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case폐렴
해당 자료는 14페이지 중 4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4

아동간호학case폐렴

자료번호 p645573
수정일 2012.09.30 등록일 2010.01.25
페이지수 14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au******** 가격 2,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아동간호학] 폐렴 케이스 스터디 (pneumonia case study)
  • [아동간호학] 폐렴 케이스 스터디 (pneumonia case study) Ⅰ. 서론  (1) 대상자를 선택한 이유   내가 케이스로 선정한 대상자는 3세가된 남자아이로 폐렴으로 병원에 3월 15일날 입원한 아동이다. 지난 학기 때 배웠던 폐렴에 대한 공부를 이번
  • [아동간호학] 폐렴(broncho pneumonia), 천식(Asthma) case study
  • [아동간호학] 폐렴(broncho pneumonia), 천식(Asthma) case study Ⅰ. 서론 1) 대상자를 선택한 이유  내가 케이스로 선정한 대상자는 2세가 된 남자아이로 폐렴으로 11월 17일날 입원한 아동이다. 중간고사 범위에도 포함되었던 폐렴에 대한 공부를 이
  • [아동간호학] pnemomia 간호과정 pptx 자료
  • 간호과정 - 간호진단 기침, 객담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폐의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기침, 발열과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과정 – 간호진단#1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체온이 정상범위 내에 있다. 단

소개글

아동간호학case폐렴 자료입니다.

목차

본 자료는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본문내용

Ⅰ 서론
이번에 실습하게 된 곳은 소아과 병동으로 병동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질환은 호흡기질환과 소화기질환이었다. 일학년때 잠깐 소아과를 접해 보적이 있어서 공부를 좀 더 하고 다시 자세히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이번에 케이스 대상자는 폐렴 환아인데 이번에 학교에서 배우고 나와서 좀 더 이론과 실제를 비교해보고 간호를 공부해보기 위해 폐렴을 하게 되었다. 폐렴이란 가장 작은 기도와 폐포를 포함하는 폐실질 조직의 급성 염증을 의미한다. 폐렴은 바이러스, mycoplasma에 의해 가장 흔하게 발생되며 합병증 또한 많이 발생하는데 조기에 정확하게 진단하면 적극적으로 치료하면 합병증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간호사는 합병증이 발생하는지 세밀히 관찰하여야 한다. 그리고 환아가 치료하는 과정에서 적절히 지지해 주어야 하는지를 정확히 알고, 최적의 상태에서 빠른 회복을 위해 효과적인 질적 간호를 수행하여야한다.
직접 환아를 통해 문헌에 나타나는 양상을 비교를 해보고, 많은 문제점으로 나타나는 호흡양상을 좀더 용이하게 해보기 위해 노력하였다. 본 사례연구의 폐렴의 종류 중에 정확한 것을 알 수 없었고 다만, 바이러스성 기관지폐렴이라는 것을 알게 되어 그에 따른 바람직한 간호에 대하여 알아보고 실습 시 적용해보고자 한다.
Ⅱ 자료 및 방법
* 입원기간: 09.04.18~09.04.23
* 병동:
* 대상: 마XX님
* 연령: 2ms
* 성별: M
* 연구방법: 보호자와의 면담, 문헌 고찰, Blood chemistry 결과치, chart, x-ray
Ⅲ 문헌고찰
1. 정의 및 원인
(1) 정의
폐실질 조직의 염증, 아동에게 흔히 발생하며 특히 영아나 유아에게 빈번하다. 임상적으로 폐렴은 원발성이나 혹은 다른 질환의 합병증으로 발생함.
(2) 분류
①발생부위에 따른 분류-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
-대엽성 폐렴(lobar pneumonia): 폐엽의 일측 혹은 양측으로 전체나 큰 부위에 침범.
-기관지 폐렴(bronchopneumonia): 모세기관지와 소엽 근처에 침범.
-간질성 폐렴(interstitital pneumonia): 폐포벽과 기관지 주위나 소엽 사이 조직에 침범.
②원인요인에 의한 분류-가장 유용하다.
-바이러스성 폐렴-아동의 모든 연령층에서 세균성 폐렴보다 더 자주 발생함
-세균성 폐렴
-mycoplasma 폐렴
-이물질 흡인성 폐렴
③임상증상은 원인균에 따라 분류
-환아의 나이
-감염에 대한 환아의 신체 반응
-병변의 크기
-기관과 기관지의 폐쇄 정도
-원인균은 주로 환아의 증상, 연령, 일반적인 건강력, 신체검진, 방사선 조사, 임상검사에 의해 알 수 있다.


원인
급성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은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즉 공기를 통하거나 환자와 직접 접촉 혹은 기침할 때 분비물이 튀어나오는 균이 옮겨져서 생기게 된다. 미숙아, 신생아, 돌전의 영아, 천식, 호흡기와 심장에 선천성 기형, 암 등 만성 질환자에서는 기도의 청소 기능이 떨어져 있거나 면역 기능이 저하되어서 폐렴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인플루엔자 등 전염병이 유행할 때나, 담배 연기와 공해에 의하여 기도의 섬모에 손상이 생기면 감기에 잘 걸리고, 폐렴으로 이행될 수 있다. 돌전이나 유아기에는 호흡기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인플루엔자, 아데노바이러스 등이 많다.
3. 질병의 pathophysiologic mechanism
폐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어린아이와 어른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어린아이에서 폐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RS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 A, B 바이러스 등이다. 그러나 어른에서는 인플루엔자 A, B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바리셀라조스터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홍역(measles), RS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등이 바이러스성 폐렴을 일으킨다. 또한 면역 기능이 떨어져 있는 환자들에서는 이들 바이러스 외에도 거대 세포성 바이러스(Cytomegalovirus),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simplex 1,2)등도 중요한 원인균이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신생아 및 유아, 60세 이상의 노인, 기관지 천식으로 고생하는 환자, 낭포성 섬유종같이 만성적인 폐질환이 있는 사람, 폐에 이물질이 들어갔거나, 평소 흡연을 많이하는 사람, 생활 환경이 불결한 경우 발생할 위험이 많다.
4. 진단
폐렴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면밀하게 병력을 검토하고, 진찰 소견, 임상적인 경과 관찰, 그리고 가슴 엑스레이 사진 촬영 및 피 검사 등을 하여야 한다. 가슴 엑스레이 촬영을 함으로써 폐렴을 진단할 뿐 아니라 폐렴과 비슷한 다른 질병도 감별 진단할 수 있다. 바이러

참고문헌

※참고문헌
1. 홍경자 문영임 백승남 안채순 이군자 임혜경 조경미 유경희 남은숙 탁영란 안혜영 성미혜외 아동간호학2 수문사 439p2. 전시자 김강미자 박정숙 이미화 조경순 김희경 박순옥 배영숙 조경숙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721p3. 간호진단 포켓 가이드 북 (2002), 고성희․김명애 외 공저, 현문사 47P 95P 112P4. 간호진단-진단분류의 이론과 실제 (1995), 한윤복 외 공저, 현문사 69P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아동간호학case폐렴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아동케이스-폐렴환아
  • 아동케이스-폐렴환아 MPV는 평균 혈소판 용적을 나타내는데 감소 시 골수의 이상을 의미하는데 환아는 RBC와 Hb, Hct가 다 감소해 있으므로 환아에게 anemia가 있는지 더 정밀하게 검사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neutrophil의 감소는 bacteria 감염 시 나타날 수있는데 폐 실질 조직에의 bacteria 감염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BUN (Blood Urea Nitrogen)은 암모니아를 배설하기 위해 요소 사이클을 통해 배출 되는 것으로 서 섭취 단백량, 요소 합성량, 배설량에 의해 좌우되는 신장기능의 지표인데 수치가 높은 것으로 보아
  • 아동간호학case폐렴
  • Ⅰ 서론 이번에 실습하게 된 곳은 소아과 병동으로 병동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질환은 호흡기질환과 소화기질환이었다. 일학년때 잠깐 소아과를 접해 보적이 있어서 공부를 좀 더 하고 다시 자세히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이번에 케이스 대상자는 폐렴 환아인데 이번에 학교에서 배우고 나와서 좀 더 이론과 실제를 비교해보고 간호를 공부해보기 위해 폐렴을 하게 되었다. 폐렴이란 가장 작은 기도와 폐포를 포함하는 폐실질 조직의 급성 염증을 의미한다. 폐렴은 바이러스, mycoplasma에 의해 가장 흔하게 발생되며 합병증 또한 많이 발생하는데 조기에 정확하게 진단하면 적극적으로 치료하면 합병증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간호사는 합병증이 발생하는지 세밀히 관찰하여야 한다. 그리고 환아가 치료하는 과정에서 적절히 지지해 주어야 하는지를 정확히 알고, 최적의 상태에서 빠른 회복을 위해 효과적인 질적 간호를 수행하여야한다. 직접 환아를 통해 문헌에 나타나는 양상을 비교를 해보고, 많은 문제점으로 나타나는 호흡양상을 좀더 용이하게 해보기 위해 노력하였다. 본 사례연구의 폐렴의 종류 중에 정확한 것을 알 수 없었고 다만, 바이러스성 기관지폐렴이라는 것을 알게 되어 그에 따른 바람직한 간호에 대하여 알아보고 실습 시 적용해보고자 한다. Ⅱ 자료 및 방법 * 입원기간: 09.04.18~09.04.23 * 병동: * 대상: 마XX님 * 연령: 2ms * 성별: M * 연구방법: 보호자와의 면담, 문헌 고찰, Blood chemistry 결과치, chart, x-ray Ⅲ 문헌고찰 1. 정의 및 원인 (1) 정의 폐실질 조직의 염증, 아동에게 흔히 발생하며 특히 영아나 유아에게 빈번하다. 임상적으로 폐렴은 원발성이나 혹은 다른 질환의 합병증으로 발생함. (2) 분류 ①발생부위에 따른 분류-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 -대엽성 폐렴(lobar pneumonia): 폐엽의 일측 혹은 양측으로 전체나 큰 부위에 침범. -기관지 폐렴(bronchopneumonia): 모세기관지와 소엽 근처에 침범. -간질성 폐렴(interstitital pneumonia): 폐포벽과 기관지 주위나 소엽 사이 조직에 침범. ②원인요인에 의한 분류-가장 유용하다. -바이러스성 폐렴-아동의 모든 연령층에서 세균성 폐렴보다 더 자주 발생함 -세균성 폐렴 -mycoplasma 폐렴 -이물질 흡인성 폐렴 ③임상증상은 원인균에 따라 분류 -환아의 나이 -감염에 대한 환아의 신체 반응 -병변의 크기 -기관과 기관지의 폐쇄 정도 -원인균은 주로 환아의 증상, 연령, 일반적인 건강력, 신체검진, 방사선 조사, 임상검사에 의해 알 수 있다. 원인 급성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은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즉 공기를 통하거나 환자와 직접 접촉 혹은 기침할 때 분비물이 튀어나오는 균이 옮겨져서 생기게 된다. 미숙아, 신생아, 돌전의 영아, 천식, 호흡기와 심장에 선천성 기형, 암 등 만성 질환자에서는 기도의 청소 기능이 떨어져 있거나 면역 기능이 저하되어서 폐렴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인플루엔자 등 전염병이 유행할 때나, 담배 연기와 공해에 의하여 기도의 섬모에 손상이 생기면 감기에 잘 걸리고, 폐렴으로 이행될 수 있다. 돌전이나 유아기에는 호흡기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인플루엔자, 아데노바이러스 등이 많다. 3. 질병의 pathophysiologic mechanism 폐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어린아이와 어른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어린아이에서 폐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RS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 A, B 바이러스 등이다. 그러나 어른에서는 인플루엔자 A, B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바리셀라조스터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홍역(measles), RS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등이 바이러스성 폐렴을 일으킨다. 또한 면역 기능이 떨어져 있는 환자들에서는 이들 바이러스 외에도 거대 세포성 바이러스(Cytomegalovirus),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simplex 1,2)등도 중요한 원인균이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신생아 및 유아, 60세 이상의 노인, 기관지 천식으로 고생하는 환자, 낭포성 섬유종같이 만성적인 폐질환이 있는 사람, 폐에 이물질이 들어갔거나, 평소 흡연을 많이하는 사람, 생활 환경이 불결한 경우 발생할 위험이 많다. 4. 진단 폐렴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면밀하게 병력을 검토하고, 진찰 소견, 임상적인 경과 관찰, 그리고 가슴 엑스레이 사진 촬영 및 피 검사 등을 하여야 한다. 가슴 엑스레이 촬영을 함으로써 폐렴을 진단할 뿐 아니라 폐렴과 비슷한 다른 질병도 감별 진단할 수 있다. 바이러
  • 폐렴 케이스 (아동)
  • 폐렴 케이스 (아동) 3. 세균성 폐렴 신생아기 이후의 아동에서 세균성 폐렴은 다른 종류의 폐렴과는 구별이 원인균애 따른 분명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상기도의 바이러스 감염이 선행된 후 갑자기 시작된다. 이것은 바이러스 감염이 이 부위의 방어기전을 교란시켜 정상적으로는 억제되는 병원체의 성장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1) 원인과 역학 세균성 폐렴의 원인은 아동의 연령에 따라 다르다. pneumooccus, Group A stretococcus, staphylococcus 또는 enteric bacilli, Chlamydia는 3개월 미만의 영아에게
  • 아동 기관지폐렴케이스
  • 아동 기관지폐렴케이스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폐렴이란 가장 작은 기도와 폐포를 포함하는 폐실질 조직의 급성 염증을 의미한다. 폐렴은 바이러스, mycoplasma에 의해 가장 흔하게 발생되며 합병증 또한 많이 발생하는데 조기에 정확하게 진단하면 적극적으로 치료하면 합병증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간호사는 합병증이 발생하는지 세밀히 관찰하여야 한다. 그리고 환자가 치료하는 과정에서 적절히 지지해 주어야 하는지를 정확히 알고, 최적의 상태에서 빠른 회복을 위해 효과적인 질적 간호를 수행하여야한다. . 실습장소인 소아과 병동에서 가장 흔하게 볼
  • 정신간호실습 Paranoid Schizophrenia (망상형, 편집형 정신분열증, 조현병)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A+자료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요일별로 정리
  • 정신간호실습 Paranoid Schizophrenia (망상형, 편집형 정신분열증, 조현병)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A+자료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요일별로 정리 - 고등학교 졸업이후에 바로 삼성반도체 입사하여 회사생활 3년간 하였음. 당시 회사에서 짝사랑하던 남자가 다른 여자와 결혼 했는데 그 사람들이 자신을 욕하는 소리가 들리기 시작하였고 주위에서 나를 쳐다보는 것 같은 관계사고로 힘들었으나 부모에게 숨기고 치료받지 않고 지냈다고 함. - 상기증상 지속되어 3년만에 회사를 그만둠. - 23세에는 선을 봤는데 영화관에 가도 짝사랑하는 사람 목소리가 들리는 일이 있었다고 함. 이후 화실에서 2년동안 다니기도 하였다고 함. - 이 후부터 환청, 관계사고, 피해사고 지속되면서 환부모에게 짜증내고 예민한 모습 보이며 무기력해보이고 우울감, 자살사고동반되었고 아는 지인 소개로 순복음교회를 다니기 시작하였는데 교회다니며 기도원 들어가서 환모에게 공격적 언행 보여 91년 7월 청량리 NP 첫 입원함. - SPR 진단 하에 치료받고 증상 호전되어 1개월 만에 퇴원함. - 1992년부터 본원 외래 fu 하기 시작함. 투약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생활하였음. - 1999년 선을 보고 결혼함. - 가정주부로서 안정적으로 결혼 생활하였으나 증상이 지속되어 옴. 이 때 거리상 문제로 부천 길병원 f/u 하였음. - 증상 악화되면서 집안일 하지 않고 남편에게 폭력적 행동보여 1999.12.11.~2000.2 입원치료 받음. - 증상 부분적 호전되어 퇴원하였고 이후에 본원 외래 fu 지속하였음. - 본원외래에서 2000년부터 clozapine start함. - 이후 꾸준히 본원 외래 fu하며 안정적으로 지냈으나 간헐적으로 증상악화 시에 집안일 되지 않고 남편과 소원해지며 남편에게 공격적 언행보여 2006년 이혼하게 됨. - 슬하 자녀는 없었음. - 이후부터 환자 부천에서 혼자 살기 시작하였고 주1회 정도 환부모집 왕래하며 비교적 안정적으로 지냄. 스스로 투약 챙기고 스스로 외래 잘 나오며 안정적으로 지내왔음. - 2015.02부터 local OS에서 무릎 OA로 주사처치 받아 왔음. (환자는 젊은 시절부터 가슴이 조이는 신체증상 호소가 잦았고 보호자 보고상은 1시간 정도면 저절로 subside 되는 양상이 었다고 함.) 이후부터 꾸준히 수면 불량, 불안하고 가슴이 조인다는 등의 문제로 입퇴원 반복함. - 20세부터 50세인 현재까지 8명 정도의 남자를 만났었고, 그 남자들을 ‘섹스파트너’라고 표현하며 그 사람들만 생각하면 마음이 아프다고 표현함.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