY 1. 간호사정 1.일반적 정보 -이름; 강해준 나이; 1Y 11M 성별: DU -진단명: retropharyngeal abscess (인두후부 농양) -입원일시: 2004. 11. 30 -활력증상: 체온 36.7 맥박: 118회 호흡: 32회 -체중: 11.3kg -가족구성원: 부, 모, 본인 2. 과거력 출생력: 장소: 분당연세필병원 분만형태: NSVD 출생시 산모건강상태: 양호 신생아 상태; 만삭아 였음 수유상태: 모유+우유 질병력: 없음 입원력 및 수
  • 아동간호실습case-두개골유합증 과 수두증 입니다.
  • 아동간호실습case-두개골유합증 과 수두증 입니다. ●두개골 유합증이란● 두개골(머리뼈)이 정상보다 느린 속도로 성장하여 뇌가 자라지 못하고 뇌압이 증가하여 뇌기능이 저하되며, 머리 모양이 기형으로 변화하며, 이에 따라 안면골도 기형으로 바뀌는 선천성 질환입니다. ●정상 두개골 발육 두개골(머리뼈)은 출생시에는 뇌보다 작은 여러 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는데 뇌보다 머리뼈가 작으므로 각각의 뼈조각은 서로 떨어져 있으며(떨어져 있는 간격을 봉합선이라고 부릅니다), 출생후 뇌가 빠른 속도로 자라게 되는데, 이에 맞추어 머리뼈는 뇌보다 작은 여러 개 뼈의 끝부분에서 뇌보
  • [아동간호학실습] 아동 폐렴 케이스 스터디(PNEUMONIA case study)
  • [아동간호학실습] 아동 폐렴 케이스 스터디(PNEUMONIA case study) Ⅰ.서론  폐렴은 호흡기 질환 중의 하나로 요즘처럼 대기오염이 심각해진 원인 등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호흡기 질환은 어린이나 노인에게서 특히 걸리기 쉬운 질환으로 예방과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저항력 있는 새로운 세균이 등장하면서 폐렴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실습장소인 곽 병원 아동병동에서 폐렴에 걸린 환아를 발견 할 수 있었다.  특히 어린이에게 많이 발생하는 폐렴에 대해 자세히 알고 항생제 처방이나 여러 가지 치료법에 대
  •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진술 호흡곤란증후군(RDS)은 미숙아에게 가장 흔히 발생하는 질병이고, 신생아가 폐 부전으로 사망하는 가장 큰 원인중 하나이다. 재태기간이 짧거나 출생체중이 작을 수록 빈도가 높다고 한다. 소아청소년과 실습을 하면서 case study를 정하던 중 미숙아인 환아를 관심 있게 지켜보다가 RDS라는 질환을 가진 것을 알게 되었고, 우리는 2학년 1학기 아동간호학 강의에서 RDS를 공부 해 보았기 때문에
  • *아동간호학* IDM case study (신생아실 실습)
  • *아동간호학* IDM case study (신생아실 실습)  거대아 당뇨병 모체에서 출생한 신생아는 인슐린의 분비 증가로 지방형성, 단백질 합성이 증가하여 과도한 성장을 한 거대아, 재태기간에 비해 큰 영아가 된다. 인슐린은 포도당의 지방 세포내로의 운반과 지방산으로의 전환 및 중성지방의 저장을 촉진하기 때문에 전신에 태지가 많다. 거대아의 출산으로 상지마비, 쇄골 골절 등 출생 시 손상의 가능성이 증가하므로 잘 확인하여야 한다.  호흡곤란 고혈당증과 과인슐린혈증은 계면활성제의 합성을 저해하므로 호흡곤란 증후군이 동반될 수 있다.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