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신체사정 실습
해당 자료는 6페이지 중 2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6

신생아 신체사정 실습

자료번호 s745793
수정일 2011.06.01 등록일 2011.06.01
페이지수 6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wl****** 가격 1,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신생아실 실습때 유용합니다.

목차

본 자료는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본문내용

신생아의 신체사정
(1) 신체측정

정상
흔한변이
- 만삭아의 평균 머리둘레 : 33~35Cm
- 가슴둘레 : 30.5~33Cm
- 두정부-둔부길이 (=머리둘레) : 31~35Cm
- 두부-발뒤꿈치길이 : 48~53Cm
- 체중 (평균체중) : 2700~4000g (3400g)
- 출생 후 주형
: 머리둘레를 변화시킬 수 있음
- 머리와 가슴둘레 : 출생 후 첫 1~2일 동
안 같을 수 있음
- 첫 주에 출생 체중의 10%정도 손실되고,
10~14일에 다시 증가함


(2) 전반적인 외모

정상
흔한변이
- 영아의 신체 상태에 대한 가치 있는 단서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중요
- 자세 : 자궁내 체위(utero position)의 결과로 완전한 굴곡상태
- 행동 : 민감도(alertness), 졸음(dwsiness
), 불안정성(irritability)을 관찰 신경계 문
제의 흔한 증상
- 피부 : 우단같이 부드럽고 통통함
- 피부색 : 다름.(민족, 가족적 배경에 따라)
생후 2~3일째에 보다 자연적으로 됨.
더 건조하고 벗겨지기 쉬움
- 출생시 피부 :
① 태아기름작. (태지. versix caswosa)라
는 회백색의 치즈같은 물질로 덮임
② 1~2일에 건조되어 없어짐
- 솜털 : 전신에 있는 가늘고 부드러운 털
이마, 뺨, 어깨와 등에 많이 분포
- 첫 24시간 내의 황달
- 중독성 홍반
① 가슴, 등, 둔부, 복부에 넚게 나타나는
수포를포함한 분혼생 구진성 발진.
② 24시간 내에 나타나서 수일 후에 소실
됨.
- 몽고반점 : 보통 하요부와 둔부에 나타나는 불규칙한 진푸른색 착색으로, 아프리카, 미국 원주민, 아시아나 히스패닉계의 신생아에서 주로 나타남









(3) 머리

정상
흔한변이
- 머리윤곽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
→거의 모든 질식분만 신생아에서는 형이
일어나기 때문
- 두개골 : 6개의 뼈
(전두골, 후두골, 두정골 2개, 측두골 2개)
- 봉합선
: 두개골 사이의 갈라진 틈같이 느껴짐
- 천문
: 봉합선이 접합하는 지점에서 넓은 ‘부드
러운 지점’같이 느껴짐
- 대천문
① 다이아몬드 모양
② 넓이는 2~3Cm, 길이 3~4Cm,
③ 12~18개월에 대개 닫힘.
- 소천문
: 감각형 모양이며 대천문보다 훨씬 작고
거의 닫힌 상태, 2개월 말쯤에 닫힘
- 앙와위에서 신생아의 팔을 반좌위로 당기
면 머리쳐짐 현상과 과도신전이 있음
- 배를 아래로하고 수평으로 들어올리면, 척
추에 대해 수평으로 머리를 듬.
- 복위로 눕히면, 머리를 약간 들고 옆으로
돌릴 수 있는 능력 있음
- 정상 질식 분만 후의 주형(molding)
- 울거나 기침으로 천문 팽창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미예 외, (2004), 아동건강간호학, 수문사
김영혜 외, (2003), 아동간호학, 현문사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신생아 신체사정 실습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모성간호] 신생아 신체사정
  • [모성간호] 신생아 신체사정 1. 일반적인 신체계측 • 머리둘레는 보통 33~35.5㎝가 정상이다. • 가슴둘레는 30.5~33㎝로 머리둘레가 가슴둘레보다 2~3㎝정도 더 크다. • 복부둘레는 배꼽 바로 위에서 측정한다. 배꼽 아래쪽에서 복부둘레를 측정하는 것은 방광의 상태가 수치의 판단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 • 머리부터 발뒤꿈치 길이는 보통 48~53㎝이다. • 출생체중은 2700~4000g정도 나간다. 해당자료는 한글2002나 워디안 자료로 한글97에서는 확인하실 수 없으
  • 간호과 아동간호학 신생아 신체사정
  • 간호과 아동간호학 신생아 신체사정 <신생아 신체사정> 1.아프가점수 평가법APGAR -신생아의 자궁 외 생활에 대한 최초의 적응을 사정하기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1분(자궁 외 생활에 적응하는 신생아의 능력사정) 과 5분 후 (소생술에 대한 영아의 반응을 재평가)에 평가하며 영아상태가 안정될 때까지 반복한다. *APGAR 점수 평가표는 ․심박률 -0점 :없음 -1점 :100미만 -2점 :100회 이상 ․호흡능력 -0점 :없음 -1점 :불규칙적이고 느리며 허약한 울음 -2점 :양호하고 힘찬 울음 R
  • 자기 자신에 대한 신체사정의 전반적 조사
  • <자기 자신에 대한 신체사정의 전반적 조사> 1. 첫인상 1) 전반적인 외양 ⑴ 성별과 나이 - 나이에 맞게 보이며, 나이에 맞는 성별 발육을 하였고, 성장상태는 적절하다. ⑵ 의식상태 - 의식은 명료하며, 시간, 장소, 사람에 대한 지남력은 있으며, 최근의 기억과 과거의 기억이 또렷하며, 대화 및 언어 사용이 적절하며, 다른 사람의 질문에 적절히 대응한다. ⑶ 신체구조와 영양상태 - 신체 각 부위는 좌우 대칭이며, 통통한 상태이며, 피부색은 정상이다. 해당자료는 한글2002나 워디안 자료로 한글97에서는 확인하실 수 없
  • 신생아의 신체사정 간호
  • 신생아의 신체사정 간호 Ⅰ. 신생아 신체사정간호 신생아의 정상적인 특성을 확인하고, 비정상을 찾는 철저한 신체 사정은 신생아 간호희 필수적인 측면이다. 신생아 신체사정은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머리에서 발끝 방향(head-to-toe)으로 순서대로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다. 신생아는 옷을 벗기고 공기에 노출시키면 울기 때문에 심장, 폐, 복부 검진을 가장 먼저 하는 것이 좋다. 두위, 흉위, 신장은 같은 시간에 실시해서 정확하게 기록하고 서로간의 관계를 볼 수 있게 한다. 체중은 옷을 모두 벗기고 측정하며 옷을 벗기지 못할 경우는 비슷한 옷의 무게를 재어서
  • 아동의 신체사정 (신체검진)
  • 아동의 신체사정 (신체검진) 신체검진 · 아동의 신체검진은 일반적으로 머리끝에서 발끝 방향으로 진행. 단 영아나 어린 아동들은 심장과 폐부터 검사를 시작하는 것이 좋음 ⇒ 아기가 울 경우 울음소리 때문에 올바른 결과를 얻기 어렵기때문.(군자 출판사 p.452) · 아동의 신체검진시 필요한 모든 물품이나 기구들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전에 미리 준비. ⇒ 소독된 장갑, 체중계, 아동의 연령에 적절한 크기의 혈압계 커프, 일회용 줄자, Snellen E chart, Allen cards, 이경, 검안경, 소아용 청진기, 성장발달 곡선 챠트,피부두께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