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eumothorax 기흉 성인간호CASE (문헌고찰 ~ 간호진단 완벽 정리본)
해당 자료는 35페이지 중 10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35
  • 품질인증

Pneumothorax 기흉 성인간호CASE (문헌고찰 ~ 간호진단 완벽 정리본)

자료번호 m1415026
수정일 2019.08.03 등록일 2017.06.28
페이지수 35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wa******* 가격 4,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폐결핵 case study [ 성인간호학 실습 폐결핵 컨퍼런스 자료 - 문헌고찰, 약물, 진단검사, 과거력, 간호과정 완벽자료 ]
  • 폐결핵 case study [ 성인간호학 실습 폐결핵 컨퍼런스 자료 - 문헌고찰, 약물, 진단검사, 과거력, 간호과정 완벽자료 ] Ⅰ.서론 결핵(Tuberclosis) 연구의 필요성. 결핵은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생명을 앗아간 전염질환으로, 기원전 7천년 경 석기
  • 기흉 사례 자료
  • 기흉환자를 케이스로 잡아 기흉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합한 간호진단을 내려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수행을 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문헌고찰 1) 기흉이란? (Pneumothorax) 장측 또는 벽측 늑막의 손상으로 인해 폐와 흉벽 사이의 늑막
  • 기흉 case
  • ) 참고문헌포함 1.연구목적과 필요성 2.연구기간 및 방법 3.간호과정 - 사정(일반사정,건강력,간호력-신체검진등,검사소견, 의사의 치료-치료내용,투여약물) -주관,객관적자료,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소개글

문헌고찰부터 참고문헌에 기반하여 매우 철저하게 조사하였습니다.

첫장부터 많이 노력한 흔적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겨집니다.

추가적으로 간호진단도 동일하게, 많은 문헌들에 대하여 근거를 기반하여 서술이 되었습니다.

케이스 발표가 끝난 뒤에는 많이 노력하였다고 동기들이 칭찬해주었습니다.

정말 이번 케이스에 관하여, 상세하게 작성하였다고 자신 있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교수님도 문헌고찰만 보시고도 케이스의 질이 올라갔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이후 학기가 끝난 뒤에도 무난히 A+를 취득하였으니, 큰 염려하지 않으셔도 된다고 생각됩니다.

간호진단은 총 2개가 정말 자세하게 서술되어 있습니다.

목차

I. 서론(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1. 기흉(Pneumothorax)
1) 질병의 정의
2) 사례연구의 목적
3) 원인
4) 병태생리
5) 증상
6) 진단을 내리기 위한 검사
7) 치료양상
8) 간호

II. 본론
1)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자료수집
(1) 개인력
(2) 건강력 사정
(3) 간호진단을 위한 자료수집
(4) 신체검진
(5) 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 결과
(6) 투약
2)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

III.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Pneumothorax 기흉 성인간호CASE (문헌고찰 ~ 간호진단 완벽 정리본)
1) 질병의 정의
흉강 내에 누적된 공기가 벽측흉막과 장측흉막 사이에 머물러 폐가 허탈한 상태를 말한다.

2) 사례연구의 목적
2012년 기흉 환자 증가율을 보면 지난 2007년에 약 24,000명에 기흉 환자가 2012년에는 약 26,000명으로 증가율이 약 1.9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현재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발생 비율은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자주 나타나고 85%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중년층보다는 젊은 20대 사람들, 마르고 키 큰 남자가 기흉이 많이 발생하며 발병률은 평균 저체중인 경우 69.5%이다.
기흉의 문제점으론 기흉이 발생하는 정확한 원인은 알지 못하며, 예방방법에 대해 뚜렷한 대책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흉에 관해 자세히 알아볼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3) 원인
자연기흉 (Spontaneous Pneumothorax)
: 이전에 외상이 없거나, 다른 원인이 없는 경우이다.
• 원발성 자연기흉(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폐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게 특별한 원인이 없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기흉이다. 폐첨부에 위치하는 흉막하 기종성 세포(subpleural emphysematous blehs)가 터져서 흉막강 내로 공기가 들어오는 것이다.
흉막하 기종성 기포의 발병기전은 기도염증과 관련이 깊은데, 환자의 91%가 흡연자이며, 흡연의 양에 따라 기흉의 위험이 달라진다.
또한 남성, 20대 초반, 키가 크고 마른 체형일수록 발병률이 높다. 왜냐하면 폐첨부 폐포압이 더 커지게 되고, 지속시엔 흉막하기포가 많이 생기기 때문이다.
• 속발성 자연기흉(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
기흉 발생 이전부터 폐에 이상이 있는 경우,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원인으로는 COPD, emphysema, AIDS로 인한 pneumocystis carinii(폐포자충), 종양, 결핵 등이 있다.


신생아 자연기흉(Neonatal Spontaneous Pneumothorax)
남아가 여아보다 2배 많다,
원인으로는 태변의 흡인, 호흡장애 증후군, 포도상구균 폐렴 시 발생한다.
월경성 기흉(Catamenial Pneumothorax)
월경주기에 맞추어 발생하는 기흉이다.
원인으로는 월경중 공기가 복강 내로 들어와서 횡격막의 결손을 통하여 흉막강 내로 유입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흉막, 횡격막 자궁내막증(pleural, diaphragmatic endometriosis)으로도 발생이 가능하다.



외상성 기흉
(Traumatic
Pneumothorax)

: 흉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인 외상으로 생긴 경우이다.


개방성 외상
흉막강과 대기 간에 통로가 생겨, 기흉이 발생한다.
원인으로는 자상, 총상 등이 있다.
비개방성 외상
특정 신체 내부 물체로 인해 흉막이 찢어져 기흉이 발생한다. 또는 갑자기 받은 충격으로 인하여 폐가 눌리면, 폐포압이 증가하며 폐포가 터질 수도 있다.
원인으로는 탈골, 늑골골편이 폐를 찌른 경우, 심한 압력을 받은 경우가 있다.
의인성 기흉(Iatrogenic Pneumothorax)
원인으로는 의료행위(쇄골하정맥 천자, 경기관지 폐 생검, 흉막천자술 등) 중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긴장성 기흉
(Tension
Pneumothorax)


긴장성 기흉 (Tension Pneumothorax)
원인으로는 흉곽 둔기외상(blunt chest trauma), PEEP에 의한 기계적 환기, 밀봉배액, 중심정맥관 삽입 등이 있다.

참고문헌

김양호 외 편저(2012), 병리학, 현문사.
다카기와 쥰 외 공저(2014), 근거 중심 질환별 간호과정 1. ㈜한언.
유세화 외 공저(2011),, (New) 호흡기학 manual, 대한의학서적.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호흡기학 편찬위원회 저(2010), 호흡기학, 전남대학교출판부.
박은영 외(2016).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조경숙 외(2016). 여섯째판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원종순 외(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왕명자 외(2012). 건강사정. 현문사
홍영혜 외 2명(2011) 최신간호진단(1판). 수문사
원종순 외 2명(2014)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차영남 외 13명(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제3판). 현문사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Pneumothorax 기흉 성인간호CASE (문헌고찰 ~ 간호진단 완벽 정리본)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Pneumothorax 기흉 성인간호CASE (문헌고찰 ~ 간호진단 완벽 정리본)
  • Pneumothorax 기흉 성인간호CASE (문헌고찰 ~ 간호진단 완벽 정리본) 1) 질병의 정의 흉강 내에 누적된 공기가 벽측흉막과 장측흉막 사이에 머물러 폐가 허탈한 상태를 말한다. 2) 사례연구의 목적 2012년 기흉 환자 증가율을 보면 지난 2007년에 약 24,000명에 기흉 환자가 2012년에는 약 26,000명으로 증가율이 약 1.9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현재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발생 비율은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자주 나타나고 85%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중년층보다는 젊은 20대 사람들, 마르고 키 큰 남자가 기흉이 많이 발생하며 발병률은 평균 저체중인 경우 69.5%이다. 기흉의 문제점으론 기흉이 발생하는 정확한 원인은 알지 못하며, 예방방법에 대해 뚜렷한 대책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흉에 관해 자세히 알아볼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3) 원인 자연기흉 (Spontaneous Pneumothorax) : 이전에 외상이 없거나, 다른 원인이 없는 경우이다. • 원발성 자연기흉(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폐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게 특별한 원인이 없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기흉이다. 폐첨부에 위치하는 흉막하 기종성 세포(subpleural emphysematous blehs)가 터져서 흉막강 내로 공기가 들어오는 것이다. 흉막하 기종성 기포의 발병기전은 기도염증과 관련이 깊은데, 환자의 91%가 흡연자이며, 흡연의 양에 따라 기흉의 위험이 달라진다. 또한 남성, 20대 초반, 키가 크고 마른 체형일수록 발병률이 높다. 왜냐하면 폐첨부 폐포압이 더 커지게 되고, 지속시엔 흉막하기포가 많이 생기기 때문이다. • 속발성 자연기흉(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 기흉 발생 이전부터 폐에 이상이 있는 경우,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원인으로는 COPD, emphysema, AIDS로 인한 pneumocystis carinii(폐포자충), 종양, 결핵 등이 있다. 신생아 자연기흉(Neonatal Spontaneous Pneumothorax) 남아가 여아보다 2배 많다, 원인으로는 태변의 흡인, 호흡장애 증후군, 포도상구균 폐렴 시 발생한다. 월경성 기흉(Catamenial Pneumothorax) 월경주기에 맞추어 발생하는 기흉이다. 원인으로는 월경중 공기가 복강 내로 들어와서 횡격막의 결손을 통하여 흉막강 내로 유입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흉막, 횡격막 자궁내막증(pleural, diaphragmatic endometriosis)으로도 발생이 가능하다. 외상성 기흉 (Traumatic Pneumothorax) : 흉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인 외상으로 생긴 경우이다. 개방성 외상 흉막강과 대기 간에 통로가 생겨, 기흉이 발생한다. 원인으로는 자상, 총상 등이 있다. 비개방성 외상 특정 신체 내부 물체로 인해 흉막이 찢어져 기흉이 발생한다. 또는 갑자기 받은 충격으로 인하여 폐가 눌리면, 폐포압이 증가하며 폐포가 터질 수도 있다. 원인으로는 탈골, 늑골골편이 폐를 찌른 경우, 심한 압력을 받은 경우가 있다. 의인성 기흉(Iatrogenic Pneumothorax) 원인으로는 의료행위(쇄골하정맥 천자, 경기관지 폐 생검, 흉막천자술 등) 중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긴장성 기흉 (Tension Pneumothorax) 긴장성 기흉 (Tension Pneumothorax) 원인으로는 흉곽 둔기외상(blunt chest trauma), PEEP에 의한 기계적 환기, 밀봉배액, 중심정맥관 삽입 등이 있다.
  • Pneumothorax-기흉 에대한 Case Study
  • Pneumothorax-기흉 에대한 Case Study Ⅱ. 질병에 관한기술(Disease Discription) ◈ Pneumothorax(기흉) : 기흉이란 흉막강내에 공기가 고여 폐의 일부 혹은 전체가 허탈된 상태이며 10000명에 1명꼴로 발생한다. ※ 종 류 기흉은 저절로 발생하는 자연기흉과 둔상, 관통상, 의인성 등으로 발생하는 외상성 기흉의 두가지로 크게 나뉘어진다. 자연기흉은 특발성 기흉이라고도 부른다. 그밖에 요즘 거의 시행되지는 않지만 공기대비를 이용하여 늑막이나 폐의 병변을 진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위적으로 기흉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1
  • pneumothorax case
  • pneumothorax case 1)질병병 : 기흉(pneumothorax) 정의 : 흉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여 폐의 일부 혹은 전체가 허탈된 상태이다. 흉막외상이 있는 환자에게 기흉은 폐실질조직이나 기관, 기관지 또는 식도열상의 결과로 종종 일어난다. 2)정상해부생리 흉곽(thoracic cavity)은 폐쪽흉막과 벽쪽 흉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4개의 하부조직으로 나뉘어진다. 오른폐 공간, 왼폐공간, 심장과 심낭을 포함하는 심낭공간, 심장, 식도 및 기관(trachea)과 큰 혈관들을 포함하는 흉곽의 중심 부위인 종격동으로 나뉜다. 흉
  • 기흉 케이스(Pneumothorax)
  • 기흉 케이스(Pneumothorax) Ⅰ. 환자소개 1. 기초자료수집 (1) 일반적 자료 ․ 실습병동 : 101병동 ․ 환자이름 : 김○○님 ․ 나 이 : 23세 ․ 성 별 : Male(남) ․ 입 원 일 : 06. 7. 7 ․ 진 단 명 : Spontaneous Tension Pneumothorax ․ 입원동기 : 평소 Mild Rt. Chest Pain 있던 분으
  •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기흉)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기흉)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①정의 →기흉은 흉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여 폐의 일부 혹은 전체가 허탈된 상태이다. 흉막천자를 잘못했을 때나 흉부 수술시 사고로 생긴 외상, 양압 환기로 인한 압력외상(barotrauma)으로 발생한다. 기흉에는 기관, 기관지, 폐포와 같은 호흡기도가 파열되어 흉막강 내로 공기가 들어가는 밀폐 기흉(자연 기흉)과 흉벅에 생긴 외상성 상처를 통하여 흉막강 내로 공기가 들어가는 개방성 기흉(외상성 기흉)이 있는데 자연 기흉이 더 흔하다. ②원인 →폐의 일부가 약해지면서 폐 표면에 작은 기포들 즉 폐 기포가 형성되고 그 기포의 파열로 폐 속의 공기가 흉막강내로 유출되어서 생긴다.흉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여 폐의 일부 혹은 전체가 허탈된 상태이다. 흉막 천자를 잘못했을 때나 흉부 수술시 사고로 생긴 외상, 양압 환길 인한 압력외상(barotrauma)으로 발생한다. 기흉에는 기관, 기관지, 폐포와 같은 호흡기도가 파열되어 흉막강 내로 들어가는 밀폐 기흉(자연 기흉)과 흉벽에 생긴 외상성 상처를 통하여 흉막강 낼 공기가 들어가는 개방성 기흉(외상성 기흉)이 있는데 자연 기흉이 더 흔하다. ③병태생리 →폐는 정상적으로 두 겹의 흉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흉막 사이에는 약 10~15cc의 흉수가 있으며, 공기는 없는 것이 정상이다.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공기 주머니에 해당되는 기포가 파열되어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 공기가 흉막 안으로 들어가 폐의 일부분이 쭈그러드는 것이 기흉이다. ④진단 →기흉은 검사상 특별한 소견이 없으며 25% 이상의 폐허탈을 동반한 기흉에서는 호흡이 감소되고 소실된다. 가슴 엑스선 검사에서 특징적인 공기 음영이 나타난다. 환자가 최대한 숨을 내쉰 상태에서 가슴 엑스선을 찍으면 기흉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어 기흉 관찰이 용이하다. 흉부 엑스선 사진에서 벽측 흉막과 장측 흉막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기흉의 크기를 계산하기도 한다. ⑤치료 ▶흉관삽입술 1) 정의 -가슴에 관을 삽입하여 공기나 고인 체액, 혈액 등을 배액시켜주는 시술이다. 기흉 치료나 폐 절제 수술 후, 심장 수술 후, 폐가 손상된 외상 환자에게 시행된다. 흉곽 안에 공기나 체액, 혈액 등이 축적되면 몸 안 장기를 압박할 수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흉관을 삽입한다. 또한 외상 환자에서 고인 혈액이 많지 않더라도 시간이 지난 후 지연되어 발생하는 출혈 증상을 관찰하기 위해 삽입하는 경우도 있다. 다양한 임상적 상황에서 흉관 삽입이 필요하며, 복부나 피부 등에 삽입하는 배액관과 달리, 공기가 역류하여 흉강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장치한 배액통과 연결하여 사용한다. 2) 종류 ①흉관 삽입 16프렌치(Fr, French, 굵기 단위)부터 32프렌치까지 굵기가 다양하다. 배액량이 많거나 공기 누출이 심할 경우 큰 구경의 흉관을 삽입한다. 폐 수술, 심장 수술 후에도 배액량과 공기 누출이 많기 때문에 구경이 큰 관을 삽입한다.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