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문헌분석을 활용한 대중교통지향형 개발(TOD)의 효과 및 시사점연구
해당 자료는 7페이지 중 2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7

연구문헌분석을 활용한 대중교통지향형 개발(TOD)의 효과 및 시사점연구

자료번호 p706022
수정일 2011.02.17 등록일 2011.02.17
페이지수 7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tr***** 가격 3,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고밀개발의 부작용을 우려하는 정책 입안자들에게 TOD가 설득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TOD로 인한 다양한 측면의 효과분석(도시공간구조, 통행행태 등)을 명확히 규명해 주어야한다.
따라서 국내외 선행연구들 중 효과분석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연구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효과분석사례들을 제시한다. 사례연구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목차

본 자료는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본문내용

본 사례연구의 주요한 내용을 정리해보면, 대중교통지향형개발(TOD)을 시행할 경우 가장 유의할 사항은 기존 개발지의 개발밀도를 높이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교통문제라 할 수 있다.
특히 기존 역세권의 경우 밀도 높은 도시개발로 인해 가용토지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상황 하에서 도로 공급을 통해 도시재생으로 인한 교통혼잡에 대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가능한 대안은 기 공급된 대중교통(버스, 지하철)을 보다 효율성 높게 활용해야하며, 이를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TOD는 가장 좋은 대안이라 할 수 있다. 다량의 교통수요를 처리할 수 있는 지하철역 주변과 중앙버스전용차로 시행구간을 고밀 개발하여 교통문제를 대응하는 것은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살펴 볼 때 성공적인 정책수단일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1. 방수석․김형복, 개발밀도관리구역 지정에 의한 개발밀도의 변화가 도로 시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8권 제3호, 2003.
2. 성형곤․김태현, 서울시 역세권 유형화에 관한 연구 : 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 이용인구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8호, 2005.
3. 성형곤․권영종, 고용입지변화에 따른 주거입지 및 통근통행의 변화에 관한 연구(강남역세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41권 제4호, 2006.
5. 성현곤․노정현․김태현․박지형, 고밀도시에서의 토지이용이 통행패턴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역세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41권 제4호, 2006.
6. 오영택․김태호․박제진․노정현, 토지이용유형별 서울시 역세권 대중교통 이용수요 영향인자 실증분석, 대한토목학회지논문 제29권 제4D호, 2009.
7. 황기연․조용학, 도심고밀개발 전략의 교통영향분석, 국토계획 제40권 제3호, 2005.
8. 황기연․조용학․강준모, 교통혼잡을 고려한 서울 도심부 개발가능 밀도 추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6권 제1호, 2006.
9. 홍진현, 고밀․혼합 토지이용이 통행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0. Bae, C. "Orenco Station, Portland, Oregon: A Successful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Experiment?" Transportation Quarterly 56(3), 2002.
11. Blais, P. "The Economics of Urban Form," in Appendix E of Greater Toronto, Greater Toronto Area Task Force, December 1995.
12. Calthorpe, P. The Next American Metropolis: Ecology, Community, and the American Dream,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993
13. Cervero, R. "Land Use mixing and suburban mobility", Transportation Quarterly 42(3), 1988.
14. Cervero, R. “Mixed land-uses and commuting; Evidence from the American Housing Survey”, Tramspn Res A, 30(5), 1996.
15. Cervero, et al,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 Experiences, Challenges, and Prospects, TCRP, 2004.
16. Ewing, R., R. Pendall and D. Chen, "Measuring Sprawl and Its Impacts, Smart Growth, 2002
17. Gordon, P. and Richardson, H. "Are compact city a desirable planning goal?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3(1), 95-106, 1997.
18. Holtzclaw, J, Using Residential Patterns and Transit to Decrease Auto Dependence and Costs, San Francisco, CA: 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 1994.
19. Smythe, R. "Density-Flated Public Costs," American Farmland Trust(www.farmland.org), 1986.
20. Williams, K., Burton, E., Jenks, M. "Achieving the compact city through intensification: An acceptable option", in Jenks, M., Burton, E., Williams, K.(eds.) The Compact City: A Sustainable Urban Form? E&FN Spon Publishers, London and New York, 1996.
21. Zhang, M. "The role of land use in travel mode Choice: Evidence from Boston and Hong Ko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0(3), 2004.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연구문헌분석을 활용한 대중교통지향형 개발(TOD)의 효과 및 시사점연구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대중교통지향형 개발을 위한 도시·교통통합 전략에 대한 사례연구
  • 대중교통지향형 개발을 위한 도시·교통통합 전략에 대한 사례연구 □ 교통(Transit), 도시(Development) 통합전략 필요 대중교통지향형 개발을 위해서는 교통전략에 도시개발(복합용도 압축개념)을 접목한 개발전략이 선행되어야 한다. 도시-교통 통합 전략이 가능해 질 경우, (1) 효율적 입지로 직주근접을 실현하여, 역세권 및 인접지역을 24시간 활성화하여 도심공동화를 막아준다. (2) 밀도와 연계한 효율적인 토지이용이 가능해진다. 교통기반시설이 양호한 역세권에 밀도를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효율적인 도시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 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TOD)
  • 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TOD) 1. 개 요 가. 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정 의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의 정의는 1993년 미국의 도시학자 Peter Calthorpe의 The Next American Metropolis에서 처음 정의 되었으며, 토지이용과 교통의 연관성을 강 조하고 대중교통 중심의 복합적 토지이용과 보행친화적인 교통체계환경을 유도하고 자 하는 방식이다. 도시계획적인 측면에서 TOD는 무분별한 도시의 외연적 확산을 억제하고 승용차 중심의 통행패턴을 대중
  • 서울시 공공자전거 앱 개발 프로젝트 자료입니다 (자전거 대중교통화의 필요성, 서울시 공공자전거의 문제점, 어플의 필요성, 앱구현).pptx
  • 서울시 공공자전거 앱 개발 프로젝트 자료입니다 (자전거 대중교통화의 필요성, 서울시 공공자전거의 문제점, 어플의 필요성, 앱구현).pptx 서울시 공공자전거 앱 개발 프로젝트 자전거 대중교통화의 필요성 여러 대중교통의 혼잡 출퇴근 시간만 되면 만원 버스 & 지옥철… ╋━━━━━━━━━━─────────   ≪ 사 진 ≫  ≪ 사 진 ≫ 새로운 대중교통의 필요성 대두 ╋━━━━━━━━━━─────────   ≪ 사 진 ≫  ≪ 사 진 ≫    모노레일   케이블카           막대한 비
  • 대중교통지향형도시개발 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 대중교통지향형도시개발 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1. TOD의 개념 및 기대효과 대중교통중심개발(TOD, Transit-Oriented Development)의 구체적인 개념은 Peter Calthope이 1993년 그의 저서 The Next American Metropolis : Ecology Community, and the American Dream을 통해 처음으로 정립하였다. 현대의 도시들은 도심에서의 주택공급 부족 문제에서 기인한 외곽으로의 무분별한 확산(sprawl 현상)으로 인해 교통체증 및 환경오염 등의 문제에 당면
  • 대중교통공학_TOD 요약
  • 1.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 개요 대중교통 위주의 공간개발(TOD)은 도심등 주요지역내 자동차 통행으로 교통 환경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심공간 구조를 물리적, 제도적으로 개편하여 보행자의 안전과 대중교통 이용자의 통행권을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전통적인 개발의 문제점 및 TOD의 필요성 ① 기존의 교통 혼잡(Congestion) 발생지역은 주로 대규모 교통유발시설이 밀집한 도심지역과 특정지역에 국한되어 나타남. ex) 재래시장, 판매시설이 밀집한 상업지역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