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절제수술 전. 후 간호
해당 자료는 15페이지 중 5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5
  • 프리미엄

갑상선 절제수술 전. 후 간호

자료번호 m785097
수정일 2012.10.12 등록일 2011.11.01
페이지수 15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js*** 가격 3,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갑상선절제술과 합병증
  • 수술 시 갑상샘 혈관분포, 회귀후두신경, 기관 및 후두와 갑상샘의 관계 등을 고려 ⇨ 목 아래 피부주름을 따라 절개, 샘을 노출시킨 후 성대로 가는 회귀후두신경이 손상되지 않게 하고 갑상샘 조직을 절제함 1. 수술 전 간호 - 암의심 환
  • 모성 월경장애(무월경, 비정상 자궁출혈, 월경전 증후군, 월경곤란증
  • 간호사정 원발성 무월경과 속발성 무월경에 따라 진단과정에 차이가 남 [그림-1,2] ① 1단계 임신 가능성을 확인(병력이나 신체검사 상 임신가능성이 없어도 우선적으로 확인 후 임신 가능성을 배제해야 함) 병력청취 신체검진(유전적 요인 또
  • 콩팥이식과 간호
  • 갑상선기능항진증 3) 재발성 토리콩팥염 4. 콩팥이식 수술전후 간호 가. 수술 전 간호 나. 수술 후 간호 1) 생체공여자 2) 수혜자 가) 수분과 전해질 균형의 유지 나) 급성 세뇨관괴사 중재 다) 소변 감소에 대한 중재 Ⅳ.

소개글

갑상선 절제수술 전. 후 간호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갑상선절제술(Thyroidectomy)
1. 정의
2. 갑상선절제술의 종류
3. 갑상선절제수술의 방법
4. 전통적인 갑상선절제술
5. 내시경적 갑성선 절제술
5. 수술 후 합병증
6. 수술 전. 후간호

Ⅱ. 문헌고찰
1. 갑상선의 해부학
2. 진단검사

Ⅲ. 갑상선 질환
1. 갑상샘 기능항진증(hyperthyroidism)
2. 갑상샘 기능저하증( Hypothyroidism )
3. 갑상선염
4. 갑상선종
5. 갑상선종양(암)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갑상선 절제수술 전. 후 간호
Ⅰ. 갑상선절제술(Thyroidectomy)

1. 정의
갑상선절제술은 갑상선의 수술적 제거를 일컫는 말이다. 갑상선은 우리 몸의 중요한 호르몬 분비 기관으로 목의 앞 쪽 하부에 위치해 있으며 몸의 에너지 생성을 조절하는 갑상선 호르몬을 만든다. 건강한 갑상선은 우엽(right lobe)과 좌엽(left lobe)을 연결하는 협부(isthmus)를 가진 나비모양을 하고 있으며 원발성 갑상선 중독증(Primary thyrotoxicosis), 2차적 갑상선 중독증에서 행하게 되며 수술 목적은 인체의 기초대사율을 정상적으로 영구히 낮추어 주기 위함이다. 단순종(simple goiter)인 경우에는 이용적인 측면, 기관에 대한 압박증상 완화, 악성종양으로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위험을 고려하여 시행하게 된다.

2. 갑상선절제술의 종류
갑상선절제술의 원인에 따라서 갑상선 전절제술을 시행할 수도 있고 부분절제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갑상선절제술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종류가 있다.

1) 갑상선 부분 절제술(Partial thyroid lobectomy) – 갑상선 일엽의 일부분만 절제.
2) 갑상선 일엽 절제술(Thyroid lobectomy) – 갑상선 일엽의 전체를 절제.
3) 갑상선 일엽 및 협부 절제술(Thyroid lobectomy with isthmusectomy) – 갑상선 일엽의 전체 절제 및 협부의 절제.
4) 갑상선 아전절제술(Subtotal thyroidectomy) – 갑상선 일엽, 협부 및 다른 엽의 일부분을 절제.
5) 갑상선 전절제술(Total thyroidectomy) – 갑상선 전체를 절제.

3. 갑상선절제수술의 방법
갑상선절제술은 전통적인 수술 방법과 매우 작은 절개창을 통한 새로운 내시경적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다.

1) 전통적인 갑상선절제술
전통적인 갑상선절제술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시행할 수 있다.

(1) 악성 갑상선 종양의 제거
(2) 갑상선의 과도한 활동으로 갑상선 호르몬이 매우 많이 생성된 갑상선 중독, 갑상선 위기(thyroid storm)의 치료
(3) 목 주위의 구조를 누르거나 특히 연하 곤란,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갑상선종(커진 갑상선)의 일부나 전체를 제거
(4) 생검으로는 정확하지 않은 갑상선 결절의 제거와 검사




≪ … 중 략 … ≫




Ⅱ. 문헌고찰
1. 갑상선의 해부학

1) 갑상선의 구조와 발생
갑상선은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 기관으로서 경부의 아래쪽 중앙에 위치하며, 피라미드 모양의 양측 엽(lobe)과 그 엽을 연결하는 협부(isthmus)로 구성되어 있다. 무게는 약 15~25 g 정도 이다. 협부는 보통 두 번째에서 네 번째 기관륜(tracheal ring)에 걸쳐 있으며, 일측엽은 대개 높이가 4cm, 넓이는 1.5cm, 깊이는 2cm 정도의 피라미드 모양을 하고 있다. 여자가 남자보다 약간 크고, 임신중에 커진다. 그리고 추체엽(paramidal lobe)을 약 40~50%의 환자에서 관찰 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최신 수술환자간호, 변영순, 김문실, 김옥현 외 공저 (2004), 수문사
2. 이비인후과학/두경부외과학Ⅱ, 김종선 (2006), (주) 일조각
3. 성인간호학(하), 전시자, 김강미자외 공저 (2005) 현문사
4. 인체해부학 김명희, 김은미외 공저 (2002) 현문사
5. 기능해부학, David B. Jenkins 저, 신홍철 외 공저, 2001, 현문사
6. 개정2판 수술실환자간호, 윤혜상, 2004, 청구문화사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갑상선 절제수술 전. 후 간호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갑상선암(Thyroid Cancer)의 개요 외과적 방사선 치료
  • 1) 임상상 대부분의 갑상선 림프종 환자는 갑자기 커지는 갑상선종과 이로 인한 주위 조직 압박증상을 호소한다. 갑상선종은 수주 또는 2.~3개월 사이에 갑자기 커진다. 갑상선의 한쪽 엽만 침범하여 결절 형태로 나타나거나 혹은 미만성 종대로 나타나며 비교적 딱딱하나 압통은 없다. 대부분 주위 조직과 유착하여 고정되어 있다. 갑상선 림프종으로 진단되기 1년 전부터 갑상선종을 갖고 있던 예는 약 15%로 보고되어 있다. 경부 림프절이 약 1/4~1/2 환자에서(평균 29%) 촉지되며 흥부 X-선상 흥골하 및 종격동 침범이 나타나기도 한다. 경부 림프절 종대는 예후와
  • 성인간호학 외과병동 - Thyroid cancer case study
  • 성인간호학 외과병동 - Thyroid cancer case study Ⅰ. 서론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최근 주위에서 검진을 통해 갑상샘암을 조기에 발견하여 수술을 받았다는 이야기를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게 됐다. 갑상샘암은 발생이 크게 늘어나 2005년부터 여성 암 1위로 뛰어올랐으며 남녀 통틀어 2006년 기준으로 4위의 암이 되었다. 이렇듯 가장 흔한 암인 갑상샘 암이 실습 병원에서도 이것으로 인한 환자분들이 많이 있었다. 비록 수간호사 선생님께서 케이스 환자를 정해 주시기도 하셨지만 앞으로 내가 갑상선암에 발생될지도 모르고, 내 가족 중에서도 발생할 확
  • 갑상샘유두암종(Papillary thyroid cancer)
  • 갑상샘유두암종(Papillary thyroid cancer) a. Bone hunger : significant skeletal calcium depostion, 특히 수술 전 hyperparathyroidism 및 bone disease가 심했던 경우 b. Sx & sign : ionized Ca2+ ↓ → neuromuscular excitability 증가 (손쉽게 EKG를 찍으면 알수 있다. long Q-T syndreome) 3) Tx. of hypocalcemia a. acute : IV administratio
  • THYROID CANCER CASE (갑상선암 케이스)
  • 내분비 기관의 암 중 가장 흔한 것이 갑상선암입니다. 2002년 한국중앙 암 등록 자료에 의하면 4,817명이 새로 갑상선암으로 진단 받았으며 갑상선암은 전체 암의 4.9%로 6위를 차지하였습니다. 갑상선암은 여자가 남자보다 3~5배 많이 생기는데, 2002년 갑상선암을 진단받은 환자 중 여자가 4,144명으로 여성의 암 중에서 갑상선암은 5번째로 많은 암입니다. 본 학생은 환자 및 가족에게 갑상선암에 대한 지식을 배양하고 이를 수행하도록 격려하고 간호의 고유 영역을 적절히 수행함으로써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조금 더 안락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습니다. 이
  • 갑상선 절제수술 전. 후 간호
  • 갑상선 절제수술 전. 후 간호 Ⅰ. 갑상선절제술(Thyroidectomy) 1. 정의 갑상선절제술은 갑상선의 수술적 제거를 일컫는 말이다. 갑상선은 우리 몸의 중요한 호르몬 분비 기관으로 목의 앞 쪽 하부에 위치해 있으며 몸의 에너지 생성을 조절하는 갑상선 호르몬을 만든다. 건강한 갑상선은 우엽(right lobe)과 좌엽(left lobe)을 연결하는 협부(isthmus)를 가진 나비모양을 하고 있으며 원발성 갑상선 중독증(Primary thyrotoxicosis), 2차적 갑상선 중독증에서 행하게 되며 수술 목적은 인체의 기초대사율을 정상적으로 영구히 낮추어 주기 위함이다. 단순종(simple goiter)인 경우에는 이용적인 측면, 기관에 대한 압박증상 완화, 악성종양으로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위험을 고려하여 시행하게 된다. 2. 갑상선절제술의 종류 갑상선절제술의 원인에 따라서 갑상선 전절제술을 시행할 수도 있고 부분절제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갑상선절제술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종류가 있다. 1) 갑상선 부분 절제술(Partial thyroid lobectomy) – 갑상선 일엽의 일부분만 절제. 2) 갑상선 일엽 절제술(Thyroid lobectomy) – 갑상선 일엽의 전체를 절제. 3) 갑상선 일엽 및 협부 절제술(Thyroid lobectomy with isthmusectomy) – 갑상선 일엽의 전체 절제 및 협부의 절제. 4) 갑상선 아전절제술(Subtotal thyroidectomy) – 갑상선 일엽, 협부 및 다른 엽의 일부분을 절제. 5) 갑상선 전절제술(Total thyroidectomy) – 갑상선 전체를 절제. 3. 갑상선절제수술의 방법 갑상선절제술은 전통적인 수술 방법과 매우 작은 절개창을 통한 새로운 내시경적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다. 1) 전통적인 갑상선절제술 전통적인 갑상선절제술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시행할 수 있다. (1) 악성 갑상선 종양의 제거 (2) 갑상선의 과도한 활동으로 갑상선 호르몬이 매우 많이 생성된 갑상선 중독, 갑상선 위기(thyroid storm)의 치료 (3) 목 주위의 구조를 누르거나 특히 연하 곤란,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갑상선종(커진 갑상선)의 일부나 전체를 제거 (4) 생검으로는 정확하지 않은 갑상선 결절의 제거와 검사 ≪ … 중 략 … ≫ Ⅱ. 문헌고찰 1. 갑상선의 해부학 1) 갑상선의 구조와 발생 갑상선은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 기관으로서 경부의 아래쪽 중앙에 위치하며, 피라미드 모양의 양측 엽(lobe)과 그 엽을 연결하는 협부(isthmus)로 구성되어 있다. 무게는 약 15~25 g 정도 이다. 협부는 보통 두 번째에서 네 번째 기관륜(tracheal ring)에 걸쳐 있으며, 일측엽은 대개 높이가 4cm, 넓이는 1.5cm, 깊이는 2cm 정도의 피라미드 모양을 하고 있다. 여자가 남자보다 약간 크고, 임신중에 커진다. 그리고 추체엽(paramidal lobe)을 약 40~50%의 환자에서 관찰 할 수 있다.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