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문화관련 단어
해당 자료는 19페이지 중 6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9
  • 프리미엄

일본의 문화관련 단어

자료번호 s246565
수정일 2014.11.10 등록일 2005.03.21
페이지수 19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no******* 가격 2,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현대 일본인들의 패션 문화
  • 앞서(서론) 2. 들어가며(본론) (1)일본 패션의 특징 (2)일본 패션의 배경 3. 나오며(결론) 4. 우리 또래의 일본인들과의 인터뷰(별첨1) -일본인들의 교복 문화를 알아보자- 5. 조원들의 감상 및 후기(별첨2)
  • 일본어를 통한 일본문화의 이해
  • 일본어가 우리에게 다가올 수 있도록 일본어 자체의 학습 방법보다는 일본어에 대한 기원에 대한 한국과의 관련성을 통해서 흥미를 불러 일으키고 일본어 자체에서 드러나는 일본의 문화와 그것이 우리말 중에서는 어떻게 보여지고 있는지
  • 애니메이션 ≪이누야샤 (犬夜叉/Inuyasha)≫가 미치는 일본문화 인지효과에 대한 사례 분석
  • 2. 관련이론 및 기존연구에 관한 논의 3. 분석 대상의 선정과정과 대상 현황 4. 연구문제와 가설 및 연구방법과 분석 5. 분석 대상이 전제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한 설명과 평가 6. 결론과 한계 7. 참고문헌 및 자료

소개글

일본문화에 대한 관련 단어를 설명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경축일(祝日:しゅくじつ)

2. 일본의 지방

3. 국회(중의원․참의원)

4. 한국과 일본의 행정기구 비교도

5. 平成이라는 이름은 어디에서?

6. 설(お正月:おしょうがつ)

본문내용

일본의 문화관련 단어
1.경축일(祝日:しゅくじつ)
일본의 경축일은 1948년과 1966년 제정되었고, 12일의 휴일이 있었다. 그러다 124대 일왕으로 알려진(신화에 기초한 초반부 역사이기에 신뢰할 수 없지만) 히로히토(裕仁:ひろひと) 일왕의 생일이 죽고 난 뒤에도 綠(みどり)の日(ひ)라는 이름으로 공휴일로 남아, 지금 일왕의 생일도 쉬게 하지 않을 수 없어서 1989년 새로이 아키히토(明仁:あきひと)의 생일도 공휴일로 제정했다.
<1월 1일>
お正月(おしょうがつ). 설날, 새해의 첫날.
새해의 행복을 기원하고 1년의 계획을 세우는 날로서 3일까지 모든 곳이 거의 다 쉰다. 1년의 행복과 건강을 신사나 사원에 첫 참배를 통해 기원한다.
<1월 15일>
成人(せいじん)の日(ひ). 성인의 날.
만 20세가 되는 남녀를 축하하는 날. 지방 자치단체가 주최한다. 이 날 예쁜 기모노를 입은 젊은이들이 거리를 메운다.
원래는 15일이었지만 2000년부터는 둘째주 월요일로 날짜가 변경됨.
<2월 11일>
建国記念日(けんこくきねんび). 건국 기념일.
일본에서 가장 오래 되었다는 역사서인 [日本書紀]에 이 날 나라를 건국했다는 말이 나온다고하여 1966년 제정했다. 우리나라의 개천절(10월 3일) 비슷한 날.
<3월 21일경>
春分(しゅんぶん)の日(ひ). 춘분.
봄의 춘분과 추분 전후의 일주일을 가리키는 피안(彼岸:ひがん)의 중심되는 날을 말한다. 이 날은 산소로 성묘(우리나라와 같이 봉분은 없고 비석만 있는데, 꽃을 놓고 거기다 물을 끼얹기도 한다)가서 조상의 영혼에게 공양을 하는 날로써, 옛날부터 불교의 축제일이었다.
보통 축일은 양력으로 하지만 춘분과 추분만은 음력에 맞추어서 양력이 정해진다고 함.
<4월 29일>
綠(みどり)の日(ひ). 녹색의 날.
원래는 히로히토(裕仁:ひろひと) 일왕의 생일로, 죽기 전에 天皇誕生日(てんのうたんじょうび)라고 하여 공휴일이었는데, 죽은 뒤에 쉽게 없앨 수 없으니까 '녹색의 날'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쉬고 있다. 우리나라의 식목일 비슷한 날이다.
<5월 3일>
憲法記念日(けんぽうきねんび). 헌법 기념일.
1947년 5월 3일 지금의 헌법이 제정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날. 헌법 9조의 전쟁 포기 조항 때문에 개정 논의가 항상 일어나고 있다. 아사히(朝日:あさひ) 신문 등은 반대하고 요미우리(読売:よみうり)나 산케이(産経:さんけい) 같은 신문은 찬성하는 논조를 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子供(こども)の日(ひ). 어린이날.
원래는 단오가 어린이날이었다. 우리나라와 날짜가 같다.
*みどりの日부터 子供の日에 걸쳐 보통 ゴルデンウイク라 함.
<7월 20일>
海(ぅみ)の日(ひ)
1996년부터 휴일로 지정되었으며, 바다의 은혜에 감사하고 해양국 일본의 번영을 기리는 날.
<9월 15일>
敬老(けいろ)の日(ひ). 경로일.
노인을 경배하고 장수를 축하하는 날. 자치단체가 고령자를 불러 잔치를 열고 기념품도 준다.
<9월 23일경>
秋分(しゅうぶん)の日(ひ). 추분.
가을 피안의 중심 날로, 봄의 춘분과 마찬가지로 성묘가서 조상의 영혼에게 공양한다.
<10월 10일>
體育(たいいく)の日(ひ). 체육의 날.
1964년 도쿄 올림픽 대회 개회식 날을 기념하여 만든 날.
2000년부터 둘째주 월요일로 바뀜.
<11월 3일>
文化(ぶんか)の日(ひ). 문화의 날.
1946년 현행 헌법 공포를 기념해서 만든 날이지만, 1945년까지는 메이지(明治) 일왕의 생일이었다.
<11월 23일>
勤勞(きんろ)感謝(かんしゃ)の日(ひ). 근로 감사일.
노동의 기쁨을 되새기는 날. 노동절.
<12월 23일>
지금 천황인 아키히토(明仁:あきひと)의 생일.
'성인의 날'과 '체육의 날'을 1월과 10월의 각각 두번째 월요일로 하는 축일법개정(해피먼데이법)이 성립되어 2000년부터는 토요일과 일요일이 휴일인 사람들에게는 년 2회의 3연휴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2.일본의 지방
일본에는 1都(と:東京:とうきょう), 1道(どう:北海道:ほっかいどう), 2府(ふ:京都<きょうと>, 大阪<おおさか>), 43개 縣(けん)이 있다.
홋카이도(北海道:ほっかいどう), 혼슈(本州:ほんしゅう), 시코쿠(四國:しこく), 규슈(九州:きゅうしゅう)의 큰 섬 네 개와 수많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서 혼슈는 다시 도호쿠(東北::とうほく), 간토(關東:かんとう), 츄부(中部;ちゅうぶ), 츄고쿠(中國:ちゅうごく), 긴키(近畿:きんき) 등 다섯 개 지방으로 나뉜다.
홋카이도는 가장 북쪽에 있는 곳으로, 1869년 메이지(明治:めいじ) 정부가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일본의 문화관련 단어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우리의 젓가락문화와 차이가 나는 일본문화에 대해 알아보고, 젓가락문화를 통해서 본 일본의 식사예절과 젓가락문화의 우수성을 말하려 한다.
  • 우리의 젓가락문화와 차이가 나는 일본문화에 대해 알아보고, 젓가락문화를 통해서 본 일본의 식사예절과 젓가락문화의 우수성을 말하려 한다. 젓가락의 역사 `젓가락 문화`는 한·중·일 세 나라가 오랫동안 공유해 왔다. 젓가락은 중국의 명나라부터 사용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젓가락 사용의 역사는 중국이 2,500 여 년 우리가1,800 여 년, 일본이 1,400 여 년으로 알려져 있다. 1971년 공주의 백제 무령왕릉에서 청동으로 만든 수저가 발견된 이후 1998년 청주에서 동부우회도로 공사 중에 발견한 고려시대의 고분 안에서 완벽한 형태의 청동제 젓가락이 출토되었다.
  • [사회과학]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추진배경,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일본문화(일본대중문화)의 유입현황과 영향력,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에 대한 대응방향 분석
  • [사회과학]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추진배경,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일본문화(일본대중문화)의 유입현황과 영향력,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에 대한 대응방향 분석 Ⅰ. 서론 21세기 정보화 국제화 시대의 도래를 앞두고 문화환경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우선, 개인 생활의 차원에서 문화접촉의 기회 및 문화정보 입수의 기회가 확대되고 있으며, 국가 차원에서는 국가 경쟁력을 가늠하는 지표 중에서 문화와 경제의 비중이 급상승함에 따라 문화의 실용성과 산업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산업과 문화적 창의성에 대한
  • 일본의 결혼문화 - 일본결혼문화의 역사, 현대 일본의 결혼, 한일 결혼문화 비교
  • 일본의 결혼문화 - 일본결혼문화의 역사, 현대 일본의 결혼, 한일 결혼문화 비교 1.일본결혼문화의 역사 (1).고대부터 나라, 헤이안 시대(8~12세기) 무코이리콘(壻入婚) 《쭈마도이(妻問い)나 요바이(夜這い)의 관습을 통해서 혼인이 성립되기 이전에 특정의 남녀 사이에 연애나 성관계가 인정되어 통혼하는 것으로 범위는 마을 안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는 남녀 사이에 이미 자주적인 의사로 결정된 부부관계를 하나의 의식을 통하여 공적(公的)인 것으로 한다는 점에 중점이 놓여져 있기 때문에 공적인 결혼성립 축하식은 극히 간소하게 치러진다. 결혼이 성립되어도
  • 일본의 문화 일본문화의저력 일본 문화 한국문화 차이점
  • 일본의 문화 일본문화의저력 일본 문화 한국문화 차이점 I. 서론 다가오는 21세기는 문화의 시대가 될 것이라고 한다. 자본주의가 날로 성장을 거듭하면서, 문화는 이미 상품이 된지 오래고, 또 한편으로는, 경제력·군사력보다 문화의 힘이 진정으로 한 나라를 살찌운다는 자각이 생겨난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는 우리의 문화를 돌아보지 않을 수 없다. 과연 우리의 문화는 성숙해 있는가? 참으로 대중(`민중`이라 해도 좋다)들과 함께하는 자랑스런 문화인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인 것이다. 한 나라의 문화를 생각할 때, 비교대상을 갖고 천착해 들어감은 효과적인
  • [일본어][일본문화]일본어와 일본문화의 이해(일본어 기초어휘, 일본어 시점, 일본어의 종조사, 일본어의 사동법, 일본문화와 일본 대중문화, 일본의 전통 문화, 일본의 대중문화, 일본의 무사도 문화)
  • [일본어][일본문화]일본어와 일본문화의 이해(일본어 기초어휘, 일본어 시점, 일본어의 종조사, 일본어의 사동법, 일본문화와 일본 대중문화, 일본의 전통 문화, 일본의 대중문화, 일본의 무사도 문화) Ⅰ. 일본어의 기초어휘 1. 개관 1930년대 이후 일본은 대외 확장 정책을 꾀하면서 종래의 식민지와 새로 획득한 영토에서의 지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일본어 보급 정책을 강화하였다. 이에 따라 각종 일본어 교재 편찬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이 때 부닥친 문제는 일본어에 대한 기초적 자료가 부족하다는 점이었다. 일본 정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당시 조선과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